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나, 김처선
이수광 지음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이 드라마가 시작되었는가? 나는 알 수 없다. 어지간해서는 TV를 보지 않는 까닭이기도 하지만 굳이 드라마를 찾아서 보고 싶지는 않다. 익히 알고 있는 혹은 너무도 흔한 조선사의 일화가 이야기의 배경으로 쓰여졌다. 사적인 느낌으로 말하라고 한다면 마치도 일전에 대흥행을 일으켰던 영화 <왕의 남자>를 탄생시키기 위해 쓰여진 글처럼 보여진다는 거다. 그만큼 이 이야기의 흐름을 잡아내지 못한 탓이려니 한다. 어쩌면 나의 기대가 너무 컸던 탓도 있으려니 한다. 어쩌면 영화라는 틀속에서 만났던 이야기의 내용이 너무 강하게 다가왔던 탓도 있으려니 한다. 

내시, 어릴 때에 거세를 당하고 궁궐에 들어와 그야말로 불목하니처럼 살아가는 존재.. 하지만 때로 권세를 갖고자 그 욕망을 표출했던 이도 있었다. 때로 권세가들의 손발 노릇을 해주며 그 자신도 그에 못지 않은 힘을 가진 자도 있었다고 한다. 속살거리는 자.. 이것이 내시가 아니었을까? 나는 솔직히 잘은 모르겠다. 거세를 함으로써 오는 신체의 변화에 대해서는. 하지만 책속의 내용을 빌어서라도 말을 한다면 어찌되었든 그들은 속살거리는 자들이 분명했을거라는 생각을 한다. 어쩌면 그것은 자신에게 처해진 현실에 대한 반항이었을 것이며, 어쩌면 그것은 결코 벗어날 수 없었던 운명에 거스르고 싶어하는 처절한 그들의 몸부림이었을지도 모를 일이지만 말이다.

나는 그냥 내시면 내시일뿐이라고만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이 책속의 세상은 그런 나에게 보란듯이 비웃음을 보여준다. 물론 모든 내시들이 다 그런 것은 아니었을 것이나 개중에는 학문이 높았던 내시도 있었고, 또한 나름대로 학구열이 높아 책을 가까이 하는 내시도 있었을 것이다.  왕조차도 '조금 지식이 있는 자들'이라고 말했다고 하니 말이다. 학과와 무과를 포함하여 일정기간 동안 엄격한 교육을 받았다고 하니 말이다. 자신들의 신분에 걸맞는 시험을 보기도 하였다니 참 놀랍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시는 그냥 내시일뿐이라는 나의 의식은 아마도 그들에 대한 어떤 정보조차도 가질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리라. 

더군다나 그들은 가정을 이루고 살았다고 한다. 물론 직급이 높을 경우에야 있을 법한 일이지만 말이다. 내시 김처선과 그의 식솔들에 관한 이야기는 왠지 서글픈 느낌으로 다가왔다. 김처선의 아내 향이가 그의 무덤에 찾아와 술한잔 하며 내뱉는 독백의 끝에서 나는 오랜 외로움을 보았다. 사람은 마음만으로는 살수 없다는 것을.. 사람은 누구나 자기 자신의 존재가치를 인정받고 싶어한다는 것을..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아픔을 함께 안아줄 누군가에게 기대고 싶어한다는 것을.. 그들이 나누었던 사랑은 어떤 사랑이었을까? 죽음 뒤의 세상에서도 다시 만나고 싶어하는 향이는 이렇게 말했지, 첩도 두고 아들도 둡시다. 하지만 아들만큼은 내가 낳을테요, 라고. 끝내 자신의 속깊은 공허를 드러내는 그 장면은 흔한 말로 사람은 무엇으로 살아가는 것일까? 하고 되묻게 되는 장면이 아닌가 싶었다.

잘은 모르겠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왠지 김처선이란 인물이 주인공이 아닌 주변인물처럼 느껴졌다. 어지러운 난국을 헤쳐나오며 여러명의 왕을 모셨다는 김처선.. 그의 시선으로 그 시대를 바라볼 수 없음이 안타까웠다. 내내 주변을 맴돌며 차마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김처선이란 이미지가 못내 껄끄러웠다. 그냥 연산군의 시절로 가기 위한 하나의 돌다리위에 잠시 서 있었던 듯한 느낌이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