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해석 홍신사상신서 14
지크문트 프로이트 지음 / 홍신문화사 / 1992년 10월
평점 :
절판


'꿈의 해석'을 처음 읽은 것은 고등학교 1학년때였다. 어려서부터 나는 유난히 꿈을 많이 꿨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어나서는 꿈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것과는 달리 한 편의 영화처럼 앵글과 편집(?)까지도 생생하게 기억해낼 수 있었다. 꿈의 해석에 관심을 갖게된 것도 그런 이유에서 였다...라고 하면 거짓말이고(^^)

그 때의 저는, 지적 허영심에 굉장히 들떠있어서, 프로이드나 에리히 프롬의 저서를 읽으면서 자신이 똑똑하다는 자만심을 느끼고 싶었습니다. 굉장히 두껍고 작은 글씨의 엄숙해보이는 책에 숨이 좀 막히기는 했지만, 의외로 재미있어서 2~3일만에 다 읽을 수 있었습니다. 꿈의 사례분석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열심히 외워서 친구들에게 얘기해주면서 마음껏 잘난척을 할 수 있었지요. 나중에는 한술 더떠서 친구들이 꾼 꿈을 해석해주기까지 했습니다. 선무당이 되어 사람을 안 잡은게 다행이지요...

성인이 되어 읽었다면 그렇게 빠져들지는 못했을겁니다. 모든 것을 성적인 문제에서부터 해석하는 과도한 아집에 분명 거부감을 느꼈겠지요. 하지만 그 때는 그러한 해석 방법이 신선하고 획기적으로만 생각되었습니다. 지금까지도 꿈을 꾸면 '내가 무의식적으로 그 사람에게 매료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 '내가 요즘 가장 신경쓰는 부분이 그런 부분이구나...' '도대체 그 돌덩이는 어떤 과제의 상징이지?'하며 '어설픈 프로이드식'으로 해석하는 버릇이 있습니다. 이제는 기억에서 많이 지워졌으니, 제대로 해석을 해내고 '자기 치료'를 하기위해서라도 꼭 다시 읽어보아야겠네요. 꿈을 많이 꾸는 분,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분, 지성인이라고 평가받고 싶은 분(?)이라면 한 번쯤 읽어볼만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