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20년도 더 된 얘기야. 큰언니가 포항에서 주택 2층에 세를 살았어. 2층 마당에 햇살이 비치고 아이들 신발이 아무렇게나 던져져 있는데 언니는 그 평화가 깨어질까 두려웠다고 했어. 그때 돈도 별로 없고, 시댁과의 관계로 마음고생도 심했는데 언니는 그 순간의 소중함을 어떻게 알았을까? 그 순간을 기적이라고 부르면 지나친 걸까?

 

알라딘 서재지인 중에 혜덕화 님이 있어. 그분과 딸이 기적에 관해 얘기하는 글을 본 적이 있어. 딸이 기적이 일어났으면 좋겠다고 하자 혜덕화님이 "엄마가 아파서 기적적으로 낫는게 좋겠니? 그냥 안 아프고 이렇게 아무 일 없이 사는 게 좋겠니? 우리가 이렇게 평범하게 사는 것이 기적이란다" 라고 말하셨어. 생사를 오가다 살아나는 것보다 아무 일 없이 살아 있는 게 훨씬 더 큰 기적이야. 인상적인 글이어서 자주 생각나. (http://blog.aladin.co.kr/777032133/4330843)

 

중국에 유명한 의사 편작(扁鵲)이라고 들어봤지? 편작의 형제들은 모두 의사였어. 편작의 명성이 가장 높았지만 편작은 형들이 훨씬 훌륭한 명의라고 했어. 큰형은 환자의 병세가 나타나기 전에 원인을 없애버리고, 둘째형은 병의 초기에 치료를 하는데 치료가 간단하게 보여 사람들이 그들의 의술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대. 반면에 편작은 병세가 위중해지고 난 뒤에야 치료하기 때문에 세상이 자신을 명의로 생각한다는 거야. 기적이 그런 것 같아. 건물이 무너지기 전에 누리는 삶에 대해선 무심하고, 사고가 난 후의 삶에는 경탄을 보내고.

 

동네 한의사가 환자 두 사람에게 똑같이 침을 한 번 놓고 아픈 다리를 낫게 했는데 한 사람은 고마워하고, 한 사람은 전혀 고마워하지 않았대. 고마워한 사람은 다른 병원을 전전하다 그곳에서 겨우 나았던 사람이고, 다른 한 사람은 그곳에 처음 가서 바로 치료가 된 거였어. 쉽게 주어지면 그 가치를 알기 어려워. 건강이나 공기처럼.

  

큰애가 아람단 활동으로 제주도에 다녀왔어. 가족끼리 여러 번 제주에 갔었는데 한 번은 태풍이 와서 34일이 67일이 되었고, 또 한 번은 눈에 갇혀서 숙소에만 있었어. 여러 병원 전전한 환자처럼 제주에서 사고 없이 돌아온 아이를 보니 얼마나 감사한지. 건물이 무너지고 태풍을 만나고 건강을 잃기 전에 이 일상의 평온함이 기적이라는 걸 매순간 깨닫고 싶어.

 

물론 무조건 지금에 만족하라는 식의 얘기는 아니야. 무너진 건물에서는 일단 뛰쳐나와야지. 그건 이미 사고가 난 거니까 수습을 해야지. 아픈 다리를 낫게 하듯이. 부당하고 견딜 수 없는 상황이라면 편작의 수술이 필요할 거야.

 

큰애는 아직도 자고 있어. 작은애는 큰애가 따온 귤을 먹으며 만화를 보고. 그때의 언니처럼 나도 이 순간이 아주 소중하게 느껴져. 기슭아, 너도 햇살 속에 있기를 기도해.

 

    

   

내 말 잘 들어, 친구. 인생은 지금 이대로가 전부야. 자네가 현재의 처지를 싫어하면, 결국 모든 걸 잃게 돼. 내가 장담하는데 자네가 지금 가진 걸 모두 잃게 된다면 아마도 필사적으로 되찾고 싶을 거야. 세상 일이란 게 늘 그러니까.”-더글라스 케네디, 빅 픽처(밝은 세상, 2010), p.159

 

 

 

   

기적

_심재휘

 

 

병실 창밖의 먼 노을을 바라보며 그가 말했다

저녁이 되니 사람들이 집으로 돌아가네

 

