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이전>은 1억1만3천 번을 읽었고, <노자전> <분왕> <벽력금> <주책> <능허대기> <의금장> <보망장>은 2만 번을 읽었다. <제책> <귀신장> <목가산기> <제구양문> <중용서>는 1만8천 번, <송설존의서> <송수재서> <백리해장>은 1만5천 번, <획란해> <사설> <송고한상인서> <남전현승청벽기> <송궁문> <연희정기> …(중략)… <장군묘갈명>은 1만3천 번을 읽었다. <용설>은 2만 번을 읽었고, <제악어문>은 1만4천 번을 읽었다. 모두 36편이다.
…(중략)…
갑술년(1634)부터 경술년(1670) 사이에 《장자》와《사기》,《대학》과《중용》은 많이 읽지 않은 것은 아니나, 읽은 횟수가 만 번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에 <독수기>에는 싣지 않았다.
위 글은 김득신(金得臣, 1604~1684)의 <독수기(讀數記)>에 나오는 일부입니다. 만 번 이상 읽은 36편의 문장을 나열하고, 만 번 이하로 읽은 것은 아예 꼽지도 않았다고 쓰고 있습니다. 처음엔 좀 과장이 심하다 싶었는데, 책(《미쳐야 미친다》,정민著)을 읽다보니 허튼 소리가 아님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단, 당시 1억은 오늘날 10만에 해당되는 숫자입니다.)
제가 즐겨 쓰는 말 중에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意自現)'이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글을 백번 읽으면 뜻이 저절로 나타난다'는 뜻으로 후한 헌제 때 동우(董遇)라는 학자가 처음 제자들을 받아들일 때 하던 말입니다. 제자들이 시간이 없다고 볼멘 소리를 하면 '세 가지 여분'을 갖고 하라고 일러 주었습니다. 그 세 가지 여분이란, '겨울, 밤, 비오는 때'입니다. 한 해의 여분인 겨울과, 한 날의 여분인 밤, 한 때의 여분인 비오는 때가 있는데, 시간이 없다는 말은 변명일 뿐이라는 게 그의 뜻입니다. '삼국지(三國誌)' 위서(僞書) '왕숙전(王肅傳)'의 주(注)에 나오는 말입니다.
다산 정약용이 천주학쟁이로 몰려 강진으로 귀양 가 있을 때의 일입니다. 그 때 스스로 열 다섯의 나이에 제자이기를 자청하고 온 황상은 다산에게 이런 말을 합니다.
"선생님! 제가 세 가지 병통이 있습니다. 첫째는 너무 둔하고, 둘째는 앞뒤가 꼭 막혔으며, 셋째는 답답한 것입니다."
이에 다산이 말합니다.
"…(생략)…대저 둔한데도 계속 천착하는 사람은 구멍이 넓게 되고, 막혔다가 뚫리면 그 흐름이 성대해진다. 답답한데도 꾸준히 연마하는 사람은 그 빛이 반짝반짝하게 된다. 천착은 어떻게 해야 할까? 부지런히 해야 한다. 뚫는 것은 어찌하나? 부지런히 해야 한다. 연마하는 것은 어떻게 할까? 부지런히 해야 한다. 네가 어떤 자세로 부지런히 해야 할까? 마음을 확고하게 다잡아야 한다."
최근 몸이 너무나 힘들고 지쳐 다른 이들에게 '나만의' 열정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일을 차근차근 챙기지 못하고, 생각하기를 건너 뛰고 행동하기를 미루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게으름은 마약과도 같습니다. 게으름에는 이유가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다산의 말 대로 마음을 확고하게 다잡는 일밖에 없을 것입니다. 오늘 부지런히 산 세 사람의 얘기를 꺼내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