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나다움의 발견 MBTI - 타고난 성격을 성공 스펙으로 만드는 법
김성환 지음 / 좋은땅 / 202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MZ 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MBTI. 자기소개할 때도 MBTI 유형을 이야기하고, 연인 간의 궁합을 맞추기도 하고, 채용 과정 및 직장 내 업무와 소통에서도 MBTI를 활용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야말로 대한민국은 MBTI 열풍입니다.


그런데 하나의 성격유형인 MBTI로 무리짓기나 편가르기를 하는 등 지나친 과용과 오해가 생기기도 합니다. MBTI가 트렌드다 보니 심리테스트하는 재미로 한 번쯤 해본 분들이 많을 겁니다. 그런데 그냥 결과만 툭 읽고 버린다면 MBTI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거라고 합니다. 정확히 알고 올바르게 활용한다면 자신을 성장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는 MBTI입니다.


성격심리분석가 김성환 저자는 <진정한 나다움의 발견 MBTI>에서 MBTI의 기본 이론과 16가지 유형에 관한 개괄적인 설명은 물론이고 특히 MBTI를 통한 성장과 활용에 초점을 맞춥니다. MBTI는 자신의 뚜렷한 정체성을 확립해 주는 이론입니다. 자신을 이해하고 무언가를 시도함에 있어 알아야 할 MBTI로 바라보자고 합니다. 그리고 MBTI가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다고도 분명히 말합니다.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시키기 위한 명분으로 오용하면 안 되는 겁니다.


결국 MBTI는 자기이해를 시작으로 타인을 이해하며 인격적으로 성숙해지기 위한 변화의 시간입니다. 나는 어떤 유형의 사람인가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자기를 완성하기 위해 부족한 지점을 의식적으로 개발하고, 강점을 제대로 발휘하는 모습으로 성장해야 합니다.


MBTI는 미국인 모녀 브릭스와 마이어스가 함께 개발한 자기보고식 성격 유형지표의 약자를 의미합니다. 1962년에 정식 소개되었으니 꽤 오랜 역사를 지녔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975년에 들어온 이래 우리는 한국판으로 변환한 MBT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행동은 인식, 판단, 태도, 생활양식으로 드러납니다. 내적 심리기능과 외적 태도지표가 어우러져서 나타나는 거죠. 그래서 MBTI는 크게 4가지 선호지표가 있습니다. 에너지가 어디로 향하는지,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의사결정은 무엇으로 하는지, 외부 세계에 대처하는 생활양식은 어떤지입니다. 이 4가지 속에 외향형, 내향형, 감각형, 직관형, 사고형, 감정형, 판단형, 인식형이 각각 자리 잡고 있고, 조합을 해서 총 16가지 유형이 탄생됩니다.


<진정한 나다움의 발견 MBTI>에서는 검사할 때 주의점과 해석할 때 주의점을 잘 알려줍니다. 자기보고식 검사이기에 그 한계는 분명히 있습니다. 방어기제가 발동해 내가 바라는 이상적인 모습에 체크하기도 합니다.


외향형이라고 해서 100% 외향형은 아닙니다. 빈도가 높을 뿐이지 어떨 때는 내향형 특성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암호 같은 알파벳 약자로 표현한 MBTI 성격유형은 내가 더 많이 쓰는 선호도를 의미합니다. 성격에 대한 결론을 내려주는 틀이 아닌 겁니다. 선호나 경향성은 충분히 바뀔 수 있습니다.


김성환 저자는 MBTI 유형 하나하나에 대한 명확한 안내를 하고 있는데요. 솔직히 내 성격 유형만 쓱 읽고 끝냈던 사람이 많을 겁니다. 그래서 굳이 이렇게 남의 유형까지 읽어야 하나 싶은 생각도 들었지만 자세히 소개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내 유형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나머지 15가지 유형과의 차이를 알고 비교할 수 있는 자각이 생겼을 때 진정한 나다움을 이해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고 보니 겨우 코드 하나만 다른데 그토록 다른 성격이 발현되니 참 신기합니다. 이 책에서는 MBTI 유형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잘 정리해두고 있습니다.


16가지 유형에 대한 기본 특징 정도로만 가늠하고 끝냈다면 이제는 그보다 더 중요한 심리기능에 대해 알아볼 시간입니다. 유형의 뼈대를 이루고 있는 심리기능은 개인이 외부 환경과 관계를 맺는 데 있어 개인의 고유한 반응 패턴을 말합니다. ST, SF, NF, NT 조합마다 가진 장단점을 분석해 주고 있습니다.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기능과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열등기능 간의 관계에도 집중해야 합니다. 이를 심리위계라고 부릅니다. MBTI 주기능과 부기능, 3차기능, 열등기능을 어떻게 찾아내고 해석해 활용할 수 있는지 꼼꼼히 다루고 있습니다. 이걸 알아야 하는 이유는 나의 경직 상태를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내 성격의 취약점을 확실히 알 수 있게 해주거든요.


성격의 바탕이자 성격을 결정하는 선천적 기반이 되는 내적 특성인 기질에 대해서도 짚어줍니다. 한마디로 16가지나 되는 유형이 복잡하다며 커시 박사가 심플하게 줄인 셈인데요. 16가지 유형을 4가지 기질로 재구성한 겁니다. 디오니소스적 기질, 에피메테우스적 기질, 프로메테우스적 기질, 아폴로적 기질처럼 서양 신화의 이름을 땄기에 한국 MBTI 연구소 김종구 소장은 우리 정서에 더 잘 어울리는 사군자 기질을 개발했습니다.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로 4가지 기질을 설명하는 부분이 흥미진진합니다.


MBTI는 진로와도 연결됩니다.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 되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나다움의 발견 MBTI>에서는 성격과 진로의 밀접한 연관을 통해 알맞은 진로와 직업 선택을 하는 데 있어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에니어그램에 관한 책도 쓴 김성환 저자는 에니어그램과 MBTI를 함께 활용하는 방안도 짚어줍니다. 아홉 가지 유형마다 가진 기본적 정서가 어린 시절의 경험과 연관되어 있는 에니어그램과 MBTI를 비교해 상호보완 관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타고난 성격을 성공 스펙으로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올바른 MBTI 활용에 관한 책 <진정한 나다움의 발견 MBTI>. 알쏭달쏭한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주는 Q&A까지. 그저 재미 삼아 보는 심리테스트를 넘어 내 성격을 관리하고 발전시키는 유용한 도구로 MBTI를 이용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