그후로 노을이 몇 번 더 졌을 뿐인데

나는 그의 이른 장례를 치르고 집으로 돌아간다

 

하루하루가 거푸집으로 찍어내는 것 같아도

눈물로 기운 상복의 늘어진 주머니 속에는

불씨를 살리듯 후후 불어볼 노을이 있어서

 

나는 그와 함께 소주를 마시던 술집을 지나

닭갈비 타는 냄새를 지나

그의 사라진 말들을 지나 집으로 간다

 

집집마다 불이 들어오고

점자를 읽듯

아직 불빛을 만질 수 있는 사람들이

한집으로 모여든다

 

-심재휘, 용서를 배울 만한 시간(문학동네, 2018), p.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불을 켜두는 것은 피로롭은 일입니다. 그것은 낮의 연장이옵기에

-윤동주의 돌아와 보는 밤중에서

 

 

불을 켜두는 것만으로 피로하다고 느낀 적 있어? 우리가 만났을 때가 20대였으니까 피로와는 거리가 있을 나이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나는 피로와 친한 편이야.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한 채 극심한 피로에 시달린 시기가 있었어. 잦은 이사로 정리된 책 중에 피로에 관한 책이 많았는데 제목이 딱 떠오르지 않아. 그중 한 책은 부신호르몬에 관한 책이었는데 거기에는 매일 자신의 생활을 점검할 수 있는 질문이 있었어. 뭘 먹었는지 얼마나 쉬었는지 누구를 얼마나 오랜 시간 만났는지 그날 기분은 어땠는지......매일 그걸 적은 적이 있어. 올 여름에 이사하면서 그 종이뭉치를 봤는데 건강해지려고 애썼던 내가 대견하기보단 왠지 안쓰러웠어.

 

피로는 뭔가 잘못되었다는 신호 같았어. 피로가 그치지 않을까 봐 두려웠어. 모두가 해내지만 나는 해낼 수 없다는 아득한 느낌. 피로보다 피로를 이겨내고 뭔가 해야 할 때 오는 압박, 아니 해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더 힘들었을까?

 

그때에 비하면 지금은 괜찮아. 간혹 피로하지만 매일 그렇지는 않으니까. 그런데도 산사의 그믐이 그리울 때가 있어. 캄캄해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때. 그믐이란 그런 날이야. 직장 그만두고 영천에 있는 절에서 주역공부를 한 적이 있었는데 그 절은 비구니 스님 혼자 계신 아주 작은 암자였어. 내가 켜지 않으면 불빛이 없는 곳. 나도 어둠이 되어 버리는 그런 어둠에 묻히고 싶을 때 그 절의 그믐이 생각나.

 

오늘도 어깨에 피로를 메고 일해야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까. 나는 오늘 특별한 약속이 없고, 해야 할 일을 미룰 수 있으니 피로와 함께해도 괜찮은 날이야. 햇살이 비치네. 얼마나 가만히 있으면 피로가 햇살에 녹아내릴까?

 

 

피로는 무장을 해제한다. 피로한 자의 길고 느린 시선 속에서 단호함은 태평함에 자리를 내준다.-p.72(피로사회(한병철, 문학과지성사,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그림자가 있어야 진짜라는 이야기 했잖아. 그림자가 인간의 부정적인 면이라면 그것도 역시 삶의 한 부분이지. 서양의 이야기에서는 그림자가 없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는데 동양에는 그림자를 싫어하는 사람 이야기가 있어. 莊子(현암사, 2016) 「잡편(篇)-어부(漁夫)에 보면 자기 그림자가 두렵고 발자국이 싫어서 그것들로부터 떨어지려고 달리는 사람이 있어. 아무리 빨리 달려도 그림자가 붙어 있고 발자국은 더 많이 생기는 거야. 더 빨리 달리면 될까? 그래서 더 더 빨리 달리다 힘이 빠져 죽고 말았대.

 

이 이야기는 공자와 어부의 대화인데, 공자가 자기는 별 잘못도 없이 네 번이나 다른 사람의 원한을 샀다고 한탄하자 어부가 이 이야기를 들려줘. 술을 마실 때 술잔을 가릴 필요가 없고, 초상을 당했을 때 슬픈 마음이면 되는 거지, 왜 예법을 따지고 있냐고. 인의와 시비를 따지고 허례를 중시하며 있는 그대로의 본성을 존중하지 않는 공자가 그림자를 싫어하는 사람과 다를 바 없다는 거야.

