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우리 인문학 - 페르소나와 아니마의 갈림길에서
김경윤 지음 / 생각의길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인문학의 큰 축을 담당하는 철학자를 생각해보면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데카르트..등등.. 서양의 인물이 먼저 생각나고 그나마 동양에서는 공자, 맹자..등등 중국의 인물들만 생각나는 얄팍한 수준을 갖고 있는 내가 우리의 인문학자들에 대해 소개한 책이라는것에 마음이 홀라당 끌렸다.

 

우리가 흔히 아는 서양, 동양의 철학자들의 명제보다 이미 우리나라의 철학자들이 (당시에는 동시에 문학자였던) 그네들보다 더 앞선 시대에 명제를 내세웠던 부분들의 내용도 놀라웠고.

인문학이라는 넓은 의미를 철학, 문학, 역사로 개략적으로 나눠 각 분야마다 몇몇 인물들의 일화를 소개하며 챕터별로 읽기 쉽게 진행된 이 책의 흐름은 이런 분야의 책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 인문교양 독자들의 어렵겠거니 생각했던 막연한 걱정을 많이 누그러뜨려줬다.

 

우리나라에 이런류의 책도 있긴 있었구나, 이런 옛날 책을 번역한 고마운 사람도 있구나.. 하며 우리의 고전 파도타기에 아주 좋은 지침서라는걸 새삼 깨달으며 책장을 한장한장 넘겼다.

 

우리나라의 고전을 생각해보면 사색위주의 인물들이 많았고 식민지시대를 거치며 고유의 것들이 말살된탓에 남아있는 책의 양이 방대하지는 않다는것, 더불어 우리의 인문학을 소홀히 대하게 현실에 통탄할 따름이다.

 

이 책에서 기억에 특히 남는 한가지가 있는데

감각, 사색은 글이나 말로 표현을 할 수가 없는 부분이 분명 있건만.. 고로.. 지금 책으로 읽고 있는것이 알짜배기가 아닌 그 나머지 찌꺼기는 아닐지..라며 뜻과 말의 불일치에 대한 일화를 중국 장자의 천도편, 우리나라 화담 서경덕의 일화를 통해 알려주는 부분이다.

고전읽기를 단순히 읽는것으로 끝내는것이 아닌 치열한 사색을 통해야 한다는 부분에서 그 어떤 막연한 주장보다 이 일화를 통해 큰 울림을 받았다.

 

머나먼 옛시대에서 좀 올라오면.. 서양 근대철학의 아버지 데카르트가 있다면 우리나라에는 최한기가 있다고 한다.

"모든 사람은 지식인이다"라고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그람시가 말하기 100여년 전에 "농부나 노동자나 자신이 속한 분야의 원리를 안다면 그들이 바로 지식인다"라고 말한 최한기가 우리에게 이미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부분들을 알게 되면서, 우리의 인문학이 자랑스러웠고 그런 뿌듯함을 이전까지는 알지 못했다는 부분이 나를 부끄럽게 만들기도 했다.

 

[페르소나와 아니마의 길림길에서] 라는 부제는 책을 덮고나서도 뭔가 알듯모를듯 감이 명확히 잡히질 않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