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2.0 이노베이션
오가오 히로시 외 지음, 권민 옮김 / 브라이언앤컴퍼니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블로그,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롱테일, XML, 퍼머링크, 트랙백, RSS, 위키(wiki), 오픈소스 CMS,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풍부한 사용자 경험(Rich User Experience), Ajax, 구글, 구글 애드센스, 포크소노미(folksonomy), 소셜 태깅, 매시업(mash up), 아이튠즈, 아마존 본문검색, 아마존 고객 리뷰, 위키피디아 …….

들어보신 용어도 있을 테지만 완전히 낯선 단어도 많을 것입니다. 모두 '웹 2.0' 트렌드를 나타내는 용어들입니다. '웹 2.0'이란 어떤 기술이나 서비스, 제품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제2세대 웹이라는 뜻입니다. 즉 최근 몇 년간에 걸쳐 일어난 웹의 환경 변화와 트렌드를 종합하여 나타내는 말입니다.

네이버에서 검색하기 위해 단어를 입력할 때 자동으로 검색어를 완성해주는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이 있어 검색이 참 편리해졌습니다. 예스24와 같은 인터넷 서점에서도 마찬가지구요. '실시간 인기 검색어'는 사람들로 하여금 왜 인기 검색어가 되었는지 궁금하게 만듭니다. 괜히 나도 따라서 검색해보고 싶게 만듭니다. 인터넷 서점에 가면 장르별로 구분해 놓은 것보다는 '베스트셀러' 코너에 가서 어떤 책이 잘 나가는지 먼저 보게 됩니다. 블로그나 카페에서 글을 퍼오고 퍼담는 행위는 이제는 매우 자연스럽게 되었습니다. 참 많이 편리해졌고, 과거에 비해 참 많이 달라졌습니다. 이러한 현상, 트렌드를 일러 웹 2.0이라고 합니다.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은 리치 인터페이스(rich interface)의 하나입니다.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웹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블로그에서 댓글 보기를 누르면 페이지 전체가 리로딩되지 않고 댓글만 살짝 펼쳐주거나 가리는 기술 또한 리치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인기 검색어나 인터넷 서점의 베스트셀러 코너, 블로그나 카페의 태그 등은 포크소노미(folksonymy)의 한 형태입니다. 포크소노미는 통상적인 분류(taxonomy) 체계가 아니라 '사용자에 의한 분류'라는 뜻입니다.

온라인 사업 관련 종사자들에게 웹 2.0은 참고사항이 아니라 반드시 알아야 할 흐름입니다. 대세입니다. 웹 2.0을 단순히 어떤 기술이나 일시적인 유행어 따위로 생각하면, 단언컨데 반드시 도태되고 말 것입니다. 웹 2.0의 겉모양이나 단편적인 지식에 얽매이지 않고, 이 거대한 흐름의 근본 정신을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살아남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인터넷 비즈니스의 진화는 이미 시작했고, 지금도 진화중입니다. 우리나라에 출간된 웹 2.0 관련 서적 중에서 웹 2.0의 교과서와 같은 책이 바로 《웹 2.0 이노베이션》입니다. 웹 2.0이 어떤 것인지, 그 탄생 배경에서 구체적인 사례, 테크놀로지와 서비스 등 구체적인 부분까지 아주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감히 온라인 사업에 종사하는 모든 이들의 필독서라 할 만합니다. 아직 읽어보지 않으신 분들, 꼭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