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기생뎐
이현수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생은 흥을 먹고 태에 사는 법이거늘."

궁시렁거리는 타박네의 말에 얼쑤, 하는 추임새와 함께 머리 속에서 딱! 하고 북통 두들기는 소리가 절로 울린다. 책을 열고 세 번째 페이지에서 이 문장을 만나는 순간,  '신기생뎐'에 대해 갖고 있던 단순한 호감은 열렬한 애정으로 바뀌었다.
흥을 먹고 태에 사는 기생이 소재이고 주제여서 그런가? 작품은 줄곧 밀양아리랑처럼 흥에 겨웁고 스란치마 밑 타래버선처럼 그 태가 범상치가 않다. 

기생 이야기, 소설로 풀어내자면야 그렇게 풍부하고 감칠맛 나는 재료가 또 있을까. 하지만 재료가 풍성하다고 맛깔나는 상이 차려지는 것은 아닐터. 호박의 이쁜 연두빛을 살리며 얇게 입혀진 밀가루 옷처럼, 기생이라는 관음증 일변도로 흐르기 쉬운 소재에 작가는 '삶과 사랑'이라는 얄따란 옷을 솜씨 좋게 입혔다.
각 장을 등장 인물이 하나씩 도맡아 연작 소설 형태를 띄는 것은, 어찌 보면 장편을 쉽게 풀어가는 방편 같아 보인다. 하지만 그 인물 모두를 어우르는  넓은 시야가 없으면 섣불리 덤빌 일이 아니다. 각 장의 주인공이 너무 도드라지지도 흐릿하지도 않게 적절한 무게감을 가져야 할 것이고, 그렇다고 개성 없이 물에 물탄 듯 술에 술 탄 듯 해도 않될 것이다. 매번 그타령이 그타령이면 쉽게 질릴 것이나 그렇다고 전체적인 흐름이 없이 제각각 딴소리들을 해대도 정신 사납겠지. 그런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작가는 참 맵시 있게 잘도 해냈다.
타박네, 오마담, 미스 민, 기둥서방, 집사....그 모든 인물들이 저마다 구구절절 소설 같은 얘기를 펼쳐드는데도, 그것이 그냥 이야기 같질 않고 꼭 내 곁에 앉혀놓은 양 온기가 느껴진다. 그 중에서도 제일 정이 가는 인물은 역시 타박네다. 한 가지 일에 오래 몰두하면 누구나 도를 깨우친다고 하더니만, 타박네, 부엌어멈 반평생에 정말 지껄이느니 다 명언이다. 그것도 귀에 짝짝 달라붙는.

그렇지, 작가는 기생이야기에 밀가루 옷만 잘 입힌 게 아니다. 쑥갓 한 잎, 홍고추 조금, 고명도 어찌나 보기 좋게 얹었는지. '발맘 발맘', '왜자기다', '아리잠직', '콩켸팥켸', '잘코사니'.....보기에도 좋고, 입속에서 굴리다가 삼켜봐도 재미있는 우리 말이 빛깔 좋은 고명처럼 군데군데 얹혀있다. 난생 처음 만나는 단어인데도 그 속내가 단박에 읽히는, 그래서 빙긋이 웃음이 배어나오는 재미있는 경험이었다. 그래서 모국어인가. 도대체, 얼만큼의 내공이 쌓이면 모국어를 이리 아기자기,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을까? 작가가 새삼 우러러 보였다.

사는 것, 사랑하는 것을 오랜만에 신명나고 맵시 있게, 흥겹고 태나게 얽혀 고민해본 듯 하다. 뿌듯하고 후련한 글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urblue 2006-09-22 16: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빌려 볼랬더니 도서관에 없더라구요. 흑흑.

진/우맘 2006-09-22 16: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블루님> 소장하셔도 후회 없으실 듯....^^

전호인 2006-09-22 17: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의 풍류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으면 기생들과 술 한번 먹어보고 싶기도 합니다.
요즘의 향락과는 또다른 뭐가 과연 있는 것인지 궁금하기도 하구여.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