사랑받을 권리 - 상처 입은 나를 치유하는 심리학 프레임
일레인 N. 아론 지음, 고빛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 때의 안좋은 기억과 추억은 상처가 되기도 하고 어른이 되어서도 은연중에 그것들로 말미암아 자신을 내세우지 못하고 비하시키며 속내를 드러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특히 자신이 버림 받았다든지 전쟁으로 인해 가족 모두를 잃었을 경우에는 그 상처(트라우마)가 심대하고 정신 치료를 받으면서 마음의 안정과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도록 지원과 보호를 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크든 작든 누구나 안고 있는 못난 나를 훌훌 털어 버리고 가정과 사회 속에서 무의식과 자신감의 결여를 승화시켜 관계 중심의 고양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는 자신의 내면 속의 무의식의 피해의식,불안감,우울증,수치심등을 누군가와는 꼭 털어 놓고 안정된 마음으로 편안하게 세상을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한다.

 사랑과 호감에 관한 최고 연구자 일레인 아론의 내 안의 '못난 나'는 읽으면 읽을 수록 보이지 않은 사람의 내면 속을 비집고 파헤치면서 연구에 연구를 거듭한 심리학 총서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못난 나'의 굴레에서 벗어 나기 위해서는 관계중심과 순위 매기기등을 제시하고 있는데,현대 사회는 돈과 물질이 앞서 가다 보니 이론만큼 그리 쉽지만은 않은거 같다.아무리 친한 벗이라 할지라도 자신의 열등의식을 보여 주지 않기 위해 부풀리고 과장하는 말과 행동을 한다면 진정한 관계 중심이 성립되기 어려울 테이고,지식과 실력이 겸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윗사람에게 잘보이기 위해 아첨하고 아부하는 비열한 행위는 금방 주위에 들통나고 말게 되며,그로 인한 마음의 상처 또한 오래 갈 것이다.

 사람은 살면서 어떠한 문제로든 실패와 좌절을 한번쯤 겪을 것이다.그 실패와 좌절이 일개인을 나락에 떨어뜨리고 회생할 수 있는 길마저 봉쇄한다면 마음의 상처와 사회에 대한 불신감은 오래 갈것이며 심하면 사회의 반항아가 되어 더 큰 문제까지 갈지도 모른다.이럴때 누군가와 상담을 하고 마음의 빗장이 열린다면 의외의 관계 중심으로 전환되어 그의 아픈 상처는 눈 녹듯이 사르르 녹아갈 것이며 새로운 인생을 살아 가게 될 것이다.

 또한 우리의 내면에는 내면의 비판자와 우리를 보호해 주는 보호자,학대자가 있다고 하는데,정도를 걸을려고 만반의 준비를 하고 내면의 비판자를 물리쳐야 하며 능동적 상상을 통해 보호자와 학대자에 대한 적절하고도 현명한 자세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순위 매기기는 언제나 눈 앞에 전개된다.못난 나로 인해 자신을 드러낼 수 없고 열등 의식에 사로 잡혀 당당하게 기를 펼 수 없다면 못난 나는 항상 현상 유지일뿐이고 심하면 도태될 수도 있다.못난 나를 극복하고 순위 매기기에 자신을 올려 놓으려면 솔직하고도 진지하게 자신의 내면의 모습을 전달하고 이해하며 배려해 줄 수 있는 상급자나 멘토를 찾아 나서야 할 것이다.이것은 어디까지나 진실로 다가서고 삶을 개선하는 중대한 문제이기에 상대도 분명 긍정적으로 수긍하게 될것이며 순위 매기기의 라인에 설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이다.

 그러나 순위 매기기는 냉정하고 절대적인 평가가 뒤따르므로 자신의 열등 의식과 불안,좌절등을 이해했다고는 하지만 인간적인 사랑과 배려,따뜻함은 한계가 있기 마련일 것이다.이에 눈을 관계중심으로 돌린다면 어떨까? 관계 중심이야말로 개인적이든 사회에서 만난 사람이든 상부상조할 수 있고 마음의 기저에는 신뢰와 사랑이 살아 있기 때문에 질투심,거절,수직 상승의 부담감,공포증,자격지심등이 사라지고 진정한 인간 관계를 회복하면서 '못난 나'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이 든다.

'내가 받은 상처는 누군가도 받았을거야'라고 편안한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못난 나'를 치유하는 길은 편협되고 굴레에 빠져 있는 자신을 적극적으로 속마음을 털어 놓고 위로받으며,불편하고 우울한 상태에서 진정한 사랑을 주고 사랑을 받을 수 있는 관계 중심의 모티브로 전환할 수 있도록 노력에 노력을 거듭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