 

본성대로 산다는 건 뭘까? 내편(內篇)-덕충부(德充符)에 못 생긴 사람 이야기가 나와. 애태타(哀駘它)라는 사람인데 너무 흉해서 처음 보면 모두 깜짝 놀라는데 함께 지내면 그를 다 따르고 좋아한다는 거야. 여자들은 그의 첩이 되어도 좋다고 할 정도로. 인기지리무신(闉跂支離無脤; 절름발이에 꼽추에 언청이인 사람) 역시 내면의 덕이 갖춰진 사람이었는지 제나라 환공은 그를 보다가 성한 사람을 보고 성한 사람이 모습이 오히려 이상하게 보였다는 거야. 도대체 어떻게 하면 사람들에게 외형을 온전히 잊고 내면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걸까?

 

그들이 어째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는지에 대한 상세한 이야기는 없어. 다만 애태타가 남의 목숨을 구해준 적도 없고 딱히 자기 의견을 주장하지도 않고 늘 남에게 동조해 주었다고 해. 마음이 잘 조화되어 있다는 표현이 보이기도 하고.

 

어찌 보면 자신의 모습이 흉해서 외형에 집착할 수도 있었는데 그러지 않았던 것 같아. 오히려 자신의 외모를 부끄러워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게 된 건 아닐까? 누가 내 성별과 학벌과 나이와 외모와 부의 유무에 상관없이 내 마음을 투영해 나와 대화한다면 그를 좋아하게 될 것 같아. 욕심 없이, 목적 없이, 존재로 만나는 것. 꿈같은 일일까?

 

마음은 빠르게 판단을 내려야 불안을 내려놓을 수 있어. 한번 쓱 훑어보고 판단해 버리면 편해. 집을 설명할 때 제라늄이 피어 있다거나 하는 설명보다 몇 억짜리 집인지 말하는 걸 더 편하게 여기는 어린 왕자의 어른처럼. 예법은 그런 편안함을 주는 것 같아. 옷을 보면 한 눈에 지위를 알 수 있어. 그가 어떤 사람인지 고민할 필요가 없지. 공자의 예법은 힘을 잃었지만 다른 허례와 시비가 여전히 있어. ‘옳다, 그르다하는 게 많아질수록, ‘해야만 해라는 말이 늘어날수록 그림자를 떼어내고 싶어 하는 사람처럼 바쁘고 힘들어지는 건 아닐까 싶어.

 

그림자 이야기 하다 오랜만에 장자도 꺼내 보네. 친구가 그러더라고. 장자를 남편으로 두면 얼마나 힘들까? 장자는 아내가 생고생하다 죽었는데 아내 장례 때 노래나 부르는 몹쓸 놈이라고. 그러니까 궁금하네. 장자는 자기 이야기 속 추남(醜男)들처럼 외형을 잊고 본성을 가진 사람으로서 아내를 대했을까?

 

 

무엇을 얻으려는 욕심이 없으면 신령(神靈)도 탄복한다.-p.309(莊子』「天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들과 제주도 트릭아이 미술관에서 찍은 사진 정리를 했어. 평면의 명화를 특정 앱을 통해 찍으면 입체적으로 변해. 가만히 보니 사진 속 그림들은 모두 그림자가 있어. 그래서 마치 진짜처럼 보이나 봐. 진짜는 모두 그림자가 있으니까. 그림자를 생각해.

 

한 남자가 집을 보고 있어. 아주 조그만 집으로 셀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줄지어 들어가고 있었거든. 남자는 그 집에 행복이 있을 거라 생각하고 그걸 훔치려고 몰래 그 집에 들어가. 작아보였던 집 안은 끝을 알 수 없을 만큼 넓었어. 몰래 들어온 걸 들키고 난 뒤 자신의 그림자를 주고 엄청 큰 보석을 가져 나와. 그런데 사람들이 그림자가 없다고 아무도 그 남자 곁에 안 오는 거야.

