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먹어야 하는가 - 한국 스켑틱 Skeptic 2015 Vol.2 스켑틱 SKEPTIC 2
스켑틱 협회 편집부 엮음 / 바다출판사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스켑틱을 매 권 구입해놓고 다른 책들에 우선순위를 내주다보니 어느덧 과월호가 잔뜩 밀려버렸다. 스켑틱이 추구하는 '회의주의'에 기반을 둔 과학적 증명에 입각한 기사들에 매료되어 첫 발행호부터 꾸준하게 구입하고 있다.

VOL.2는 커버스토리로 식이요법을 이용한 건강과 치료의 맹점을 다루고 있다. 요약하자면 인간은 유사이래로 다양한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도록 진화하였기 때문에 특별한 질병이 없는 일반인은 적당한 섭생만으로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나 역시 해독주스 따위의 얘기는 신봉하지 않았으니 쉽게 공감이 가는 기사였다.

전반적으로 이번 호는 스켑틱이 지향하는 바가 뚜렷하게 드러내는 느낌이다. 포커스로 다룬 테러리즘은 종교(특히 일신교)로 인한 선민주의에 의한 폭력을 수반한 테러리즘을 다루고 있다. 이런 종교의 폐해를 줄이기위해 세속주의를 받아들이도록 조언을 덧붙인다. 뉴스와 이슈란에서는 '증명' 불가능한 창조론을 비판하고 있는데 당연 주인공은 인터뷰란을 통해 소개되는 '신무신론'의 네 기수 중 한 명인 리처드 도킨스(스켑틱 협회의 회원이기도 하다)이다. 기독교나 가톨릭(무슬림은 아예 안 보겠지)이 종교인 경우 아마도 스켑틱이 추구하는 회의주의에 동의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포커스의 다른 기사 중 '테러리즘에 대해 잘못 알려진 사실들'에서 테러리즘에 의존한 폭력보다 비폭력 전략이 실제로 정치적 변혁을 성공으로 이끈다는 결론은 '넥타이 부대'나 '촛불 혁명'으로 변혁에 성공한 우리의 현실이 과연 우연은 아니었구나 하는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과학적 증명에 기반을 둔 회의주의가 일견 명확해 보이고 개방적일 것 같지만 오히려 증명이라는 명제의 틀에 갇혀서 보수적이다 못해 폐쇄적이 될 수도 있겠구나 싶기도 하다. 리처드 도킨스 역시 그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외 몇 권의 책을 감명깊게 읽었음에도 유독 종교에 대해서 냉혹하다 못해 싸움꾼을 자처하며 감정적인 주장으로 몰입하는 모습에는 솔직히 당혹스러웠다. 주장의 옳고 그름을 떠나 종교 자체를 미신으로 치부하고 거부하는 모습은 근본주의 종교인들과 비슷하게 느껴져서 솔직히 거부감이 들 정도.

어쩌면 스켑틱이 과학을 신봉하는 교리서와 같은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지도. 조금 편향적인 느낌 때문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는 기사들도 있지만 상대론적인 요즘 세상에 회의주의에 기반한 시선으로 나름의 진실을 찾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스켑틱을 계속 구매해서 읽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