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난주 옮김 / 열림원 / 1996년 11월
평점 :
절판


'완벽한 문장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아. 완벽한 절망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야.' 무언가 쓰고 싶었다고 한다. 그래서 썼다고 한다. 어떤사람들은 열광했지만, 또 어떤사람들은 '이것은 소설이라고 볼 수 없다.'고 인정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게...딱히 어려운 어휘도 나오지 않고, 치밀하거나 탄탄한 구성도 아니고...사실로 말하자면, 구성이랄것까지도 없다. 다른 사람에게 줄거리를 설명하기도 어렵다. 주인공의 생각을 따라 여기저기로 뛰어다니는 문장들. 하지만 나는, 이 책이 전혀 산만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포레스트 검프의 첫 화면에 나오는 깃털처럼. 'Girl from ipanema'의 보사노바 리듬처럼. 땅에 발이 닿지 않는 듯 가벼운 스텝으로 주인공의 감정을 따라잡을 수 있었다. '그게 소설이라면, 나도 그 정도는 쓸 수 있겠다.' 많은 사람들이 하루키에게 그렇게 말했다고 한다. 나도 그럴것이라 생각한다. 껍데기가 비슷한, 이런 종류의 소설이라면 아무나 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결과물이 쓰레기가 될지,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오래도록 남는 바람의 노래가 될지는 열어봐야 알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