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오늘(6월1일), 회사를 만들었다. 그 전부터 시작은 했지만 오늘이 법인 등록일이었다. 시대가 좋아 중견 회사로부터 넉넉한 자본을 전액 지원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 회사의 대표가 되었다. 출판사이긴 하지만 자본금의 상당 부분을 3개의 사이트를 만드는 데 썼다. 커뮤니티 기반 미래형 출판사를 만들고 싶었으나 결국 실패했다.
2001년 오늘, 대주주인 모회사에 사업을 양도하고, 양수한 회사의 직원으로 돌아갔다. 이 때도 컴퓨터 교재 출판 사업을 하고 있었으나, 이 일은 몇 달 후에 완전히 손을 떼게 된다. 그 때를 즈음해 현재의 개인 웹 사이트 초기 버전을 만들고 워드프로세서와 인터넷정보검색, 비주얼베이직 강좌를 올리기 시작했다.
2002년 이맘 때쯤엔 더이상 나는 출판인이 아니었다. 학원 프랜차이즈 관련 일을 하고 있었다. 사업설명회도 하고, C/S 프로그램과 웹 사이트를 기획·운영하는 팀을 맡고 있었다. 과도기가 서서히 넘어가고 새 일에 대한 적응이 거의 끝난 시점이다. 개인 웹 사이트를 통해 칼럼을 쓰기 시작했고, 오라클과 PHP, 웹 기획 관련 글을 쓰기 시작했다. 글을 쓴다는 건, 아는 만큼 다 내뱉어버리고 그 이상을 더 취하겠다는 의지였다.
2003년 이맘 때쯤엔 나의 의식조차도 완전히 과거의 일로부터 자유로웠다. 나는 웹기획팀장 또는 인터넷사업팀장을 맡으면서 웹의 세계에 두 손 두 발을 모두 담고 있었다.
그 해 말, 약 4년을 몸담았던 회사를 나와, 함께 일하시던 분을 도와 회사를 만들었다. 회사를 나올 때 즈음해서 본격적으로 책 서평을 쓰기 시작했다. 나 자신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화 작업이 필요함을 절실하게 느꼈다. 나는 이를 '나의 지식화 프로젝트'라고 명명한다. 이 프로젝트가 죽는 날까지 계속되기를 바란다.
2004년 오늘, 영진닷컴의 이러닝사업본부를 맡고 있다. 좀 전에 말한 그 회사가 지금의 회사에 합병된 것이다. 이 일은 진행형이다.

매년 나는, 내가 뜻하든 뜻하지 않았든, 변해 있었다. 직장 또는 직업이 바뀌었고, 나의 일이 바뀌었고, 나의 의식 또한 바뀌었다. 앞으로도 '변함없이 변하는' 나의 모습을 기대한다. 그리하여 변증법에서 말하는 '나선형 발전'을 하기를 진심으로 원한다. 현재의 일에 매진하여 마치 그곳에 매몰된 듯하지만, 결국은 그것이 서서히 나를 발전시키는 과정이라는 것 - 변증법적 유물론을 모로 읽으면 이렇게도 해석된다. 자의적 해석일 수도 있지만 완전히 틀린 해석은 아닐 것이다.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