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열두 방향 그리폰 북스 3
어슐러 K. 르 귄 지음, 최용준 옮김 / 시공사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바랑의 열두 방향'은 나의 사고를 사방팔방으로 내몰았다. 3대 판타지 소설의 대가 중 한 명인 어슐러 K. 르윈 할머니는 사진속의 온화한 미소와는 달리 서늘하리만큼 예리하게 인간의 사고와 상상을 뒤섞고 휘저어 놓았다.

'아홉 생명'과 '땅 속의 별들'은 이미 예전에 언젠가 읽어서 알고 있는 내용이었는데, 그토록 유명한 작가의 소설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다시한번 잊혀진 옛날을 되뇌여 보지만 언제였는지 어디서였는지 기억할 수 없다. 어쩌면 데쟈뷰일런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너무도 명확하다.

르윈은 판타지 소설을 판타스틱하게 사고의 시간적인 흐름을 무시하고 오로지 생각하고자 하는 마음만으로 써내려 가는듯 하다. 마치 꿈처럼. 꿈은 시간의 흐름이 무시되고 이기적인 욕망이 그대로 드러나는 공간이라고 프로이드가 정의한 것처럼 르윈스키의 소설 흐름은 때로 정상적인 사고의 흐름을 무시하고 순간 순간 생각나는 생각들을 붙여놓은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것 같다. 마치 뫼비우스의 띠를 따라 도는듯한 느낌이다.

줄거리를 파악하려한다면 절망적인 심정이 되어 자신의 지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이야기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이야기들은 스스로를 돌아보며 생각에 잠기게 한다. '오말레스를 떠나는 사람들'은 마지막 반전이 너무나도 나 스스로를 끔찍한 기분에 젖게했다. 과연 판타지계의 3대 명인이라 불러줄만한 필력이다.

최근 기대를 불러모으고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인 '게드전기'가 바로 '반지의 제왕', '나니아 연대기'와 함께 3대 소설로 불리는 '어시스의 전설'의 한 부분을 그려낸 것이라는 것을 아시는지. '나니아 연대기'가 아이들의 시각에 맞춰져 있고, '반지의 제왕'이 비교적 성인에 맞춰져 있다는 느낌이었는데, '어시스의 전설'은 단순한 성인이 재미있게 읽기에는 조금 난해하지 않을까하는 걱정과 함께 한 번 읽어보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