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들이 사는 나라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6
모리스 샌닥 지음, 강무홍 옮김 / 시공주니어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를 키우는데, 그리고 아이의 책을 고르는 데 있어서 '유머'라는 요소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유머'와 '해학' 중에 어떤 표현이 더 깊이있다고 생각하세요? 사실, 이것은 우문입니다. 두 단어는 뜻이 같으니까요. 하지만 저는 우리말이라서인지 '해학'이라는 단어에 더 정이 느껴지는군요. 그리고 그 말만 듣고도 여러 가지 정경이 자연스럽게 머리속에 펼쳐집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먼저 펼쳐지는 것은 신명나는 탈춤입니다. 우리 문화 중 '해학', 즉 유머의 정수라고 할 수 있잖아요.

저는 엉뚱하게도 <괴물들이 사는 나라>에서 탈춤을 연상했습니다. 동그란 얼굴들에 험상궂은 이빨을 갖고 있지만, 사실 눈동자는 빙글빙글 웃고 있는 괴물들의 모습, 마치 우리네 탈 같지 않습니까? 그 괴물들이 맥스와 함께 벌이는 장난, 모험도 마치 한 편의 블랙코메디, 우리네 탈 춤 한마당 같습니다.

이런 중첩적인 감정 표현은 어른들도 이해하기 쉽지 않지요. 무섭게 보이지만 사실은 무섭지 않다는 것... 괴물이지만 사실은 재미있는 친구들이라는 것... 이런 설정, 이런 감정을 아이들에게 어떻게 이해시키겠습니까? 하지만 책을 읽어내려가다 보면 이런 생각은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저는 분명 '괴물들은 무서운 눈알을 뒤룩대고, 무서운 이빨을 부드득 갈고...'하며 읽고 있는데 그림을 보던 아이는 어느새 '엄마, 난 이거(얘)하고, 이거하고, 이게 좋아. 엄마는 어느게 맘에 들어?'하고 묻고 있습니다. 모리스 샌닥의 그림에서, 눈동자 속의 표정을 읽어낸 것이지요. 그림책이 아니라면 가능하지 않은 일 일것입니다. 얼마나 그림에 공을 들인 것일까요. 그리고, 그림에 살짝 어깃장을 놓는 듯 하면서도 매끄럽게 읽히는 문장들도 보통 공들인 결과가 아닐 것입니다.

현실세계에서는 작던 화면이, 맥스가 상상에 빠져들수록 점점 커지고, 결국은 화면 두 바닥을 가득 채우지요. 그 두어 장에는 글이 없습니다. 맥스과 괴물들과 어울리는 그 장면에서 저는 말을 만들어 읽거나 그냥 넘어가지 않습니다. 어느 오지의 원주민들이 밤에 화톳불을 피워 놓고 축제를 할 때 나는 북소리 있잖아요? '둥둥둥둥 둥둥둥, 둥둥둥둥 둥둥둥'하는 북소리를 내지요. 어느새 저도 그림책에 몰입되었던지, 처음 읽는 순간부터 망설임도 없이 자연스럽게 그런 소리가 흘러 나오더라구요. 요즘은 북소리가 느낌에 따라 커지거나, 빨라지기도 하고 아이는 한 술 더 떠서 중간중간 인디언인냥 '오오오오~'하고 입을 두드리기도 합니다.

그러다 지친 맥스가 현실세계로 돌아오고, 마침내 방 안에 만족스러운 얼굴로 서 있는 맥스... 그리고 다음 장 빈 여백의 한 줄. '저녁밥은 아직 따뜻했습니다...' 그 한 줄을 읽을 때의 감정을 어떻게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정말 힘든 모험을 떠났다 온 듯 약간은 지치고 더불어 안락한... 그 느낌! 사실, 아이는 이 마지막 장에 별 감정을 싣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 장이 나오면 벌써 다음 그림책을 찾아 눈을 굴리지요. 하지만, 저는 뭐니뭐니해도 마지막 한 줄이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듭니다. 어쩌면, 아이보다는 제가 <괴물들이 사는 나라>를 더 좋아하는 지도 모르겠네요.

모리스 샌닥, '그림책계의 피카소'라지요? 기발한 발상과 고정관념을 깨는 표현때문에 그렇게 불리나 본데요, 기발함이야말로 아이들의 특성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꼬마 친구들이 이 책을 그렇게 좋아하나 봅니다. 적당한 크기와 보송보송한 표지, 무광의 부드러운 크림색 속지까지, 모두모두 제 마음에 쏙 드는 그림책입니다. 괴물이 나온다고 해서 구입을 망설이셨던 엄마들은 걱정 마시고 펼쳐보세요. 크고 동그란 괴물들의 눈동자에서, 저처럼 해학까지는 아니더라도 지긋이 배어 나오는 미소 한자락 쯤은 발견할 수 있을실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