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류의 미래 - 화성 개척, 성간여행, 불멸, 지구를 넘어선 인간에 대하여
미치오 카쿠 지음, 박병철 옮김 / 김영사 / 2019년 5월
평점 :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건에 직면했을 때 인간은 헤쳐나갈 수 있을까?의 해답을 찾는 여정 <인류의 미래>. 출간 전 가제본으로 먼저 읽어봅니다.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호모데우스>의 과학판을 만나보세요. <마음의 미래>, <평행우주> 등 과학의 대중화에 힘쓴 이론물리학자 미치오 카쿠의 신간 <인류의 미래>는 과학기술의 현실을 바탕으로 앞으로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뜬구름처럼 추측과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미래에 직면하게 될 재난을 미리 짚어보고, 단계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과학적으로 말이죠.
지구에 재앙에 처했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그 상황을 탈출하거나, 적응하거나, 멸종하는 것입니다. 사실상 멸종에 가까운 재앙에서는 탈출, 즉 지구를 벗어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어디로? 우주로.
천문학적 돈이 들어가는 우주 개발에 정부는 그나마 지원하던 것조차 끊을 정도이지만 다행히 일부 기업가들 덕분에 우주 개발은 진척되고 있습니다. 행성과 별을 탐사하는데 필요한 기술에는 한두 가지 기술이 필요한 게 아니라는 걸 <인류의 미래>에서 볼 수 있습니다. 걸림돌의 연속, 상상 그 이상이었어요.
영화나 소설에서처럼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들어줄 기술 몇 가지로 척척 해결되는 게 아니었습니다. 그처럼 우주를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이라면 인간은 신이 되어 있을 거라고 하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중행성 생명체 운명인 인간에게 우주 개발은 필연적인 상황으로 다가왔습니다.
<인류의 미래>는 낯선 과학 용어가 숱하게 등장합니다. 하지만 SF 소설과 영화 이야기, 각종 물리학 개념의 역사 속 에피소드 등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곁들여 마냥 지루하거나 어렵지 않게 도전할 수 있는 교양과학서입니다.
지구를 벗어나려면 로켓부터 만들어야 합니다. 로켓의 아버지 로버트 고다드로 시작한 로켓 개발의 역사는 전쟁사와 맞물려 있었습니다. 과학이 그저 과학 영역에 한정된 게 아니라 세계사 속에서 함께 움직이고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현재는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로스와 테슬라, 스페이스 X의 엘런 머스크의 전폭적인 개입으로 우주 개발 프로젝트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현재 수준을 살펴보니 영화 <마션>처럼 가능하려면 숱한 난관이 여전히 존재해 실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미치오 카쿠의 말에 따르면 10~20년만 지나도 소설 속 이야기가 아닌 상황들이 이어질 거라니 일찌감치 실망하기엔 이릅니다.
인류 최대 과제 우주 개발. 미래의 인류가 새로운 터전을 찾아 태양계로 진출하는 시나리오는 여전히 SF 소설 같은 느낌입니다. 반물질엔진, 라이트세일, 핵융합엔진, 나노칩 등 5세대 기술들이 헤쳐나가야 할 걸림돌도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고, 인간은 개조 수준이 되어야 우주로 나갈 수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가능하더라도 인간 본능상 어느 정도까지 수용할 수 있을지 다양한 문제도 뒤따릅니다.
하나를 해결하면 또 다른 난관이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의 연속인 우주 개발. 과연 지구가 아닌 다른 곳에서도 인간이 살아갈 수 있을까?라는 문제는 우주가 수명을 다하는 상황까지도 다룹니다. 팽창하는 우주가 팽창을 멈추고 수축하거나 얼어붙거나 찢어지는 등 이 역시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할 수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이 모든 문제를 살펴보는 과정에 등장하는 SF 소설들이 실제로 유용한 아이디어를 주고 있다는 것이었어요. 황당한 발상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미래에는 가능한 일이 된다는 것은 이미 과거에서도 있어왔고, 앞으로는 그럴 리 없다는 장담이 오히려 허황될지도 모릅니다.
생존을 위협하는 위기에 봉착한 지구를 벗어나 다른 행성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는 가능성을 분석한 <인류의 미래>. 인류의 운명을 바꿔줄 과학기술의 향방이 더욱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