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아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23
기 드 모파상 지음, 송덕호 옮김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르주 뒤루아는 다행히도 여자가 아니다. 모파상은 <목걸이>, <여자의 일생> 등으로 유명한데, 대부분이 그렇듯 학창시절 읽는 세계문학전집으로 접할 기회가 있었다. 그즈음 읽은 것들은 줄거리나 교훈 보다는 배경과 이미지로 기억 속 깊은 곳에 남아 있다. 모파상의 것은 포우와 같이 그다지 좋아하는 작품 스타일이 아니었다. 여러번 말했듯, 나는 소재나 주제보다 문체에 더 사로잡힌다. 그럼에도 <벨아미>를 읽게 된 건 단연코 내세울 만한 이유가 있지만 지극히 개인적인 것은 접어두고 나는 이 작품이 매우 맘에 든다. 다만, 뒤루아가 여자였다면 만인의 여자들이 재수없어할 부류였다는 것만은 명확히 알겠다. 나는 이런 여자들이라면 예나 지금이나 매우 싫다. 대신 나라면 엮여서 감수하는 쪽보다는 다가가지 않고 무시하는 편을 택하겠다. 그래왔고 또 그럴 것이다. 가진 걸 휘두르지 못해 안달하는 이들, 겉으로는 명쾌한 척 하지만 뒤에서 온갖 수작 부리는 이들, 알고보면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가능한 많은 일들 앞에서 자기논리는 명료하고 남의 것은 그 반대라는 식으로 일갈하는 이들. 무엇보다도 내 욕망, 이라는 이유로 많은 이들에게 주는 피해를 정당화하려는 이들. 말하지 않는다 해서 괜찮다는 뜻은 아니다. 사랑하지 않는다고 해서 좋아하지 않는다는 게 아닌 것처럼.

 

처음에 벨아미-이는 나중에 뒤루아가 얻게 되는 별명이다-는 평소 너무나도 경멸하고 싶은 부류라서 읽으면서 또는 읽고나서 그에게 동화되고 이해도 하게 될 줄은 전혀 몰랐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나는 여전히 욕망이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원한다는 것과 원하는 것을 가지려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적어도 그 반대인 것보다는.

 

벨아미는 전직 하사관이었지만 지금은 그저그런 철도회사에서 박봉으로 일하는 가난하고 가진 것 없는 남자다. 군대에서 알았던 신문기자 친구 포레스티에를 만나면서 사교계에 발을 들여놓은 그가 욕망을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실행하기까지는 짧은 순간밖에 걸리지 않았다. 옮긴이는 내가 놓친 부분을 얘기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뒤루아에게는 단 3년 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19세기 중후반 파리의 상류 사회는 퇴폐와 자유, 향락, 불륜 혹은 이 모든 것들이 넘실대는 막 걷힌 장이었다 해도 과언 아니다. 다 같이 미쳐있으면 오히려 제 정신인 보통 사람이 이상해보이는 것처럼 경계를 넘어있는 시대였다. 몰라도 아는 척만 하면 되고, '욕망'이 그 어떤 도덕적 가치와 의미보다 상위에 있던 시기이기도 했다. 그들은 종종 서로를 속였고, 자신도 속였다.

 

"누구나 그 이상을 알진 못하지. 궁지에서 벗어날 줄 모르는 스무 명가량의 멍청이들은 예외지만 말일세. 강한 사람으로 보이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네. 어쨌든 중요한 것은 무식하다는 꼬리를 잡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네. 교묘하게 처신해서 어려움에서 빠져나오고 장애물은 피해서 돌아가고 그 나머지 모르는 것들은 사전을 이용해서 남의 눈을 속이는 거지. 인간이란 거위처럼 어리석고 잉어처럼 무식한 법이네." (p.18)

 

