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륜이 제대로 들어난 소재.. 그러나 그런 불륜조차도 포옹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영화..
우리의 삶은 예정되어지지 않음의 연속이다. 그랬기에 다가오는 모든 순간들이 희열 또는 아픔일게다.
처음부터 내것이라고 넙죽 받아들일 수 없는 그런 것들이 모여 종내는 모두 내것으로 산화되어져 버리고마는.. 그래서 아픔일 수도 있고 행복일 수도 있는.. 그래서 넙죽 받아들이기에는 조금 더 망설여지는 그런 것들.. 그런 것들이 너무도 싫었던 때가 있었다. 사랑이 다시 찾아오면 오던 길로 가리라던 어느 여가수의 노래처럼 그렇게 저기 멀리쯤에서부터 그 사랑이 보여지는 것이라면 차라리 아무 문제도 없을 것 같은데... 알 수 없다.
이런 영화를 볼 때마다 가슴속을 두드리는 물음표의 방문을 받게 된다. 사랑은 아픔일까?
화면혹에서 보여지는 사랑의 모습은 처음에는 기쁨이었다가 나중에는 슬픔이기도 하고, 처음부터 슬픔으로 짓눌렀던 사랑이 나중에는 기쁨으로 승화되어져 웃게 만드는 그런 모습도 있다.
하지만 낯설음이었다가 설레임으로 변화되는 그 사랑의 모습은 언제 보아도 향기롭다.
어떤 영화에서는 그렇게 외쳤었다.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하지만 사랑도 변한다. 시간이 가는데 그 시간이 사랑을 그냥 놔둘리가 없다.
그 시간속에서 변해가는 그 모습 또한 내가 간직해야할 사랑이 분명할테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 미흔... 12월 24일 밤의 충격으로 마음을 닫아버린 여자. 빨래를 개고 있던 미흔 앞에서 빨리 끝내고 자면 안되느냐고 보채던 남편을 행복하게 바라보던 그 여자의 불행은 낯선 여자가 찾아왔던 그날밤부터였다. 그 낯선여자가 아주 당당하게 말 할 수 있었던 '모든 것을 빨아들일 것만 같은 사랑'은 과연 어떤 사랑이었을까를 생각한다. 그리고 그여자 미흔의 일상을 만들어주던 행복은 사라져버리고 말았지.. 6개월 후 그들이 다시 자리잡게 된 낯선 소도시의 그림같은 풍경을 바라보면서 나는 우리가 언제나 꿈꾸며 살아가는 그 평안을 거기서 찾는다. 아무렇지도 않게 다가서는 그 풍경처럼 그렇게 낯설지 않은 행복.. 내가 어쩌면 그런 행복을 꿈꾸며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지만 불행하게도 그런 행복은 없는 것 같다. 슬픔에서부터 삶의 환희는 비롯되어지는 거라던 그 여자, 미흔의 마지막 말이 내 가슴을 울리는 걸 보면 말이다. 서글픈 가족사의 비애를 안은 채 버려진 텅 빈 그 집에서 그녀가 바라보았던 깨진 액자속의 젊은 부부처럼 우리의 모든 사랑이 어쩌면 그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12월 24일 이후로 모든 것들로부터 자신을 떼어내기 위하여 무던히도 애쓰던 그녀의 표정없는 시간들이 너무 아프게 다가왔다. 그 여자속에서 숨쉬는 모든 시간들이 아무런 의미를 갖지 않기 위해 악착같이 스스로를 포기해버리던 순간들이 너무도 안스러웠다. 저 여자 어떻게 해! 어떻게 하면 좋아!
