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무서워... 내가 처음 이 글을 읽으면서 느꼈던 것은 무섭다는거였다. 정말로 이 세상이 눈먼 자들의 세상이 되어버린다면 나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진즉부터 눈이 보이지 않았던 사람과 아무렇지도 않게 살아가던 사람이 온통 검은색의 세상을 만나게 되는 느낌은 과연 어떤 차이가 있을까? 가만히 앉아 눈을 감아 본다. 세상이 온통 먹빛이다. 그러다가 알 수 없는 소용돌이를 본 것도 같다는 생각을 한다.그런데 이 책속에서 만나지는 것은 온통 먹빛인 세상이 아니라 하얀 어둠이다. 온통 하얀 세상... 그러나 아무것도 바라볼 수 없는 세상... 거기에는 두려움과 절망과 포기만이 있을 뿐이다.
어느날 운전을 하며 집으로 가던 한 남자는 신호등 아래서 그만 눈이 멀어버린다. 신호등이 바뀌고 뒤에 있는 차들은 경적을 울려댄다. 하지만 그 남자는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 사람들이 모여들고 왁자지껄하게 한마디씩 거드는 틈을 타서 착한 남자가 말한다. 내가 당신을 집까지 데려다 주겠소.. 하지만 그 남자 역시 실명을 하게 되고 그 실명은 전염병이 되어 실명을 한 남자를 치료를 해 주었던 병원의 의사나 간호사, 그 착한 남자를 거쳐 갔던 경찰관이나 모든 사람들이 마치도 줄에 꿰인 듯 하나씩 하나씩 실명을 당한다. 놀란 정부에서는 그들을 격리시키게 된다. 하지만 그곳은 일상적인 병원이 아니다. 버려진 정신병원... 너무나 황폐한, 그리고 너무나 을씨년스러운 곳.. 그리고 그곳의 사정은 넘쳐나는 실명자의 숫자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수용소에서의 생활은 그야말로 최악이다. 그런 와중에서도 나는 하나의 희망을 본다. 단지 남편을 보호하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수용소에 갇힌 아직, 눈이 멀지 않은 의사의 아내. 아니 어쩌면 그녀는 이 글이 끝날때까지 눈이 멀지 않을 것이다. 가장 처음 수용소내의 같은 병실로 수감되게 된 일곱사람.. 처음 눈을 멀게 된 남자와 그 남자의 아내, 안과의사와 그의 아내, 그리고 검은 색안경을 썼던 여자와 엄마를 잃은 소년, 검은 안대를 한 노인, 이렇게 일곱 사람은 눈 뜬 의사의 아내에게 너무도 무거운 책임과 과제로 남겨진다. 차라리 눈이 멀고 싶다던 그녀의 마음, 나는 눈이 멀지 않았다고, 나는 볼 수 있다고 말하고 싶던 그녀에게 남편은 말한다. 아니, 차라리 말하지 않는게 나아. 당신이 이 많은 사람들의 노예가 되는 것은 싫어... 지옥같은 수용소의 생활속에서도 착취하는 계급이 생겨나고 약탈과 강간등 말로 할 수 없는 일들이 벌어지기 시작한다. 자신에게 묶여진 사람들을 위하여 헌신과 봉사를 하는 의사의 아내는 불의에 맞서 결국 살인을 저지르게 되고 불이 난 수용소를 탈출하게 되지만 그들 앞에 놓인 자유는 진정한 자유가 아니다.
그 여자는 도대체 어디 있는거야. 나 여기 있어요..내가 그애 손을 꼭잡고 있어요, 아이를 떼어내려면 내 팔부터 잘라야 할거예요, 다른 손으로는 남편손을 잡고 있어요, 그리고 내 뒤에 검은 색안경을 썼던 여자가 오고 있어요, 그 다음에는 검은 안대를 한 노인이, 그 다음에는 첫 번째로 눈이 먼 남자가, 그 다음에는 그 사람 아내가 와요, 모두 함께 있어요, 솔방울처럼 꼭 붙어 있어요, 이 열기속에서도 솔방울이 벌어지지 않기를 바랄 뿐이에요... 그 지옥같은 수용소내에서 똑같이 실명이란 불행을 겪으면서도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인간의 이기주의와 개인주의는 정말 역겨웠다. 역겹다 못해 허무했다. 자기자신의 존재의식마져 상실한 채 그저 동물적인 욕구와 본능에만 충실하기 위한 그들의 움직임은 그야말로 동물이 아니고 무엇이랴 싶었다. 눈이 있으나 보고 싶지 않았을 의사의 아내가 더 참담하게 느껴졌다. 차라리 내가 들어가서 그녀의 팔에 매달린 것들을 떼어내주고 싶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끝까지 일곱사람과 함께 하며 일곱사람의 희망으로 남아준다. 굳이 여기서 일곱사람이라고 말을 하는 것은 어쩌면 그녀 자신에게도 그녀의 눈은 희망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하는 까닭이다.
