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고 온 것들

    - 황지우, <창작과 비평> 2004, 봄호에서

    반갑게 악수하고 마주앉은 자의 이름이 안 떠올라
    건성으로 아는 체하며, 미안할까봐, 대충대충 화답하는 동안
    나는 기실 그 빈말들한테 미안해,
    창문을 좀 열어두려고 일어난다.

    신이문역으로 전철이 들어오고, 그도 눈치챘으리라,
    또다시 핸드폰이 울리고, 그가 돌아간 뒤

    방금 들은 식당이름도 돌아서면 까먹는데

    나에게 지워진 사람들, 주소도 안 떠오르는 거리들, 약속 장소와 날짜들,
    부끄러워해야 할 것들, 지켰어야 했던 것들과 갚아야 할 것들;
    이 얼마나 많은 것들을 세상에다가 그냥 두고 왔을꼬!

    어느날 내가 살었는지 안 살었는지도 모를 삶이여

    좀더 곁에 있어줬어야 할 사람,
    이별을 깨끗하게 못해준 사람,
    아니라고 하지만 뭔가 기대를 했을 사람을
    그냥 두고 온
    거기, 訃告도 닿을 수 없는 그곳에
    제주 風蘭 한점 배달시키랴?

시인은 역시 위대하다. 내가 하고 싶은 말들을 저렇게도 표현할 수 있다니.
두고 온 것들이 유독 생각나는 2004년 크리스마스다.

크리스마스라 당직 순서를 바꿔 내가 사무실에 홀로 나왔다. 함께 일하는 동료들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고작 이 정도밖에 없지만, 작은 것 하나라도 할 수 있을 때 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아내도 이해하니 오늘 같은 날 사무실을 지킨다.

크리스마스라 전화도 그리 많이 오지 않는다.
박노해 시집 노동의 새벽 20주년 헌정 음반을 크게 틀어 놓고 들었다.

새벽 노동의 고단함이 한꺼번에 밀려오는듯한 목소리로 장사익이 <노동의 새벽>을 불렀고,  태어나서 처음으로 내 입에서 '개X끼'라는 발음을 하도록 만든 노래 <대결>은 노동자 노래패 억새풀과 소리여울이 불렀다. "너흰 돈과 무력 권력만이 전지전능함을 믿지만~ 우린 온 세상이 평등과 사랑 일치될 것을 믿는다~" 정말 그랬다.
김현성이 <평온한 저녁을 위하여>를 흥겨운듯 슬픈듯 불렀고, <가리봉 시장>은 모던 록밴드 언니네 이발관이 불렀다.
이런 노래와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싸이가 N.E.X.T와 함께 <하늘>을 불렀고, <손무덤>은 이주 노동자 밴드 Stop Crackdown이 불렀다. 하드 락인지 메탈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로 시끄럽다. 잘린 손을 묻는 참혹한 풍경을 미친 듯한 음악에 맞춰 비교적 덜 라커적인 음색의 보컬이 부른다.
정태춘은 그만의 '전통적 민중가요(?)'다운 창법으로 <바겐 세일>을 불렀고, 전태일의 동생 전순옥은 <시다의 꿈>을 눈물나게 불렀다. 가수가 아니라서 더 슬프다. 결국 눈물이 쏟아졌다. 내가 시다였던 적도, 공순이 공돌이였던 적도 없는데 왜 이러는 것인지, 모르겠다.
사랑은 곧 실천임을 일깨워줬던 <사랑>을 '조국과 청춘' 출신 가수 겸 라디오 DJ 손병휘가 불렀고, 인디밴드 Ynot은 <아름다운 고백>을 불렀다. 학교 다닐 때 <노동의 새벽>에 <아름다운 고백> 가사를 이어서 마치 한 곡처럼 불렀던 기억이 떠오른다.
가야금의 대가 황병기와 명창 전인삼이 <평온한 저녁을 위하여>를 아까와는 전혀 다른 느낌으로 불렀고, 테크노전자음악 뮤지션 모하비의 마치 LP 판 돌아가는 듯한 배경 음악에 노래패 '메아리' 출신 민중가수 윤선애가 <민들레처럼>을 불렀다. 윤선애의 노래를 들으면 언제나 가슴이 떨린다. 벌써 십 수 년도 넘은 때에 들었던 <언제나 시작은 눈물로> <저 평등의 땅에>를 다시 듣고 싶어진다.
윤도현이 <이 땅에 살기 위하여>를 불렀고, <겨울새를 본다>는 한대수가 불렀다. 한대수의 목소리를 듣자니 가사는 귀에 들어오지 않고 갑자기 물이 마시고 싶다.

1984년 타오르는 5월에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의 암울한 생활 속에서도 희망과 웃음을 잃지 않고 열심히 살며 할동하는 노동형제들에게 조촐한 술 한상으로 바"친다며 박노해가 세상에 내놓은 시집을, 80년대적 치열함과 90년대적 해체의 사이에서 듣고 따라 불렀다. 그 때, 그랬다. 세상에 대해 부정적이지만 따뜻했고, 확률은 낮았지만 거대한 희망이 있었다. 그 때, 나 역시 그러했다.

십 수년이 지났다.
싸울 대상을 바꾼채 나는 여전히 싸우고 있다. 투쟁의 상대를 바꾼채 여전히 나는 투쟁하고 있다. 싸우고 투쟁하는 이유는 사라지고, 관성의 법칙 탓인지 그 행동만 아직 남아, 대상을 바꿔가며 스스로 전장에 선 것처럼 나를 이끌고 있다. 바깥 세상에 대해 아무런 적의(敵意)도 없이 오로지 나와 싸울 뿐이다.

옛 사람이 찾아와 누구를 위한 싸움이고 누구를 위한 투쟁인지 물으면 고개를 숙일 수밖에 없다. 첫째는 나를 위함이요, 둘째는 나의 가족을 위함이요, 그 셋째는 나를 아는 모든 사람들을 위함이나, 그 때처럼 세상을 바꿀만한 기백은 남아있지 않다.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 스스로 위로하지만 사랑하는 이가 떠나간 것 마냥 때때로 허전하다.

윤선애의 <민들레처럼>은 언제나 들어도 멋있는 노래다.
혼자 있으니 목청껏 노래 부를 수 있어 더 좋다.

민들레꽃처럼 살아야한다 / 내 가슴에 새긴 불타는 투혼 / 무수한 발길에 짓밟힌 대도 / 민들레처럼
모질고 모진 이 생존의 땅에 / 내가 가야할 저 투쟁의 길에 / 온몸 부딪히며 살아야 한다 / 민들레처럼
특별하지 않을지라도 / 결코 빛나지 않을지라도 / 흔하고 너른 들풀과 어우러져 / 거침없이 피어나는 민들레 / 아- 민들레 뜨거운 가슴 / 수천 수백의 꽃씨가 되어 / 아- 해방의 봄을 부른다 / 민들레의 투혼으로

*
오늘 저녁에는 대학 때 만난 사람들과의 모임이 있다.
아주 오랜만에 편안한 마음으로 그 모임에 나가려 한다. 그동안 참 많이 바빴다.

**
윤선애의 음원을 구할 수 없어, 꽃다지가 부른 <민들레처럼>을 링크합니다.
☞ 민들레처럼 - 꽃다지  [출처 : PLsong.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