무대는 활짝 열려 있었고 아무도 그것을 닫을 마음이라곤 없었다. 벨아미는 친구로부터 신문사 영입제의를 받고-정확히는 기사를 써보겠냐는 제의-그의 집에서 열린 파티에 참석하면서 국회의원이자 신문사 사장 왈테르 가족을 만나 그 자리에서 알제리 정책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면서 처음으로 모두의 시선을 끌게 된다. 특히 포레스티에의 아내 마들렌이 소개한 먼 친척 마렐 부인이 이 날부터 자기에게 호감이 있다는 걸 알고부터는 자신의 외모와 말투와 대화방식이 상대를 사로잡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하면서-한 마디로 자신이 먹힌다는 사실을 안 것-어깨에 힘을 잔뜩 주고 빳빳하게 온 사교장을 누빈다. 남자가 여자에게 혹은 여자가 남자에게 반하는 데는 때로 1초도 걸리지 않는다. 번드르르한 외모와 상냥하고 친절한 말투, 자기에게 호감이 있다는 듯 살짝 다가가면서도 튕기는 태도. 무엇보다 빨리 이것들을 깨달은 벨아미였다. 그의 깨달음이 머지않아 모든 이의 희극과 비극을 양성하는데, 여기서 우리는 결정해야 한다. 벨아미를 응원할 것인지, 만류할 것인지. 전자를 선택하는 편이 훨씬 더 편하다는 게 비극이라면 비극이지만. 끌리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다. 나중에 씁쓸한 그의 성공에 박수치며 이건 아니야, 라고 외쳐도 그때는 이미 늦다.

 

 

여기서 이 노래를 떠올렸다. 나는, 뜬금없게도. 몇 번이나 좋아한다고 말했고, 몇 번이나 페이퍼에 등장시키고, 얼마 전에는 무려 현빈이 부르는 것도 올렸던, 바로 그 노래. 에릭 클랩튼의 "원더풀 투나잇". 이 곡을 떠올리면 아무 것 없어도 밤은 언제나 완벽해진다.

 

 

접힌 부분 펼치기 ▼

It's late in the evening
: 늦은 저녁입니다

She's wondering what clothes to wear
: 그녀는 무슨 옷을 입을까 망설입니다.

She puts on her make-up and brushed her long blonde hair
: 화장을 하고 긴 금발머리를 빗어 내립니다

And then she asks me "Do I look all right?"
: 그리고 내게 묻지요 "나 괜찮아 보여요?"

And I say "Yes, you look Wonderful tonight."
: 나는 대답합니다. "그래요 오늘 밤 당신은 너무나 아름다워요"

We go to a party and everyone turns to see
: 우리는 파티에 나갑니다 모두들 고개를 돌리고

This beautiful lady who's walking around with me
: 나와 함께 춤추는 이 아름다운 여인을 바라보지요

And then she asks me "Do you feel all right?"
: 그녀는 나에게 묻습니다 "기분 좋아요?"

And I say "Yes, I feel Wonderful tonight."
: 나는 대답하지요 "그래요 오늘 밤 난 정말 황홀해요"

I feel wonderful because I see the love light In your eyes
: 나는 정말 황홀하다오 그대 눈 속에서 사랑의 빛을 바라볼 수 있기에

And the wonder of it all is that you just don't realize How much I love you
: 그 무엇보다 경이로운 것은 그대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그대가 깨닫지 못하고 있다는 거죠


It's time to go home now
: 이제는 집으로 돌아갈 시간

And I've got an aching head so I give her the car keys
: 나는 머리가 아파서 그녀에게 차 열쇠를 건네 줍니다

She helps me to bed and then I tell her as I turn out the light
: 그녀는 나를 침대 위에 누이고 나는 불을 끄면서 그녀에게 말합니다.