 

초등학교 때 읽은 어떤 만화 내용이야. 작년에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페터 슐레밀의 기이한 이야기(부북스, 2011)를 보면서 기억이 났어. 약간 다르긴 해도 기본적인 설정이 같았어. 영원히 줄지 않는 금화 주머니와 그림자를 바꾼 페터의 이야기야. 페터도 그림자가 없어서 흐린 날에 밖에 나오거나 그늘에서만 서 있었어. 해가 나면 그림자가 없는 게 들통 나니까. 사랑도 할 수 없었고.

 

또 다른 그림자 이야기로는 안데르센 동화집(시공사, 2011)에 실려 있는 그림자(시공사, 2011)가 있어. 동화하면 아름다운 이야기를 연상하기 쉬운데 이 이야기는 좀 무서워. 젊은 학자가 어쩌다 자신의 그림자와 떨어지고, 나중에 그 그림자에게 점차 주인 자리를 내주고 결국 그림자의 그림자 노릇을 하다 그림자에게 죽임을 당해. 이 이야기에서도 그림자는 꼭 필요한 것으로 나와. 그림자조차 그걸 알고 사람 행세를 하려고 인간을 자기 그림자로 삼는 걸 보면 말이야.

 

하루키가 안데르센 문학상 수상소감에서 이 책을 언급하면서 우리가 입체적이 되려면 반드시 그림자가 있어야 하며, 그림자가 없는 빛은 진정한 빛이 아니라고 했어. 자신의 어둠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하는데, 그림자를 피하기만 하면 젊은 학자처럼 그림자에 의해 파괴될 수도 있다고.

 

이 그림자 이야기들에서 그림자가 없는 주인공들은 유령 취급을 받거나 그런 취급을 받을까 봐 두려워 해. 어쩌면 그림자는 육체를 갖고 있다는 증거 같아. 보석보다 금화보다 더 귀한, 살아 있다는 증거. 어찌 보면 슬픔 같기도 해. 햇빛만 있으면 될 것 같지만, 기쁨만 있으면 될 것 같지만, 슬픔을 모르는 사람과 만날 수 있을까? 늘 서로 다른 이야기만 할 것 같아. 공감할 수 없으니까. 진짜 사람이 아닌 것 같을지도 몰라. 진짜는 모두 그림자가 있으니까.

 

 

그리고 친구, 당신이 사람들 사이에서 살려면 우선 일차적으로 그림자부터, 그 다음에 돈을 존중할 줄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당신이 자신만을 위해서, 보다 나은 자신만을 위해서 살려 한다면 이런 충고는 필요가 없습니다.-p.114(페터 슐레밀의 기이한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보리는 금강경에서 붓다와 대화를 나누는 제자야. 그는 화를 무척 잘 내고 사람들과 자주 다투었어. 그의 친족들이 산에 들어가 화를 가라앉히는 수행을 하라고 해서 3년을 수행했는데 아무 진전 없이 그냥 집으로 돌아왔어. 마침 그날이 사촌 형인 급고독 장자가 기원정사를 열어 부처님을 초대한 날이었어.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 설법을 듣고 깨달음을 얻었대. 금강경에서는 수보리는 다툼이 없는 자들 가운데서 제일’, 맛지마 니까야(중아함경, M139)에서도 훌륭한 가문의 아들, 수보리야말로 평화의 길에 들어선 자이다라고 해.

 

그는 3년 동안 무엇을 했을까? 3년 동안 애쓰지 않고도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다툼에서 벗어난 자가 될 수 있었을까? 불교에서는 갑작스러운 은총을 믿지 않아. 씨앗이 되는 원인이 있고, 그 씨앗이 발아할 수 있는 조건을 만났을 때 어떤 결과가 온다고 해. 그러면 그 3년은 콩나물에 붓는 물 같은 것이었을까?

 

나는 요즘 자주 화를 내. 아이들 방학이 되면 평소보다 쉽게 화가 나. 쌍둥이라 그런지 우리 아이들은 서너 살 때부터 자주 다퉜어. 그때는 육아 서적을 달고 살았어. 도서관에서 빌려서 화장실에 꽂아두고 아이들에게 화가 나면 화장실에 들어가 읽고 나왔어. 약간은 효과가 있었어.

