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SF 걸작선
브루스 스털링 외 지음, 데이비드 G. 하트웰 외 엮음, 정혜정 외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4월
평점 :
절판


 책을 펴고 목차를 들여다보았을 때, 내가 얼마나 SF 소설에 문외한이었는지 깨달았다. 필립 K 딕이 다인 줄로만 알던 편협함이란....

 그리고, 책을 읽기 시작한 지 며칠이 지나도록 채 절반을 넘기지 못하는 가운데 또 하나의 사실을 깨달았다. ‘맙소사, 내가 SF 소설을 읽고 이해하기 힘들어 하다니!’ 하는 놀라움의 배후에는, <SF는 쉽고 흥미진진한 심심풀이에 불과하다.>는 근거 없는 편견이 도사리고 있었던 것이다. 그랬다. 나는 SF라는 장르를 새로운 아이디어는 넘치지만 문학적 품격은 없는 것이라고 은근히 폄하하고 있었던 것이다.(이 대목에서...미해결 된 편견이 하나 더 드러난다. ‘문학적 품격이 있는 책은 대개 어렵다.’ 혹은 ‘쉬운 책은 대개 문학적 품격이 결여되어 있다.’라는.... 아이고, 내가 이토록 편견이 많은 인간이었다니!)

 

 우선 끝까지 읽어보고, 재독할 부분은 재독하자!는 독한 결심(?)이 없었다면 중간에 덮어버렸을지도 모르겠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건데, 처음부터 끝까지 몽땅 읽고 이해하겠다는 아집이 즐거운 책 경험을 방해한 것 같다. 왜 그랬을까? 책이기 때문에? 백 투더 퓨처나 터미네이터를 보면서 그 속에 녹아있는 과학지식까지 몽땅 이해하려고 들지는 않으면서. SF걸작선을 읽을 때에도 그래야 한다. 작가가 풀어놓는 과학적인 근거에 골몰하지 말고, 작가의 상상력이 창조해 놓은 설정 자체, 그 멋진 신세계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가끔, 정 이해되지 않고 마음에 안 드는 작품은 과감하게 넘어가기도 해야 한다. (내 경우에는 '실러캔스'를 붙들고 일주일이 넘게 헤맸다. TT)

 

 접근 방법이 잘못되어 힘겹게 읽어내긴 했지만, 책 자체는 상당히 매력적이다. <에일로라>나 <사막의 눈> 같은 작품을 만난 것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울만 하다. 600p가 넘는 분량에 스물 세편의 SF 단편들은, SF 매니아들에게는 멋진 선물이 될 것이다. 나? 나는 예비 SF 매니아 이므로...앞으로, <SF 사전>으로 활용할 생각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우맘 2004-07-16 08: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읽은 지 얼마나 되었다고....게로포드가 무슨 내용이었는지 생각도 안 나네요.TT

진/우맘 2004-07-29 2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굉장히 어려워요. 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