자기 자신을 잃지 마시오, 자기 자신이 사라지도록 내버려두지 마시오... 첫 번째로 눈이 먼 남자의 집에 찾아갔을 때 그곳에 머물러 있던 작가는 이렇게 말했었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일까? 사람이 사람으로써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책을 읽던 도중에 나는 그만 손에서 책을 내려놓고 싶었다. 너무나 묵직하고 답답한 알 수 없는 무엇이 계속해서 나를 짓눌러대고 있는 것 같은 느낌때문이었다. 내 목소리가 바로 나요.. 라고 말하던 사람의 가슴속은 어떠했을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그저 하얀세상속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잃지 않는다는 건 또 얼마나 커다란 의미를 가지는가? 가만히 돌아보면 우리의 일곱사람 모두는 나 외의 타인에 대한 배려를 잊지 않았던 것 같다. 가슴속에 기억해 두었던 관계의 사슬을 끊지 않은 채 살아가고 있었던 것 같다. 그랬기에 마지막까지 사람다움을 잃지 않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조직이 있어야지, 인간의 몸 역시 조직된 체계야, 몸도 조직되어 있어야 살 수 있지, 죽음이란 조직 해체의 결과일 뿐이야. 눈먼 사람들의 사회가 어떻게 조직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겠어요. 스스로를 조직해야지, 자신을 조직한다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눈을 갖기 시작하는 거야.... 각 거리마다, 각 지역마다 각 건물마다 조직이 있어야 한다고 의사가 말했을 때 나는 문득 인간이란 것은 틀에 묶여진채로 살아가야 하는 존재인 모양이라고 생각했었다. 어떤 규칙과 룰이 없다면 제멋대로일 뿐인, 그야말로 아무것도 아닌 하나일 뿐인 존재, 그것이 바로 인간이 아닐까 싶었다. 스스로를 조직해야 한다는 말을 앞에 두고서 나는 둔중한 무엇인가로 한대 맞은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렇구나, 세상의 조직이라는 것도 결국은 나로부터 시작되어지는 것을... 죽음보다도 눈이 멀것을 걱정하던 의사의 아내는 아마도 희망을 버리지 말아달라고 부탁하고 싶었던 건지도 모를일이다.
다른 사람들과 사는 것이 어려운 게 아니야,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운 거지... 한시간, 하루를 살면서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요구하는 이해와 배려의 깊이는 얼만큼이나 될까? 또한 이해와 배려를 받는만큼 나는 그들을 이해하고 배려해주고 있는가? 이해하고 배려해주지 못한다면, 이해하려는 마음이나 배려해 주고 싶어하는 마음의 깊이는 얼마나 되겠는가 말이다. 책속에서 만나졌던 화두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잊지 말아야 할 것과 잃어버리면 안되는 것들이 아닐까 싶었다. 너무나도 무겁게 다가왔던 그 느낌들이 아마도 그런 것들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지금 내가 잊고 사는 것은 무엇이며 잃어버린채 살아가고 있는 것들은 또 무엇인가? 나 자신을 되짚어 하나둘 헤아려 보고 싶은 생각이 불현듯 들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마침내 그들에게서 하얀 장막이 벗겨지기 시작했다. 그들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다시 태어났을까? 하나 둘씩 장막이 벗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주인공들은 그냥 그렇게 당분간은 살아가자고 말한다. 어쩌면 또다른 두려움일런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함께였다는 것을 떠난다는 것이 두려웠는지도 모르겠다. 눈멀었던 시간속에서 존재했던 그들의 일상과 다시 눈을 뜨게 된 시간속에서 그들에게 다시 찾아온 일상의 모든 것들은 과연 그들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왔을까?
왜 우리가 눈이 멀게 된 거죠. 모르겠어, 언젠가는 알게 되겠지.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응, 알고 싶어.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눈을 뜨는 공간속에서 의사와 그의 아내가 하는 문답이 참으로 아팠다. 야성으로 변하지 않았던 눈물을 핥아주는 개의 모습을 떠올려본다. 이미 눈 멀어버린 세상속에서 찾아낸 한사람의 눈동자속에서 그 개는 생각했었다. 굳이 시체더미와 쓰레기더미속에서 헤매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눈이 멀었던 세상과 다시 눈을 뜨게 된 세상속에서도 같은 선택을 할 수 있었던 검은 색안경의 여자의 마음속에 담겨져 있었던 것은 무엇일까? 단순히 사랑이라는 피상적인 말은 하고 싶지 않다. 사랑도 때때로 자신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므로...그것조차 사람의 일이므로... /아이비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