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은 것은 다 이유가 있다
더글러스 W. 모크 지음, 정성묵 옮김, 최재천 감수 / 산해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두 아이가 자라면서 너무 싸운다. 한 아이는 엄마가 나머지 한 아이랑 한패가 되어 자신을 괴롭힌다고 운다. 그래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에 의하면 일부 동물은 형제간에 싸워 죽이기도 하고 심지어 먹기도 한단다. 더구나 부모는 그걸 방관하거나 동조한단다. 심지어 어미가 자식을 죽이거나 먹기도 한단다.

 

그렇다면 인간도 동물이기 때문에 형제간이나 부모자식간이나 죽음을 불사하고 싸울 수밖에 없단 말인가?

 

그러나 그렇게 생각하고 싶지 않다. 왜냐면 인간은 동물과 달리 피임을 하기 때문이다. 자식을 많이 낳아서 적자만 생존하게 하는 방식은 피임을 하지 않는 동물들에게나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피임을 통해 솎아내기(적자생존)의 자연법칙을 거부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자식을 하나만 낳아야 하는가? 왜 둘을 낳아서 싸우게 할까? 이 문제는 어떤 책을 읽어야 풀 수 있을까?


*원제는 햄릿의 첫 대사에서 따온 것 같다. more than kin, less than kind 그래서 해석이 어렵다. 과학은 문학만큼 모호하다.

 

<밑줄>

뱀상어 어미는 몸 속에 알을 낳는데, 알들이 부화하여 어미 몸 속에서 자유롭게 헤엄을 친다. 더 놀라운 사실은 어두운 자궁 속에서 새끼들이 서로를 잡아먹는다는 것이다. 아직 부화하지 못한 동생 알들을 찾아 먹어치우고, 몸집이 커진 배아들은 작은 배아들을 뜯어먹는데, 이 과정은 한 마리만 살아남을 때까지 계속된다.

 

수컷 가시고기는 보통 식음을 전폐하며 알을 지키고 관리하는데 온힘을 쏟는 물고기로 유명하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따금식 애지중지하던 알을 일부이긴 하지만 먹어치울 때가 있다.

 

마젤란펭귄은 두마리 새끼 중 눈에 띄게 한 마리만 편애하며, 로열펭귄은 아예 작은 알은 품지도 않고 둥지 밖으로 차버린다. 그런가 하면 재캐스펭귄은 새끼 두마리에게 달리기 경쟁을 시켜 빠른 놈에게만 먹이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