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 러시
유미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솔출판사 / 1999년 5월
평점 :
절판


이 작품 이전에도 '가족 시네마'나 '풀하우스'를 분명히 읽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잘 기억나지 않는다. 뒤집어 말하자면 그만큼 '골드러시'가 준 충격이 더 컸고, 이 작품을 통해서야 유미리의 이름을 새롭게 각인했다고나 할까.

책에 몰입해서 실제로 그 사건을 체험하는 듯 여러 가지 감각을 느껴본 적은 많았지만, 촉각과 후각이 책의 감상을 대변하는 경험은 처음이었다. 골드러시를 읽는 동안, 그리고 읽은 후 일년여의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도 불쾌지수 높은 한여름처럼 끈적끈적한 땀냄새가 생생하다.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지만, '엽기'가 넘쳐나는 요즘같은 때에 14살 소년이 아버지를 살해했다는 사실은 그렇게 충격적이지 않았다. 도리어, 책을 읽고 나서 그가 왜 그랬는지 이해가 될 것 같다는 사실이 더 충격적이었다.

속물인 아버지, 비행소녀인 누나, 정신지체인 형, 자신을 버린 어머니...'불행'이라는 것이 점철된 듯한 가족구성원이지만, 결정적으로 그가 살인에까지 빠진 것은 그런 구성 자체가 원인은 아닐것이다. 형에게 책임감과 사랑을 느끼지만 타인이 자신을 사랑해준다고 확인받아본 적이 없는 그는 다른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토해내는 '사랑'이라는 것의 흐름이 꺾이고 막혀 그 안에서 터져버린 것이다.

소년이 가족사진을 보면서 느낀 감정을 '희망'의 코드로 읽는다지만, 나는 공감할 수가 없다. 다만, '이미 늦었다'는 실감과 계속되는 비참한 기분이 들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