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경석의 한국사 한 권 - 한 줄 코드로 재밌게 읽고 평생 기억하는
서경석 지음, 염명훈 감수 / 창비교육 / 2025년 7월
평점 :

광복절에 한국사 책을 펼치는 일은 ‘기념’이면서도 ‘점검’이다. 우리는 무엇을, 어떤 언어로 기억해 왔는가. 방송인에서 ‘한국사 이야기꾼’으로 정체성을 확장한 서경석의 이 책은, 딱딱한 개론서를 웃음–이해–기억으로 재설계한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만점과 다년간의 방송·강연 경험, 그리고 현직 역사 교사 감수가 더해져 친화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잡았다.
이 책의 미덕은 스토리텔링과 ‘한 줄 코드’가 한 팀으로 움직인다는 점이다. “단군 왕검”이라는 호칭 하나로 제정일치의 시대 구조를 각인시키고, 왕 이름의 “성(成)”을 국가 시스템 정비의 힌트로 읽게 한다. “주초위왕” 잎사귀에서 출발한 기묘사화, “허적의 유악”으로 불붙은 경신환국처럼 핵심어+인과+이미지가 한 문장에 묶이는 순간, 사건은 외워서 흘리는 정보가 아니라 소환 가능한 지식이 된다. 출판사 서평에 소개된 “동무랑 책 들고 단과반에 간다(동예)” “서양강 장군(서희·양규·강감찬)” 같은 장치도 같은 원리다. 왜 잘 외워질까? 핵심 키워드(의미) + 인과(흐름) + 익숙한 소리(리듬)—이 세 가지가 장면화를 일으켜 두뇌가 재호출할 갈고리를 만든다.

구성은 선사부터 현대까지 8부. 선사에서는 정착·기술·위계의 축을 세우고, 고조선·여러 나라 파트로 국가 탄생의 변주를 본다. 삼국·가야는 “고구려=용맹, 백제=문화, 신라=대기만성, 가야=철”처럼 앵커 키워드로 달아 기억의 닻을 내린다. 이후 남북국·후삼국을 거쳐 고려·조선, 근대·현대에 이르면 개항–강점–해방–분단–민주화로 이어지는 연속 과제가 드러난다. 만화·사진·연표는 독자가 길을 잃지 않게 좌표를 찍고, 텍스트는 그 좌표 사이를 유머와 비유로 매끈하게 잇는다.

이 책의 핵심 가치는 기억 친화적 설명을 ‘정확성’ 위에 세웠다는 데 있다. 농담이 과장을 부르는 흔한 오류를 피하려 교사 감수로 균형을 잡았고, 어려운 한자어를 생활 언어로 번역하며 문턱을 낮추되 의미를 얕게 만들지 않는다. 다만 전체 한국사를 한 권에 담은 만큼 논쟁적 쟁점(용어·사관·사회경제사 심층)은 깊게 파고들기 어렵다. 이는 단점이라기보다 역할 분담에 가깝다. 이 책은 입구와 가속을 책임지는 책—관심의 불씨를 붙이고, 기억의 갈고리를 만들고, 이후의 심화서로 독자를 연결한다.
교사/학습자 관점에서 바로 써먹을 포인트도 분명하다.
ㆍ한 줄 코드 루틴: [사건]–[인과/전환]–[오늘의 의미]로 스스로 문장화(예: “경신환국=유악→남인 축출→서인 집권(노·소 분화의 예고)”).
ㆍ200자 리와인드: 사실 80자–맥락 80자–질문 40자로 수업 마무리.
ㆍ사진 한 장 토론: 사료 이미지를 두고 사실–해석–의미 3문장 쓰기.
이 세 가지를 돌리면, 학생들은 “이렇게 기묘한 일이!”라고 웃으면서도 맥락을 정확히 말하는 힘을 키워 간다.

종합하면, 《서경석의 한국사 한 권》은 사건의 박물관이 아니라 기억의 공방이다. 광복절에 이 책을 펼치는 일은 과거를 기념하는 행위를 넘어, 오늘의 언어로 역사를 말하는 연습이 된다. 입문자는 부담 없이, 재입문자는 흐릿했던 고리를 선명하게—웃으며 읽고, 오래 남는다. 그리고 그 기억은 지금의 선택을 바꾸는 힘이 된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서경석의한국사한권 #서경석 #창비교육 #한국사입문 #스토리텔링역사 #한줄코드 #역사문해력 #책읽는샘 #함께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