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과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게 되는 충(衝) 상태에 놓인 어느날 일군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화성의 표면에서 폭팔이 관측된다. 대중의 관심 밖에 있던 화성 표면의 폭팔은 유성처럼 착륙한 화성인의 급작스러운 침공의 전조임이 드러나고, 월등한 무기와 과학기술을 앞세운 화성인의 잔혹한 학살 앞에 인간들은 무력하게 내몰리는게 된다.


 1898년에 쓰여진 '우주전쟁'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반복적으로 재생산되어 왔는데 1938년에 미국 감독 오슨 웰스에 의해 제작된 라디오 드라마는 믿기지 않게도 미국 전역을 패닉을 몰아 넣을 정도로 충격적인 현실감을 부여했다.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아무래도 팀 버튼 감독의 각색으로 재해석된 '화성침공'과 스티븐 스필버그가 감독하고 톰 크루즈가 주연했던 '우주전쟁'이 아닌가싶다.















 참고로 팀 버튼의 '화성침공'은 원작의 플롯만을 빌려와 팀 버튼 감독식의 유머로 완전히 재해석한 작품이기에 '우주전쟁'의 원작을 소재로 했음에도 궤를 달리하는 작품으로 비춰지는듯하다.

 역사적으로 기술적으로 발달한 문명과 원시 문명의 비대칭적 만남은 인류학자 레비 스트로스의 주장과 같이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적 사유에 의해 자주 제노사이드나 홀로코스트와 같은 비극적 결말을 불러오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호주에 정착지를 건설한 영국의 조직적인 인간사냥으로 인해 당시에 5,000 ~ 15,000명으로 추산되던 '태즈메이니아' 원주민은 불과 30년만에 300명 정도만 남게 되었고, 1876년 '투루가니니'의 사망으로 마지막  '태즈메이니아'인이 사라지게 된다.

 영국에서 출간되었음에도 당시 영국인들에게는 치부일 수도 있는 '태즈메이니아'를 거론하면서 '우주전쟁'이 단지 현실을 소외시키는 가상의 이야기만이 아니라 식민지를 바라보는 당시의 시대정신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음을 분명하게 밝힌다.

 우주전쟁 속 외계인은 비약적으로 발달한 뇌와 그에 비해 퇴화되다시피한 신체, 그리고 빈약한 신체를 대체하는 트라이포드로 불리는 전투 기계와 자동화 장치, 열선 무기, 테라포밍 등 그동안 접해왔던 다양한 SF작품 속 외계인의 기본적인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외계의 이형적인 문화와의 접촉이 폭력적인 양상으로 이어진다는 설정은 류츠 신의 '삼체'나 조 홀드먼의 '영원한 전쟁', 존 스칼지의 '노인의 전쟁',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스타십 트루퍼스' 등 다양한 작품 속 주제이기도 하다.


























 외계인과의 첫 번째 조우를 묘사한 부분이나 이후 일어나는 파괴적 학살, 그속에서 펼쳐지는 살아남기 위한 다양한 인간군상의 모습, 무엇보다도 비록 내행성계에 국한되지만 우주적 관점에서 외계 행성에 대한 기대감과 두려움 등 120년 전 소설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짜임새와 완성도를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19세기 말엽 그 누구도, 똑같이 탄생과 죽음을 경험하면서도 인류보다 훨씬 높은 지능을 가진 강력한 존재가 자신들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했다. - P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백견불여일타 스프링 부트 쇼핑몰 프로젝트 with JPA 백견불여일타 이젠 프로젝트다!
변구훈 지음 / 로드북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제된 소스를 통해 JPA, Spring Security 사용하여 실제 실행되는 코드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다. 아쉬운 점 Spring boot 2.x 사용하여 깃허브 소스를 통해 Spring boot 3.x 적용 소스 확인 가능하지만 버전업되면서 바뀐 Spring Security에 대한 설명 아쉬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 내가 이 책을 읽고 있게 될 줄이야! 진보진영을 단숨에 바보로 만든 차기 미국 대통령. 거부감을 잠시 내려놓고 도대체 무슨 생각인지 알아봐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반지성주의의 세상이 도래할꺼라는 불안감. 대놓고 고립주의를 정책으로 표방하는 무지막지한 지도자. 불안한 마음으로 책을 펼쳐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주의는 크게 네 가지 이념을 기조로 하여 추구되었다. 첫째, 사회의 도덕적·물질적 갈등은 결코 제거될 수 없고, 그저 억제되거나 어쩌면 유익한 방향으로 길들여질 수 있을 뿐임을 받아들인다. 둘째, 정치적인 것이든 경제적인 것이든 사회적인 것이든 견제되지 않는 권력에 반대한다. 셋째, 사회적 병폐는 치유될 수 있고 인간의 삶은 개선될 수 있다고 믿는다. 넷째,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하거나 어떤 존재이건 간에, 그들의 삶과 계획을 국가와 사회가 법에 기초해 존중한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런데 자본주의의 관점에서 본다면 전혀 다르다. 빚은 ‘선(善)’이다. 빚이 없으면 자본주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자본주의의 입장에서 ‘빚이 없는 사람’은 나쁜 사람이고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이다. 빚이 있는 사람은 착하고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그래서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는 ‘빚 권하는 사회’이다. 빚이 없으면 새로운 돈이 더 이상 창조되지 않고, 돈이 창조되지 않으면 자본주의도 망가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