최 인규... 이런 게임 한번 해보실래요? 서로 원할 때 만나고 섹스도 즐기고... 하지만 이 게임에는 어떤 규칙이 있답니다. 사랑한다고 먼저 말하는 사람이 지는 거예요... 그 남자는 이렇게 말했었고 그 여자 미흔은 이렇게 물었었다. 왜 그런 게임을 해야 하죠? 그런 게임을 하는 여자들도 있나요? 그랬던 그들이 결국 그 게임에 빠져들게 되는 상황이 왠지 껄끄럽지가 않다. 괜찮은 외모를 가졌고 직업이 의사인, 속된 말로 얘기해서 정말 선수(?)같은 그 남자 인규의 꼬임에 빠져버린 것도 아닌 것 같다. 타락하고 싶어 미칠 것 같은 여자들만이 빠져들 것 같았던 그런 게임에 그녀 스스로가 뛰어들게 만드는 그 남자 인규의 속성은 무엇이었을까? 왠만한 사랑은 시간의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수순을 밟아가기 마련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사랑한다는 말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버린다면 그 다음은 뻔하다. 원점회귀.. 다시 자신을 버리기위해 아니 버릴 수 밖에 없었던 그 상태로 되돌아가기.. 가만히 생각해보면 그 남자 인규속에도 보여줄 수 없고 말할 수 없었던 깊은 절망이 있었던 것 같다. 그 절망속에서 헤어나기 위해 어쩌면 그런 게임에 도전장을 던진 건지도 모를 일이다. 표현하지 못하는 게 아니라 표현할 수 없었던 그런 아픔을 깊이 간직한 채 살아가야 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나는 그 남자 인규에게 주문을 걸어주고 싶었었다. 다시 한번만 그 게임에서 고의적인 항복을 외쳐보라고...
密愛... 아이러니하게도 미흔의 모든 것을 빼앗아 갔던 상황들이 똑같은 모습으로 다가와 그녀가 잃어버렸던 모든 것들을 되돌려주고자 한다. 어쩌면 미흔에게는 하나의 반항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녀의 살갗을 뚫고 올라오던 두려움속의 희열을 그녀는 평생 잊지 못할 거라는 생각을 한다. 그 반항적 일탈이 그녀 깊숙히 각인되어져 그녀에게는 삶을 살아내는 하나의 버팀목으로 자리할거라는 생각을 한다. 정말로 그랬다. 그 좁은 나비마을에서 딱 한사람 남편만 빼놓고 그들의 밀애를 모두 알아버렸을 때만해도 그들 두 사람에게는 별로 달라질 게 없었다. 떠나보지도 못한 채 끝내야 했던 그들만의 원행은 그녀에게서 그 남자를 빼앗아갔지만 그 남자와 함께 했었던 모든 것들이 그녀에게는 남아 있었다. 특이하게도 이 영화는 가족이라는 테두리를 벗아난 듯 하다. 여덟살 먹은 딸아이에게도 자신의 과거 때문에 속죄하듯이 그녀 곁에서 머물렀던 남편에게도 어떤 의미를 부여해주고 싶어하지 않은 것 같다. 그들이 그냥 그녀의 곁에 머무는 일상같은 존재로만 보여졌던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물먹은 스펀지마냥 미흔역을 한껏 품어 안은 김윤진의 연기는 정말 끝내준다. 역시 멋진 배우다. 그녀가 발산해냈던 이미흔의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쩌면 많은 시간이 필요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별스러울 것도 없이 그저 평범한 이야기를 소재로 만들어진 이 영화를 보면서 내 안이 무언가로 꽉 채워진 듯한 느낌을 받았던 영화였다. 오늘 무슨 날이신가봐요, 혼자서 사진을 찍으시는 걸 보면? 아니요... 그냥 사진이 없어서요... 사진관의 의자에 앉아 카메라를 바라보는 그녀의 표정에 평안이 묻어있다. 그녀 미흔에게 더이상의 아픔이 없었으면 좋겠다.
넌 나하고 놀 수 없어. 길들여지지 않았거든..
그런데 길들여진다는 게 무슨 뜻이야?
그건 많이 잊혀진 말인데,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야..
네가 나를 길들인다면 우리는 서로가 필요해지는 거야. 넌 내게 이 세상에 하나뿐인 사람이 되는 거고 나도 너에게 이 세상에 하나뿐인 여우가 되는 거지.. 따분하지만 네가 나를 길들인다면, 내 생활은 밝아질 거야. 네 발자국 소리가 다른 발자국 소리와 다르게 들릴 거야...
어린 왕자에게 여우가 이렇게 말했었다. 길들여진다는 건 행복한 일일까? 여우의 말처럼 길들여졌을 때 찾아온 행복은 너무 익숙해 느끼지 못하는 행복이 되어버릴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토록 많은 시간속에서 행복을 찾아 두리번거리고 또다시 길들여지기 위해 방황하는지도 모를 일이다. 인규의 말처럼 우리가 사랑한다고 말을 하고 그 사랑의 종착역인 결혼을 하고, 그렇게 되면 우리는 다시 처음과 똑같아질 뿐이라고... 하지만 미흔은 끝내 사랑한다고 말하지 못했던 그 연인을 가슴속에 품었으니 행복하겠다... /아이비생각
<이미지는 영화포스터에서 빌려왔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