I say "My darling, You are wonderful tonight"
: 내 사랑 오늘 밤 당신은 눈부시게 아름다워요"

Oh my darling, you are wonderful tonight.
: 오 나의 사랑, 오늘 밤 당신은 너무나 아름다워요  

펼친 부분 접기 ▲

 

 

 

이 노래를 처음 듣고 가사를 찾아봤을 땐, 이 감미로운 가사가 눈앞에 펼쳐지듯 생생하게 스토리를 알려줘서, 확장시켜 소설을 지어냈다. 그리고 이 부분이 가장 좋다. 파티에 가려고 제일 예쁜 드레스를 꺼내 입은 여자가 자기를 기다리고 서 있는 남자에게 이렇게 말하는 부분. "나 괜찮아 보여요?"

 

하나 더 있다.

 

파티에서 실컷 즐기고 집으로 돌아갈 시간, 술 탓인지 살짝 어지럼증을 느끼는 남자가 여자에게 차 열쇠를 건네주고, 집에 도착해서 남자를 부축해 침대에 부드럽게 눕혀주는 여자. 남자가 침대 옆에 놓인 스탠드불을 끄고 여자도 그 곁에 눕는 부분.

 

사실, "내 사랑, 오늘 밤 당신은 눈부시게 아름다워요." 라는 부분에서는 그다지 설레지 않는다. 이상하게도. 그리고 나는 이 곡을 들으면서 처음으로 미국에 가고 싶었다. 사치와 화려함이 뒤죽박죽된 파티에 초대받고 싶었다. 허영으로 똘똘 뭉친 <가십걸>의 주인공들처럼이라도 상관 없었다. 거기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사랑하는 상대를 가지고픈 욕망, 에만 끌린다. 처음에는 꿈도 얘기했지만 점점 사랑하는 대상과 경제력을 얻을 기회만 호시탐탐 넘본다. 때때로 자조하며 짐승도 한낱 지조는 지키는데, 하면서도 계속 본다. 재밌으니까. <파리의 연인>처럼 파리에서의 파티도 좋을 것 같고, 무도회도 좋을 것 같고, <오만과 편견>의 영국풍 사교계도 상관 없었다. 나는 그저 파티면 되었다. 실제 나는 파티의 분주함이나 모르는 사람들 틈에서 기웃거리는 것 등을 즐기지는 않는데도. 하지만 나는 모르는 사람과 말하는 것을 어려워하지는 않는다. 술집 보다 광장을 좀 더 좋아하는 게 흠이라면 흠.

 

 

 

어쨌든, 이 남자 좀 재수없는데 한편으로는 멋지다. 자기가 얼만큼 유혹할 수 있는지, 자기가 무얼 할 수 있는지를 아주 잘 알고 있는 남자라.. 역시 나는 다시 생각해도 그 반대로 서툴게 다가오는 남자가 훨씬 낫지만 벨아미를 미워할 수가 없다. 재수없어할 수는 있지만 미워지지는 않는다. 남녀 관계에 있어 계산적일 수 있음은 여러가지 의미로 볼 때 서로 다른 장단점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어느 정도는 밀당이 필요하고, 밀당이 관계를 오래 지속시킬 수도 있다는 것은 맞다고 보지만 자기의 가치와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용하는 것은 언제나 옳지 않다고 느낀다. 벨아미는 그렇게 한다. 그리고 자기가 나쁘다는 의식조차 없다. 잘못하고 있다는 의식조차 없기 때문에 이 소설에서는 벨아미의 입을 빌어서는 절대 선과 악, 옳고 그름, 가능과 불가능 같은 것들이 말해지지 않는다. 그 지점이 바로 문학으로서의 예술로 기능하고, 나는 이게 굉장히 마음에 든다. 모파상이 그려낸 벨아미가 좋아진 이유다. 그럼 이제부터는 모파상이 한 짓들을 낱낱히 고하고 분석해볼까, 라고 하기에 뭐 있을까. 사교계에서 자기 장점이 어필됨을 알았으니 점차 자기를 더 높은 곳으로 데려다줄 날개를 찾아 동분서주하겠지. 뻔한 거 아닌가.

