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테의 신곡
다니구치 에리야 엮음, 구스타브 도레 그림, 양억관 옮김 / 황금부엉이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단테의 신곡에 대해 들어보지 않은 사람을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 대서사시를 읽어본 이도 드물 것입니다. 수없이 쏟아지는 찬사에도 불구하고 정작 그 실체에 다가가기는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 굳이 단테의 신곡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말하는 '고전'을 두루 망라한 교양인이 되기는 참으로 어려운 것 같습니다. 단테의 신곡은 서울대에서 선정한 '필독서'에도 포함되어 있으나, 그 '필독서' 목록 200권 중 제가 읽은 것은 극히 일부이며, 앞으로도 읽지 못할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평생 '필독서'를 읽지 못한 '낙제생'으로 살아가야할 것 같습니다^^.
그나마 다행히도 이번 기회에 단테의 신곡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완역본은 아닙니다. 다니구치 에리야가 현대의 독자를 위해 작품의 본질을 쉽고 간결하게 엮어 다시 쓴 글입니다. 원본을 읽어보지 않았으니 작품의 본질이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알 길은 없으나 묵직한 완역본을 읽을 마음은 처음부터 없었습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매 페이지마다 등장하는 일러스트레이션입이 압권입니다. 19세기의 천재 화가 구스타브 도레가 그린 이 그림은 텍스트의 모든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실제 이 그림(판화)는 1861년 구스타브 도레가 자비로 출판을 하여 엄청난 반향을 불러 일으키며 도레라는 이름을 프랑스는 물론이고 전 유럽으로 알리게 한 걸작입니다. 텍스트도 텍스트이지만 이 그림만으로도 책은 충분한 값어치를 하고 있습니다.
신곡의 줄거리에 대해서는 따로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네이버에서 "신곡"을 검색해보면 많은 요약본을 찾을 수 있는데, 저는 그것보다 더 잘 요약할 자신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느낌을 표현할 방법도 마땅치 않습니다. 사실 텍스트를 읽으면서 '감동'을 느낄 수는 없었습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와 기독교, 그리고 단테가 살았던 당시의 이탈리아·유럽의 현실을 뒤섞어 표현한 단테의 상상력이 뛰어나긴 하지만 그 모든 것에 익숙하지 않은 저로서는 단테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제대로 받아안을 수 없었습니다. 이는 전적으로 저의 취약한 인문학적 지식과 토대로부터 기인한 것일뿐, 섣불리 고전의 무용성을 얘기하고자 함이 아닙니다.
다행히 엮은이가 간간히 써놓은 주석과 구스타브 도레의 일러스트가 있어 신곡의 얼개를 이해하는 데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림을 제외하고 텍스트 분량도 많지 않아 출퇴근길에 오며가며 가볍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아마 지하철에서 누군가 제 옆에서 이 책을 힐끗 보았다면 아마도 만화책을 읽고 있지 않나하는 생각이 들었을 것입니다. 그만큼 이 책에서 일러스트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록 저의 일천한 지식과 경험으로 인해 영혼의 구원을 갈망하는 감동을 느낄 수는 없었으나 흥미로는 경험이었습니다. 단테와 신곡, 구스타브 도레에 대해 조금이나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다들 아시다시피 신곡은 <지옥편><연옥편><천국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옥편>에는 생전에 죄를 지은 사람들이 그 죄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영역, 다른 방식으로 고통을 받는 장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 지옥의 제삼 영역은 '게걸스럽게 음식을 탐한 자들이 떨어지는' 지옥입니다. 이곳에 떨어진 망자들을 케르베로스라는 괴물이 발톱으로 몸을 갈갈이 찢어발겨 먹습니다.
교훈) 식탐한 자는 현세에서는 비만과 성인병으로 고생하며 죽어서도 지옥에 떨어져 케르베로스의 먹이가 된다.
**
'케르베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지옥의 문을 지키는 머리 3개에 뱀꼬리 모양의 개를 말합니다. 이 외에도 신곡에는 수많은 그리스 신화의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그런데 이 신화속 인물들은 지옥이나 연옥에서는 보이는데 천국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제가 못찾은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