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잔치는 끝났다 창비시선 121
최영미 지음 / 창비 / 199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시라는 건 사랑에 빠진이들을 위한 나른하고 달큰한 것이거나, 철학과 혁명을 위한 낯설고 어려운 것이거나...그렇게 두 종류뿐이라고 생각했던 나였다. 그래서 어린 첫사랑에 빠졌을 때는 원태연의 시를 죽어라고 베껴댔고 좀 더 나이 먹어 사랑을 안다고 생각하면서는 류시화나 자크 프레베르를 읽으며 고뇌하는 척 했다. 박노해는 그나마 어렵지 않았기에 읽어낼 수 있었고.

그런데 '서른, 잔치는 끝났다'는 내가 알던 그 두 종류의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독특한 시집이었다. 사랑 노래라 하기에는 아프고 적나라했고, 철학과 혁명의 노래라 하기에는 너무 자신을 간절히 들여다보고 있었다. 아직은 여성 작가들이 성을 이야기하기를 꺼리던 그 때 최영미는 자신의 섹스를 뼈 발린 생선으로 가차 없이 까발렸다. 처음 접한 스무 살 무렵에는 그런 그녀의 시들에서 신선함을 느끼기는 했지만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그래서 그저 '선운사에서'나 되뇌이고 말았다. 하지만 한 해, 한 해 서른에 가까워지면서는 너무 멀고 충격적으로 느껴지던 다른 시들이 소화되기 시작했다. 그녀가 무슨 생각으로 그런 말들을 시로 엮어냈는지가 어렴풋이 공감이 되는 것이다. 시에 성별이 있겠느냐만은, 특히 여자라면 책꽂이에 한 권쯤 꽂아둘만한 시집이다. 그저그런 날 무심히 책장을 넘기고 있으면 꼭 한 편쯤은 마음을 찌르는 날카로운 구절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시가 원인을 모르던 심란함, 허허로움에 이유를 대줄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