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의 미래 - 앨빈 토플러 (양장)
앨빈 토플러 지음, 김중웅 옮김 / 청림출판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9대의 차가 달리고 있다.
①시속 100마일로 달리는 차..
가장 빠르게 변화하는 기관(기업이나 사업체)들이 타고 있다.
②시속 90마일로 달리는 차..
2등 조직은 마치 서커스 광대들처럼 여럿이 한차에 올라탄다.
그들은 바로 집단적으로 견해를 형성하는 시민단체들이다.
③시속 60마일로 달리는 차..
급속도로 달라지고 있는 가족이 타고 있다.
④시속 30마일로 달리는 차..
살아남기 위해 애를 쓰는 노동조합이 타고 있다.
⑤시속 25마일로 달리는 차에는
소리만 요란한 정부 관료조직과 규제 기관들이 타고 있다.
⑥시속 10마일로 달리는 차는
타이어는 펑크가 나서 흔들거리고, 라디에이터에선느 연기가 뿜어져나온다.
이 차량은 뒤따라오는 차까지 속도를 낼 수 없게 만든다. 학교가 타고 있다.
⑦시속 5마일로 달리는 차..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역기능적인 조직들 즉 세계적인 관리기구들이 타고 있다.
⑧시속 3마일로 달리는 차에는 누가 타고 있을까? 바로 정치조직이다.
⑨시속 1마일로 달리는 차에는 가장 느리게 변화하는 법이 타고 있다.<69-70쪽 참조>
위의 글을 읽으면서 나는 많은 혼돈을 느껴야 했다.
어째서 가장 빠르게 변화를 요하는 것들이 가장 늦은 순위로 변화를 해야 하는 것인지..
어째서 앞서가야 할 사람들의 변화가 가장 나중으로 미뤄져야 했는지..
이 책에서는 시간과 공간에 따르는 미래의 모습을 여러형태로 예시해주고 있는 듯 하다.
그리고 우리에게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지, 또한 우리를 필요로 하는 것들은 무엇인지
깊은 눈길로 짚어내려 간다.
제 6부의 프로슈밍을 읽으면서 나는 참으로 놀라웠다.
제3의 직업과 자가 서비스 활동을 통해 무보수로 일을 수행한다는
프로슈머에 대한 이야기<295-297쪽 참조>는 읽을수록 고개를 끄덕거리게 만들었다.
모든 일들이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되어질 수 있다는 것은
나 자신의 변화에 커다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메세지로 들렸다.
그렇다면 나는 나 자신의 변화에 얼마나 관대한가?
현실에 안주하고 싶어 안달하는 나를 바라보면서 쓴 웃음을 지을 수 밖에 없었다.
작자는 제 7부의 데카당스를 통해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모습,
폭발하기 직전의 모습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처해있는 위기를 속속들이 들춰내며 그 위기를 헤쳐나갈 길을 빨리 찾아야한다는 듯이.
그리고 이렇게 말한다.
오늘날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이상스런 행위의 대부분은 우리 사회에 일고 있는
쇠퇴와 혁명적인 부활간의 투쟁을 반영한다고.
부의 혁명은 컴퓨터와 하드웨어 이상의 것이며 단순한 경제적 문제 이상의 것이다.
부의 혁명은 사회적,제도적,교육적, 문화적,정치적 혁명이다.<430쪽>
어느책에선가 읽었던 기억이 난다.
세계의 눈길이 아시아로 몰려들고 있다던 말을.
이 책에서도 중국,일본,한국을 아시아의 대표주자로 설명하고 있다.
중국으로 중국으로 몰려들고 있는 세계경제의 흐름을 말하지 않아도
우리는 아주 가까운 우리의 모든 생활속에서 maid in china를 만나고 있다.
아직까지도 일제라면 괜찮은 인상을 갖고 있는 것또한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글속에서조차 한국이 가장 위태로운듯이 보여진다.
그 위태로움속에서 우리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우리의 직업과 주식 투자,제품,권리로부터 시작하여 우리 아이들이 입게 될 옷이나
그들이 사용할 컴퓨터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중국은 이제 우리 모두의 일부분이 되었다.
때때로 일본은 대나무와 같은 말을 많이 한다.대나무는 녹색줄기의 수직으로 뻗은 부분에
회갈색의 반지처럼 생긴 좁은 마디가 있다.높이 성장하는 대나무의 수직으로 뻗은 줄기는
변화에 대한 일본의 끈질긴 저항을 상징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반지 모양의 굵은 마디는
급격하고 혁명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일본이 한 단계 위의 대나무 마디에 도달하느냐에 따라
세계 모든 지역의 부의 미래가 상당 부분 결정될 것이다.
한국이 속도 지상주의의 문화와 경제 그리고 신중하고 더딘 외교 사이의 모순을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따라 한국은 물론 북한의 미래에도 강력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471,489,499쪽 참조>
현존하는 체제에서는 기계적이고, 교과서 중심인 수업과 표준화된 평가로 인해
교사와 학생 모두가 최후의 창조성까지 말살당한다.<523쪽>
그러나 우리에게는 도착지가 중요하고,또 그래야만 한다.
미래는 도착지에 신경을 쓰는 사람들의 것이기 때문이다.<552쪽>
이 책에서 작자가 다루는 분야는 너무나도 광범위하다.
의학이나 과학,경제학,사회학등 박학다식한 저자의 식견에 존경을 표하게 된다.
솔직히 어떤 커다란 존재의 흐름을 읽어낸다는 게 그리 쉬운 일은 아닐것이다.
하물며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복잡한 세상의 흐름을 읽는다는 건 생각지도 못할 일이다.
이 책을 읽는 며칠동안 나는 놀라움과 답답함을 동시에 느껴야 했다.
너무나도 많은 것들이 현재 펼쳐지고 있고
또 그에 따르는 작용들이 앞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견하기도 하는 작자의 말들이
느껴지는 것과 느낄 수 없는 것들로 양분화되어 나를 짓눌렀다.
너무나도 짧고 모자라는 나의 식견으로는 받아들이기 힘겨운 이야기들도 참 많았다.
그래도 이런 것들은....하고 와닿는 느낌들이 있었던 부분부분들을 발췌해 보았다.
나중에 다시 이 책을 한부씩 잘라내가면서 다시 접해볼 요량이지만
<부의 미래>을 읽기 위한 나의 대장정은 일단 여기서 1막을 내리기로 한다. /아이비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