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이라는 고통 - 거리의 사진작가 한대수의 필름 사진집
한대수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10월
평점 :

60년대 포크 싱어송라이터로 데뷔해 15장의 정규 앨범과 여러 장의 싱글 앨범을 낸 한국 포크록의 대부, 뮤지션 한대수. 그의 삶에는 음악뿐만 아니라 사진이 함께 하고 있었습니다.
북하우스 출판사의 <삶이라는 고통>은 한대수 사진작가가 60년대부터 DSLR 카메라로 넘어간 2007년까지 필름 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을 정리한 사진집입니다. 그동안 사진집을 몇 편 낸 저자이지만 이 책에는 미공개 희귀 필름 사진 100여 점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삶이라는 고통>에서 만나는 사진 중 특히 60년대 자유분방한 문화가 느껴지는 뉴욕과 흙 내음 물씬 풍기는 서울 풍경이 대조되면서 시간 속에 존재하는 과거의 모습을 현재로 가져오는 사진의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대수 작가에게 뉴욕은 기나긴 인연이 된 사진을 만나게 해준 곳이었습니다. 당시 가족이 미국에 있었기에 미국에서 유학 생활을 한 그는 수의학과를 다니다 적성에 안 맞아 중퇴하고 관심 있던 사진에 빠져듭니다.
60년대 말, 머리 길고 카메라와 기타를 든 청년이 한국으로 옵니다. 그 시절 한국에서 히피 정서의 자유분방함을 어찌 이해했을까요? 그의 등장은 충격 그 자체가 됩니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처음 등장했을 때의 쇼킹이 아닐까 싶어요.
대중은 그를 화성인처럼 여겼고 고독과 소외감 속에서 음악을 이어갔지만, 포크 음악사 최고 명곡 중 하나인 '행복의 나라로', '물 좀 주소!' 등이 금지곡이 됩니다. 걸핏하면 체제 전복적인 가사라며 금지곡으로 지정해 음악계에서 가수를 퇴출해버린 시대였습니다.

어려움 속에서 그를 먹여 살린 건 사진이었습니다. 사진 한 장 한 장에 피와 땀과 눈물이 스며들어 있습니다. 카메라를 들고 거리로 나간 한대수 작가는 길거리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사람들의 표정과 몸짓을 카메라에 담습니다.
단순한 풍경 사진이 아닌, 사람들의 얼굴과 표정을 담은 인물 사진이 많습니다. 사람 냄새가 나고 소시민의 삶이 담겼습니다. 작가의 눈에 비친 뉴욕과 서울의 모습에서 그 시절의 향수뿐만 아니라 삶의 고통을 엿볼 수 있는 이유입니다.
첫 번째 아내 김명신과의 추억을 담은 사진은 어린 시절 기억도 나지 않는 흑백 사진을 들추는 기분입니다. 멋들어진 사진 액자가 걸린 벽과 이불이 켜켜이 쌓인 단출한 방 풍경은 당시 소시민의 삶과 예술가로서의 삶이 혼재하며 기름과 물처럼 섞이지 않는 복잡 미묘한 감상을 불러일으킵니다.
한대수 작가는 세상을 여행하며 반전 시위 현장을 찾아가기도 합니다. 슬픈 상황과 부조리한 가치에 도전하기를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전쟁에 반대하고 평화를 외칩니다.
세월이 흘러도 인간의 삶은 변하지 않나 봅니다. 여전히 전쟁은 계속되고 있고, 불평등과 혐오, 차별은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저자는 사진을 통해 “우리 인간은 지구에서 무슨 악행을 범하고 있는 건가”, “우리는 다 이성을 잃은 건가”,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나” 자문합니다.
그의 사진은 단순히 과거의 재현이 아닙니다. 한대수 작가는 삶을 어떤 마음으로 순간 포착했는지 <삶이라는 고통>에서 만나보세요.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