 

일레인 마즐리시와 아델 페이버의 천사 같은 우리 애들 왜 이렇게 싸울까?』(여름언덕, 2007)가 기억이 나. 제목이 너무 와 닿았거든. 말이 늦은 큰아이가 자꾸 작은아이를 등 뒤에서 껴안는 거야. 그러면 작은아이는 울고. 하지 말라고 해도 못 알아듣는 건지 나아지지 않고. 여기에 딱 맞는 내용이 있었던 건 아니지만 이 책을 읽고 생각해낸 게 종이에 나를 안지 마세요. 싫어요.’라고 적어서 작은아이 등에 붙이고는 큰아이에게 읽어줬어. 물론 큰아이는 글자를 못 읽지만 그 쪽지를 보고는 벌리던 팔을 내리는 거야. 신기하지? 일주일 만에 그 종이를 떼어냈는데 다시 안지 않았어. 지금도 아이들은 천사 같은데 아이들이 다투는 소리에 무던해지지 않아.

 

사실 내가 화를 내는 건 아이들의 문제가 아니야. 내 문제지. 그렇지만 아이들에게 제일 쉽게 화내는 것 같아. 마셜 B. 로젠버그의 비폭력대화(바오, 2004)는 좀 더 근원적인 접근을 하게 해줘. 대화를 위해 관찰하고 거기에서 뭘 느끼는지 알아차리고, 그 느낌이 자신의 어떤 욕구로부터 온 것인지 파악한 후, 상대에게 부탁해야 한다는 게 책의 핵심 내용이야.

 

처음 읽을 때는 판단 없이 관찰하는 것의 어려움과 느낌을 어떻게 명명해야 할지가 관심사였어. 있는 그대로 보는 연습이나 마찬가지였어. 근데 두 번째 읽을 때는 욕구가 와 닿았어. 상대의 행위 때문이 아니고 나의 욕구 때문에 화가 나고, 섭섭하고, 슬프다는 걸 받아들이면 그 감정에 대한 책임이 상대가 아니라 나에게 있다는 걸 알게 돼. 아이가 색종이를 흩어놓아 지저분해진 방 때문에 화가 나는 게 아니라 방이 깨끗하기를 원하고 있기 때문에 더러운 방이 거슬리는 거지. 사람마다 깨끗함의 기준이 얼마나 다른가를 생각해보면 일리가 있지 않아? 나는 뭘 원하는가? 묻는 순간이 필요해. 그러자면 깨어 있어야 해.

 

책을 읽고 있을 때는 얼마간 이 깨어있음이 유지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려. 마치 책으로 영어를 익힌 사람이 실전에서 어버버 하듯이. 영어를 쓰는 환경에서 지내면 저절로 영어가 되듯 내가 원어민처럼 말하면 우리 아이들은 저절로 비폭력적인 대화를 할 수 있을 텐데...그래도 예전에 중국에 가기 전에 공부하고 갔더니 빨리 중국어가 읽히더라고. 이렇게라도 독학해보는 수밖에.

 

아침에 책꽂이에서 수라 하트와 빅토리아 킨들 호드슨의 내 아이를 살리는 비폭력대화(아시아코치센터, 2015)의 책등만 봤을 뿐인데 아이들의 몸싸움을 보고도 평정심을 유지했어. 아이들이 조용히 있었으면 하는 게 내 욕구고 저 아이들은 저게 놀이니까. 하지만 언제까지 이 마음을 유지할 수 있을까? 이 책에서는 '매일 연습하라'고 해. 매일! 그 밖에 무슨 수가 있겠어.

 

수보리가 수행해도 화가 사라지지 않았던 그 3년이 아직도 나에겐 끝나지 않았어. 지금도 아이들이 문을 부술 것만 같아. 나는 문이 부서지지 않기를 원하니까 일단 일어나서 아이들에게 갔다 올게.

    

   

두 가지 말, 특히 하지만’(but)해야 된다’(should)는 표현은 당신이 하는 말에 대한 자녀의 반응에 극도로 나쁜 영향을 끼친다. 당신이 두 가지 말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 그리고 이 말을 사용할 때 자녀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눈여겨보기 바란다.-p.68(내 아이를 살리는 비폭력대화)

 

자녀가 당신에게 요구하는 건 대부분 자기들을 있는 그대로 사랑해 달라는 것이지, 온 시간을 다 바쳐서 자기들의 잘잘못을 가려달라는 게 아니다.(빌 에어즈)-p.110(아이를 살리는 비폭력대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