 

<벨아미>는 두 가지만 이해하면 된다. 선악의 경계를 흔들며 사교계에서 귀부인들의 마음을 훔치며 고급 정보를 얻으면서 언론사의 고지위까지 한 계단 한 계단 밟아가는 욕망의 화신인 남자의 모습과 배경으로 등장하지만 프랑스가 가장 타락한 시기의 언론계를 상세히 묘사함으로서 프랑스 언론역사의 발전과정을 되짚어보는 것. 모파상의 사실적 문학은 동시대 다른 작가들처럼 문체에까지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스탕달, 발자크, 플로베르, 에밀 졸라를 잇는 프랑스 19세기 작가이자, 스승 플로베르를 통해 콩쿠르 형제, 알퐁스 도데, 투르게네프 등과 교류했던 모파상은 이들보다 더 사실적 묘사를 통해 철저히 묘사로만 파리의 상류사회와 사교계의 귀족부인들을 그려낸다. 서정성 있는 문체를 썼던 알퐁스 도데나 투르게네프와는 짐짓 다른 모습이다.

 

그러자 지껄이고 싶은 욕망이 끓어올랐다. 자기에게 모든 주의를 끌고 자기 말에 귀를 기울이게 하고, 대단치 않은 말 하나하나까지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음미하면서 듣도록 하는 저 말재주가 탁월한 남자들처럼 칭찬을 받고 싶었다. (p.42)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는 본능이다. 하지만 타인에게 인정을 강요하는 것은 폭력이다. 누구나 두 가지의 경계를 지키기 위해 아슬아슬 넘나드는 불편한 선이 분명 있을 것이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비난 당하는 일은 면하기 위해 욕망과 인정 사이에서 간신히 균형 맞추며 살아간다. 이제 벨아미처럼 모든 것이 용서되는 시대도, 무시되는 시대도 아니다. 오늘의 선이 내일의 악이 될 여지도 얼마든지 있다. 돌이켜보면 온라인 세상에서 나는 얼마나 타인에게 이끌려가기 쉬운가, 나는 얼마나 쉽게 타인을 이해한다 하거나 판단하는가. 이왕이면 끌려가는 것 보다는 서로를 통해 하나로 모아지는 관계가 좋다. 하지만 나를 강조함으로서 타인을 간과하는 무심한 사람인 적도 있었을 것이다. 오늘은 누군가에게 내 무관심을 사과하고, 더 많이 애정을 드러내지 못하는 나를 반성하고, 앞으로의 나를 부탁하는 날이다. 내가 벨아미인 것도 당신이 벨아미인 것도 싫으니, 부디 서로 맞춰가자고 제안하는 날이다. 나는 판단이 필요한 게 아니라 누군가의 이해와 위로 그리고 나를 인정하는 내가 되고 싶을 뿐이다. 어쩌면 벨아미도 그랬던 게 아닐까. 반대일 수밖에 없는 자신의 처지에 상처받아 여자와 권모술수를 이용해서라도 왕의 자리에 한 번쯤 서서 호령하고 싶었을 뿐이지 않을까.

 

다 갖기 위해선 다 걸 수밖에 없는, 가진 것 없는 한 남자의 상류층 편입기. 모파상은 벨아미를 통해 당시 파리의 속은 텅 비었음에도 겉만 꾸며대는 상류사회의 구멍을 비판하고 싶었던 것이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3-13 23: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3-14 00: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책을사랑하는현맘 2012-03-14 0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항상 겉치레는 공허해요. 한껏 가슴을 부풀리고 머리를 꼿꼿이 들고 있어도
무너져 있는 내면을 발견하게 되는건 시간 문제...살면서, 나이 들어가면서 내 모습이 그럴 때가 많아
좀 우울하기도 하죠....

