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피그말리온이 그가 조각한 석상을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아프로디테가 석상에 생명을 불어넣어 사람이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 여인의 이름은 갈라테이아입니다. 이런 신화 이야기를 토대로 심리학에서는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말합니다. 결국 타인이 나를 존중하고 나에게 기대하는 것이 있으면 기대에 부응하는 쪽으로 변하려고 노력하여 그렇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교육심리학에서는 교사의 관심이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이 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번역되어 출간된 《교실의 피그말리온(Pygmalion in the classroom)》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책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공허한 칭찬과 입에 발린 칭찬은 동물들조차 쉽게 알아채고 이내 무감각해집니다. 중요한 것은 정말 제대로, 애정을 가지고 관찰하여 그들이 잘하고 있는 점 - 긍정적인 면을 집어내야 한다는 것을 이 책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나를 매우 깐깐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나의 아내는 내가 아직도 무뚝뚝한 경상도 남자의 속성이 많이 남아있다고 느끼는 것 같습니다. 애정과 기대가 어린 격려의 말과 칭찬이 부족하다는 뜻일 것입니다.
신나는 조직을 만들고 화기애애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서 진정으로 애정을 가지고 그들에게 '기대'하고 '칭찬'해야겠습니다.
한번도 애정이 없다고 생각한 적은 없습니다. 이를 제대로 표현함으로써 그 바람과 애정이 더욱 적극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도 알고 있지만 실천하기 쉽지 않습니다. 피그말리온도 자신의 바람을 아프로디테 제단 앞에서 말로써 간절하게 기도를 하였기에 아프로디테가 알았던 것입니다. 신들도 인간이 말을 해야 그것을 제대로 알아듣는데, 하물며 사람과 사람 사이에 있어서는 오죽하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