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미궁 - 과거에서 미래로, 시간은 과연 흐르고 있을까? 한림 SA: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3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엮음, 김일선 옮김 / 한림출판사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SCIENTIFIC AMERICAN 잡지 3번째 주제는 '시간'이다. 대중을 위한 과학잡지이면서도 전문성을 놓치지 않는 내용을 다룬다는 소개에 기대를 갖고 구입했었는데,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적당한 수준의 기사들에 만족하고 있다.


'시간이 흐른다.'는 표현은 워낙 자연스럽기 때문에 하나의 자연스러운 명제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게다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는 주위에 널려있기까지 하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로 우리는 일반 대중이 과거 어느 시대보다도 더 정확하게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예전에는 '시간'은 왕이나 일부 권력층의 전유물이 되어 권력의 상징과 도구로 사용되어 왔었다. 그런 귀한 '시간'을 이제는 공기처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공기처럼 문화와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은 '시간'은 실제하는 것일까? 아니면 상상의 허구일까? 시간이 흘러간다는 건 실제로 무엇일까? 시계가 알려주니까 시간이 흐르고 있다고 인지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관찰의 결과이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과는 다른 문제일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시간'에 대해 철학적인 물음으로 시작해서 생리학적으로 인지하는 시간의 본질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기술의 발전 과정, 그리고 시간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고찰을 다루고, 궁극적으로 시간이 존재하기 전과 시간의 종말에 대한 사유로 맺고 있다.


불멸의 존재가 아닌 인간에 있어서 시간이란 한정된 재화인 동시에 인류가 존재하는 한 계속 이어질 개념이자 실존적인 어떤 것이다. 내게 주어진, 혹은 남은 시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본 시간이었다.

과학은 이해할 수 없는 대상을 분석해가는 힘든 여정의 작은 발자국들이 모여서 그 대상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시간의 종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시간에 대해 생각할 때 우리는 우주에서 우리가 차지하고 있는 생명체라는 위치에 대해 더욱 감사하게 된다. 시간이 점점 부족해진다는 특징은 생명체의 존재에게는 필수적이다. 우리가 살아가려면 시간이 한 방향으로 흘러야만 한다. 복잡한 구조를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기간과 크기라는 개념도 있어야 한다. 사건의 과정이 존재하려면 원인과 결과라는 순서도 필요하다. 육체가 순서라는 작은 주머니를 만들어내려면 공간도 필요하다. 이런 모든 것이 녹아내린다면 우리가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시간의 끝은 상상이 가능하지만, 아무도 우리가 지금 이 순간 자신의 죽음에 대해 의식하는 것처럼 이를 직접 경험할 일은 없을 것이다.

먼 후손들이 시간의 종말에 다가갈 때, 후손들은 점점 더 적대적인 우주에 맞서야 할 테고 애써본들 달리 피할 방법도 없을 것이다. 사실 우리는 시간의 종말에 그저 앉아서 당해야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가해자다. 우리는 살아 있는 동안 에너지를 열로 바꾸며 우주의 쇠락에 일조하고 있지 않은가. 시간은 없어지겠지만 우리는 살지도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