누군가가가 사람들로 꽉찬 엘리베이터에 제가 타는 걸 보고 농담으로 '젊은 사람이 걸어가지~'하는데
울컥했잖아요..ㅋㅋㅋㅋ 저도 이제 4학년이거든요! 저도 무릎이 좀 시리거든요!
이렇게 말하고 또 우울했어요.ㅎㅎ

파리가 또 그리워 파리 관련된 책을 장바구니에 넣고 고민하고 있는 중이예요. 오늘 날씨는 정말 파리스럽네요~

아이리시스 2012-03-14 12:25   좋아요 0 | URL
이제 4학년ㅋㅋㅋ 다른 사람들이 현맘님만큼만 내면에 대해 고민하고 또 발견하고 한다면 세상이 지금보다 훨씬 더 따뜻할 거예요. 정말로요^^ 사실은 이것저것 엄마로서, 일적으로도 욕심 많고 따뜻한 분이면서 항상 현맘님 모습에 대해 고민하시잖아요!! 부럽게..^^

한번씩 그런 날이 있죠! 저는 학교다닐 때 봄만 되면 떠나야한다는 생각에 거의 미쳐가지고;; 날씨 좋으면 진짜 미칠 것 같지 않아요? ^___________^

책을사랑하는현맘 2012-03-14 16:50   좋아요 0 | URL
ㅋㅋㅋ 여기 오늘 비와요!!!!
파리스러운 날씨는 흐리고 우중충한 날씬데...제가 파리 갔을 때 그랬거든요. 세번 다..어쩜.
그래서 제 기억 속 파리는 그래요.
예전엔 봄만 되면 좀 짜증도 나고 햇살 쨍쨍한거 싫고 그랬는데 나이 들었나봐요. 이젠 봄바람과 봄햇살이 좋은걸 보니까요. 심지어 꽃 피는걸 기다리고 있다니까요.

아이리시스 2012-03-15 20:33   좋아요 0 | URL
저도 겨울에 가서 파리는 늘 비내린 샹젤리제, 베르사유 이런 것들만 기억이 나는데 현맘님도 예전에 그랬다는 걸 들었;; 는데도 제가 기억력이 그지라서;; 혼자 헛소리를ㅋㅋㅋ

맞아요, 봄 좀 그래요. 괜히 바람도 들고 바람드는 만큼 뭘 할 수가 없고 뭘 해야할지를 모르니까 늘 신경도 좀 곤두서 있고 짜증도 났어요. 그때 어느 교수님은 미칠 만큼 몰두할 수 있는 걸 찾아서 밤 꼴딱 새면서 해보거나, 여행을 떠나라고 하셨어요!! 그때 땅끝마을까지 혼자 여행하고 싶었는데 그걸 할 용기가 안나더라고요. 그게 안되면 책이라도 미칠 만큼 읽으라고 했어요!! 여기서 미친다는 건 '과유불급'도 되는 거지요. 히히. 꽃. 좋죠! 꽃!

cyrus 2012-03-14 15: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왠지 내용이 발자크의 <고리오 영감>이랑 비슷할거 같아요. 배경도 비슷하고 두 소설 다 사회 진출에 대한
욕망을 가진 두 젊은이가 나온 것도 같고요. 펭귄에서 나온 것도 있는데 집에 민음사 전집이 많아서 이걸로
먼저 읽어봐야겠어요. 나중에 이 책 구입할 때 이 글, 땡스투해야겠어요 ^^

아이리시스 2012-03-15 20:40   좋아요 0 | URL
모파상이랑 발자크를 함께 읽는 중이었는데 <벨아미> 읽고나니 힘이 떨어져서 <고리오 영감>은 초반에 막 넘기다 하숙집 사는 인물들 이름을 다 놓쳐버려서 던져버렸어요. 다시 찬찬히 읽어야 정리될 듯 해요. 오오, 이건 223번이라 시루스님 전집에 없는 거군요. 저는 얼마 전에 펭귄이 더 최근 번역본인데도 더 저렴하길래 이걸 샀어요! 사실 번역은 잘 모르니까요. 괜찮아야 할텐데 하며 사는 거죠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