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생명이 등장하려면 빈자리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생태계는 꽉 차 있다. 어떻게 해야 할까? 누군가가 생태계에 빈자리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그게 바로 멸종이다. 멸종이란 다음 세대의 생명체를 위해 자리를 비켜주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 P23
마침 우리집도 오늘 케이크를 먹었는데...ㅎㅎ다둥이 가족은 더 많이 공감할듯.작가의 의도는 알겠지만 그러나 케이크는 다섯이 아닌 일곱으로 나누어야 한다.부모님도 늘 같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안그럼 애들이 어머님은 진짜 짜장면을 싫어하는 줄 안다.
"현재 구글은 우리의 지메일을 전부 읽고 우리의 스타일을 모방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서 광고 회사에 판매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인 우리는 실제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조차 모르죠" (...) "구글이 우리의 지메일을 전부 읽고 우리가 빠르고 긍정적으로 응답한 이메일을 확인해 그 스타일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스타일이 우리를 특히 잘 설득하는지 알게 되죠. 여기에는 불법인 지점이 전혀 없어요. 이러한 활동에서 우리를 보호할 법이 없어요. 이게 우리의 사생활을 침해하나요? 우리의 자료를 판매하는 게 아닌데요. 그저 우리가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우리 자신보다 더 많이 파악해최고 입찰자에게 판매하는 거예요." - P264
(...) 전문가들은 현재 우리의 식사가 집중력을 훼손하는 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설명했다. 첫 번째는 현재 우리가 먹는 식단이 에너지의 급상승과 강하를 주기적으로 유발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식단이 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방식은 현재 우리 대다수가 먹는 음식에 뇌가 제대로 발달하고 기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이 없다는 것이다.(...)세 번째 이유는 앞의 두 가지와는 다르다. 현재 식단은 우리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부족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뇌에 거의 마약처럼 작용하는 듯 보이는 화학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 P311
그는 내게 디지털 디톡스가 "해결책이 아니"라고 말했다. "일주일에 이틀씩 바깥에서 방독면을 쓰는 노력이 환경오염의 해결책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예요. 개인 차원에서는 단기간 특정 효과를 볼지 몰라요. 하지만 지속 불가능하고,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지도 못하죠." 그는 광범위한 사회에서 거대한 침략 세력이 우리의 주의력을 크게 바꿔놓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실제로는 환경의 변화만이 진정한 차이를 만들 수 있는 상황에서 개인의 절제가 주요 해결책이라 말하는 것은 "문제를 개인에게 떠넘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 P163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자신의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살면서 경험하는 가장 단순하고 흔한 형태의 몰입 중 하나가 독서이며,다른 형태의 몰입과 마찬가지로 독서 역시 끊임없이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문화 속에서 점점 사라져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많은 사람에게 독서는 자신이 경험하는 가장 깊은 형태의 집중 상태다. 사람들은 독서를 통해 차분하고 침착하게 인생의 긴 시간을 한 가지 주제에 바치고, 그 주제가 우리의 정신에 스며들게 한다.독서는 지난 400년간 가장 깊이 있는 인류 사상의 대부분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도구였다. 그리고 이 경험은 현재 나락으로 떨어지는 중이다. - P125
(...) 독서의 붕괴가 어떤 면에서는 집중력 감퇴의 증상이자 원인임을 깨달았다. 이러한 변화는 나선의 형태를 띤다. 우리는 책에서 화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책에서 나오는 더 깊은 형태의 읽기 능력을 잃기 시작했고, 결국 책을 더욱더 안읽게 되었다. 몸무게가 늘면 운동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는 것과 비슷하다. 아네는 우리가 그 결과 "긴 텍스트를 읽는 능력을 잃고 있지는 않은지, 또한 "인지적 참을성과 인지적으로 힘겨운 텍스트를 다루는 지구멱 및 능력"을 잃고 있지는 않은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 P127
인스타그램은 어떨까? 첫째, 중요한 것은 우리가 겉으로 어떻게 보이느냐다. 둘째, 중요한 것은 우리가 겉으로 어떻게 보이느냐다. 셋째, 중요한 것은 우리가 겉으로 어떻게 보이느냐다. 넷째,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우리의 겉모습을 좋아하느냐다. - P130
실험 결과는 명확했다. 소설을 많이 읽을수록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읽어냈다. 막대한 영향이었다. 이것은 그저 교육을 잘 받았다는 증거가 아니었다. 비소설 독서는 공감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소설 읽기가 오랜 기간에 걸쳐 공감능력을 키우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이미 공감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소설 읽기에 더 끌리는 것일 수도 있다. - P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