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동물하면 우리가 바로 떠올리는 단어는 유기견,
반려견이죠?
한국에서도 매일 벌어지고 있는 상황, 특히 여름 휴가철에는 버려지는 반려견이 너무나 많다고
합니다.
동물은 그냥 돈 주고 사는게 아니라고, 생명은 소중한 것이라는 것을
부모가
어릴 때 부터 아이에게 알려줘야 합니다.
[내 이름은 도도]책 한권을 읽고, 저는
아들램에게 많은 이야기를 해 주고 싶었습니다.
한창 자연관찰책을 좋아하는 아들에게 예를 들어 북극곰 책을 읽어주고 나면, 지금 환경오염으로
북극곰이 얼마 없다는 것등을 알려주는 것이지요.
그래서 이 책이 저에게는 소중한 환경공부와도 같은
책이었답니다.
책을 보면 18개의 멸종 동물을 다루고
있습니다.
큼직하게 1681년, 이런식으로 년도가 적혀있는데요.
그 년도는 각자 동물이 멸종된 시기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년도가 표기되어 있으니 더 크게 와 닿았습니다.
'이건 얼마되지 않았구나,
복원 가능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내 이름은 도도]에서 기억에 남는것은,
1681년, 모리셔스에서 마지막 도도새가 죽다.
1907년, 뉴질랜드에서 마지막 후이아가
사리지다.
였습니다.
1681년, 모리셔스에서 마지막 도도새가
죽다.
도도새는 책 제목에서 말하는 도도<포르투갈어 -
멍청이>입니다.
새 중에서 천적이 없어 날개가 퇴화되어 버린 새들이
있죠.
기억에 남는 날개가 퇴화된 새가
있으세요?
저는 뉴질랜드의 키위새, 타조, 펭귄, 닭 등이
생각납니다.
그런데 도도새도 날개가 퇴화된 새었군요. 날찌 못하니 잡아먹기 참 쉬워서 인간의 단백질 공급원이 되며
멸종되었다고 합니다.
미국 생태학자 스텐리 템플이 모리셔스를 방문하고 나서 도도새의 멸종과 카바리아 나무의 멸종을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도도새와 습성이 비슷한 칠면조에게 억지로 카바리아 나무의 단단한 열매를 먹게 했고 그 칠면조의 배설물 속에서 카바리아
나무의 씨앗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 카바리아 나무는 멸종에서
벗어났지요.
하지만 도도새는 박제된 것밖에
없답니다.
나무는 열매를 남기면 살릴 수 있지만, 같이 멸종한 새는 부활을 시킬 수가 없으니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내 이름은 도도]에서는 멸종된 동물의 실제 사진은 수록되어 있지 않아
좀 안타깝습니다.
일러스트로 동화처럼 그려진 그림들만 수록되어 있어, 상상하며 보거나 인터넷을 찾아 멸종된 동물을
알아가야 합니다.
1907년, 뉴질랜드에서 마지막 후이아가
사리지다.
휘파람 소리를 내는 새는 알고
계세요?
후이아 새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진 새였다고 합니다.
뉴질랜드
마오리족이 신성시 했던 새가 후이아새였다고 하는데, 마오리부족장이 영국 왕세자에게 후이아 새의 꽁지깃털을 모자 장식으로 선물해 준것이 화근이
되어, 유럽 전역 사람들이 모자 장식으로 후이아 새의 꽁지깃털을 쓰는 것이 유행이 되면서 후이아 새는 멸종하고 말았다고
합니다.
정말, 한마디로 망할~~것들 입니다.
과거라
이렇게 함부로 말할 수 있는 것이겠죠.
지금 현실에도 유행 또는 몸에 좋은것 이라는 것들로 후이아 새와 같은 일은
시종일관 벌어지고 있는데 말이죠.
만약 후이아 새가 멸종하지 않았더라면 저도 아들도
휘파람 소리를 내는 새를 볼 수 있었을텐데, 정말 안타까웠습니다.
인간의 욕심이
자연의 파괴를 부릅니다. 악마, 도깨비 이런것들이 인류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인간이 악마, 도깨비가 아닐까~~생각하게
됩니다.
18개의 멸종 동물들을 다룬 [내 이름은 도도]는 즐겁게 읽는 책이 아닌
반성하며 보게 되는 책이며 부끄러운 인간의 민낯을 보게 되는
책이었습니다.
이런 책의 내용이 교과서에 많이 수록되어
역사를 배울 때 자연과 멸종 동물들의 역사를 함께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깃털 모자가 유행했던 유럽, 그
시기에 멸종한 동물들을 함께 다뤄준다면, 생각있는 아이들은 과거 어른들과 같은 실수를 번복하지 않을거라
믿습니다.
고마운 책 한권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