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이라는 책. 이름은 귀에 익었지만, 이제서야 처음으로 읽어냈다. 배는 부르지만 입 심심해서 먹게 되는 주점부리처럼 무겁고 부담스럽지만 계속 읽게 되고, 결국 무겁고 덤덤하게 책을 덮게 된다.

수기 속 스스로를 '요조'라고 밝힌 그 사내는 자신의 심약함을 가벼운 유희로 감추며 방패삼아 살았다. 아마도 감수성이 무척 예민한 사내였나보다. 사내로 태어났으면 '사내'답게 툭툭 털어버리고 적당한 뻔뻔함으로 살아갔어야 하지만, 이 사내는 그럴 용기가 없어서 타인과 가볍고 적당한 관계로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싶었다. 세상을 살아가기에 사내는 너무 약하기 때문이다.

그는 종국에는 스스로 무너져 상처받은 자신에게 '인간실격'이라는 낙인을 찍어버린다.

디자이 오사무가 인간실격을 쓴 시기가 일본패망 직후인 것을 감안했을 때 삼십대 후반 젊은 나이의 작가가 느꼈을 상실감과 무력감이란 감수성 풍부한 예술가였기에 더 크게 스스로를 갉아 먹어 들어갔을 것이다. (우리로서는 힘나고 다행한 일이지만!) - 결국 서른아홉 나이에 자살로 생을 마감했단다.

예전에 <<88만원 세대>>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2007년도에 출간되었으니 10년 전에 쓰여진 글인데 지금도 역시 많은 이들은 '88만원 세대'의 상실과 무력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요즘 사람들은 고생을 모른다.', '편한 일만 하려고 한다.'라며 대충 살려한다고 쉽게 얘기하지만 그들 역시 '일등'이나 '최고'가 아니면 끼어들만한 틈조차 없는 요즘 세상을 살아가기에는 아무리 모질게 살아도 역부족일 것 같다.

<<인간실격>>은 참 불편하지만 남 얘기로 치부하기에는 어느 면에서는 절망과 무력감이 팽배한 현대를 살아가는 내 이야기이자 모두의 절망을 담은 이야기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