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인의 드라마작가를 말하다 - Drama,작가 vs 작가 방송문화진흥총서 96
신주진 지음 / 밈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원일기(1981)의 김정수(1949~), 한지붕 세가족(1986)의 김운경(1954~), 사랑이 뭐길래(1991)의 김수현(1943~), 아들과 딸(1992)의 박진숙(1947~), 모래시계(1995)의 송지나(1959~),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1996)의 노희경(1966~), 허준(1999)의 최완규(1964~), 대장금(2003)의 김영현(1966~), 파리의 연인(2004)의 김은숙(1973~) 작가 등 2000년 전후의 드라마 작가에 대해 방대한 분량으로 서술하고 있다.

다만 2010년 이후의 작품에 대해 후속 저술이 없어서 아쉬울 따름이다. 시크릿가든(2011), 태양의 후예(2016), 도깨비(2017), 미스터션샤인(2018)의 김은숙 작가를 비롯하여, 동백꽃 필 무렵(2019)의 임상춘, 응답하라 1988(2015)의 이우정 작가 등 요즘 한창인 작가에 대해서도 집필을 기대해 본다.

 

<밑줄>

텔레비전 드라마는 우리사회에 방송이 시작된 지 수십년 동안 할 일 없는 아녀자들이 집안 일을 하는 짬짬이 왔다 갔다 하며 보는 싸구려 오락물로 치부되었다. 가끔 가다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가 등장해도 그것은 이러저러한 사회적 요인들이 작용해 이루어진 사회현상일 뿐 드라마 자체에 대한 분석이나 비평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아니 오히려 시청률이 높을수록 보통은 저급한드라마가 대중들의 인식과 정서에 미치는 악영향을 우려하는 윤리적인 단죄의 목소리도 함께 높아졌다.

90년대 벽두에 등장한 주찬옥의 드라마는 그러한 드라마에 대한 일반적 통념과 편견을 일거에 뒤집을 수 있는 전환적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갈등이 센 극적인 사건보다 자잘하고 소소한 일상적인 사건들에 주목하고, 외부의 사건들이나 자극에 반응하는 수동적인 인물들 대신 자신의 주관과 소신, 성격들이 뚜렷한 주인공들이 등장하였으며, 그 인물들의 행위에는 내면의 심리와 자아성찰이 실리게 되었다. 문학에서의 자아개념에 맞먹는 이러한 적극적이고 반성적인 여성주체의 등장은 주찬옥에서 노희경, 인정옥으로 이어지는 의식적인 탈신파의 흐름을 형성하였으며, 명실상부한 마니아 드라마의 원류를 이루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