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지의 [노귀재] 노래가사를 어디 적어 둔 듯해서 찾다가 예전에 쓴 글이 보였다. 노래가사는 찾지 못하고 그 글을 읽었다. 그 글이다.

================
고등학교때 한 선생님은 공부 대신 전생·가위눌림 같은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해 이야기 하셨다. 그날 집에 가서 그 선생님께 편지를 썼다. 꽤 긴 편지로, 내용은 나름대로 심각하고 복잡한 것이었다. 이를테면 사람이 윤회를 한다면 전생의 전생의 또 전생을 거슬러 올라가면 최초의 내가 존재하는가? 무엇으로 전생의 나를 현생의 나와 동일시할 수 있는가? 최초의 나는 우주 탄생 때 생겨난 것인가...등등.

그 편지 덕에 점심시간에 선생님과 면담을 할 수 있었다. 선생님은 내게 아무 것이나 질문을 하라고 하셨다. 그 복잡하던 문제들은 다 어디로 달아나고 내 입에서 나온 말은
"사람들은 왜 모든 사람을 사랑하지 못하나요?"
였다.

이 질문에 대한 선생님의 대답이다.

"왜 '왜 나는 모든 사람들을 사랑하지 못하나요?'라고 질문하지 않습니까? 사람들이 모든 사람들을 다 사랑한 뒤에 그제야 사람들을 사랑할 겁니까? 사람들을 핑계대지 마세요. 스스로 하지 못할 뿐입니다. 언제나 질문은 '사람들'로 시작되어서는 안됩니다. '나'로 시작하세요. 스스로 모를 뿐 모든 사람을 사랑한 사람이 이 지구에도 있습니다. 만약 한 사람도 없다 할지라도 스스로 그러한 사람이 최초로 되어도 좋을 듯합니다."

그때 충격은 말로 다할 수 없다. 말을 할 때마다 내 말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핑계로 사용되고 있는지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사람들이 다 그러는데""사는 게 다 그렇지"하는 말을 쉽게 한다. 무서운 말이다. 원효 스님 말씀처럼 '오라고 유혹하지도 않는 악한 길에 많은 사람이 있는데' 거기에 덩달아 서 있다면 손 꼭 잡고 감옥으로, 지옥으로, 혹은 사는 게 다 그런 소굴로 향해 갈 것이다. 보려고 하지 않아서 그렇지, 선지식들과 경전들이 소리쳐 나를 불러도 나 자신을 아무렇게나 던져놓고, 가상의 사람들에게 나를 맡겨 인생을 살고 있지는 않은지...

생의 저 끝에서 누구를 탓하겠는가?

=======================
지금 생각하면 당연한 이야기인데, 그때의 충격! 기억할 만한 일이었다. 이 글을 쓴 날짜를 보니 재작년이다. 고등학교 때 이야기인데 되새기고 되새긴다. 안 되새겨도 될 만큼 몸에 익으면 좋을텐데 아직 그러지 못한 탓인지...새삼스레 환기가 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5-02-06 16: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는 말씀이세요. 자신에게 상처를 주는 사람들이 타인에게두 역시 그만큼의 상처를 주더라구요. 물론 제 자신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오랫만에 뵈니 반갑습니다. 이제 종종 좀 뵙고 그럽시다!

혜덕화 2005-02-07 16: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갑니다. 정말 그래요. 절하고부터 제가 바뀐 점이 있다면
그 많은 <사람들은 왜 >로 시작하던 말들이, <나는 왜> 로 바뀌고 있다는 거죠.
고교때부터 철학적이었네요. 전 공부도 못하면서 공부하느라 그런 얘기들어도 저런얘기도 있나보다 흘려들었을텐데요.
즐거운 설 보내세요.

이누아 2005-09-09 2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덕분에 설 잘 보냈습니다. 고맙습니다.
이 이야기에서의 질문은 당시 세 가지였습니다. 위의 질문이 첫번째 질문이었고, 두 번째 질문은 "왜 어떤 사람은 배불러 죽고, 어떤 사람은 배고파 죽습니까"였습니다. 세 번째 질문은 "나는 죽음이 두렵습니다"였습니다. 지금은 그때처럼 두렵지는 않은데 그때는 늘 죽을 것만 같았거든요. 선생님은 각각의 질문에 각각의 답을 주셨습니다. 해답을 다 얻은 듯 했지만 아무 것도 얻지 못했습니다. 체득되지 못한 말들은 허공에 가득합니다. 이 질문을 한 기억이 또렷합니다. 이번 생이 끝나기 전에, 죽음을 맞이하기 전에, 질문하는 고등학생인 제 자신 앞에 앉아 웃으며 사랑과 평등 그리고 삶과 죽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누구도 깨뜨릴 수 없는 평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