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전후사의 인식 2 - 정치.경제.사회.문화적 구조의 실증적 연구 오늘의 사상신서 93
강만길 외 지음 / 한길사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방전후사의 인식(이하 해전사)1'에 이어 6년만에 나온 '해전사2'는 해전사1에 비해 한층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해전사1에서 제기한 미군정의 정책의 오류와 부일 세력의 고착화에 의한 친일 청산의 미진함, 냉전 이데올로기에 의한 편협한 반공주의 등 예민한 이슈들을 끄집어내고 있다.

해전사1과 해전사2 사이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갑자스런 피살로 인한 신군부의 등장과 전두환 대통령 집권기, 직선제로 선출된 노태우 태통령 집권 등 정치 환경이 바뀌어 가고 있는 시기였다. 해전사2가 발행되었을 때는 고등학생이었는데 한창 근로자들과 대학생들의 민주화 시위가 극을 치닫고 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대학에 들어가서도 교내는 연례 행사처럼 매캐한 최루가스 냄새로 눈물, 콧물 흘려가며 생활했었다. 참고로 난 89학번이다. 아마도 당시의 분위가가 해전사2의 편집에도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

'해전사'는 분명 해방이후의 역사에 관한 시각에 일대 변혁을 일으킨 책이었음에는 틀림이 없었으리라는 생각이든다. 하지만 오늘의 남북 관계나 우리를 둘러싼 주변 국제 정세를 고려할 때는 '해전사'에 대한 또한번의 인식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라는 생각이다. '해전사2' 가 나왔을 당시만해도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시작한 소련의 붕괴라던지 중국의 개혁과 개방등은 생각도 못했던 때였던 것을 생각해 보면 역사를 바라보게 되는 시점은 항상 현재인만큼 지속적인 역사 되돌아 보기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해전사2' 읽기를 마친 오늘, 북한은 핵실험으로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내 들었던 생각은 친일청산이 우리의 역사적인 숙제라면 6.25전쟁을 통해 우리민족을 고통과 죽음으로 내몰았었던 세력들이 현존하는 지금 그들에 대한 속죄는 어떻게 청산해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