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리뷰해주세요.
-
-
레오나르도 다 빈치
캐슬린 크럴 지음, 장석봉 옮김, 보리스 쿨리코프 그림 / 오유아이 / 200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은 지금도 난 레오나르도 다 빈치 하면 떠오르는 건 <모나리자><최후의 만찬>을 그린 천재 화가란 이미지가 먼저 떠오른다.
그의 이런 이미지가 강해서일까?
미술가로서의 삶보다 항상 무언가를 알고 싶고 알기 위해 굶주려 있던 그의 삶이 나에겐 너무 낯설게 다가왔다.
이 책은 미술가로서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아닌 과학자로서의 그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적고 있다.
날개를 어깨에 달고 있는 레오나르도의 표지 모습을 보면 알 수 있듯 그는 중세의 다른 미술가나 과학자보다 한발 앞선 진보적인 사고방식을 지닌 사람이었던 것 같다.
당시 사람들로선 생각지도 못했던 인체 해부를 몰래 하면 사람의 몸 속을 탐구, 우리 몸 속의 내부 기관에까지 관심을 가졌던 그,
그리고 표지에서 알 수있듯 비행의 원리를 알기 위해 새들을 관찰하고 잠수함이나 스노클등 그는 모든 분야에 관심을 두었고 모든 지식을 알려고 노력했다.
그가 남긴 글 중에 이런 문구가 생각난다.
"알고자 하는 욕구는 진실한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것이다"
그의 알고자 하는 욕구는 이런 문구에서도 알아볼 수가 있는데
"어떠한 장애물도 나를 꺾을 수 없다. 별을 뚫어져라 바라보는 사람은 자신의 마음을 바꾸지 않는다"에 쓰여진 것처럼 그는 자신의 알고자 하는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당시 금지 되었던 인체 해부를 몰래 감행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그의 미술가로서의 천재성은 단지 자신의 생계수단으로서 이용했다고 써있다.
알려진 것처럼 그의 천재적 재능이 그의 삶을 지배했던 것 같지는 않다.
그를 지배하고 그에게 삶의 원동력을 주었던 건 미술가로서의 그가 아닌 과학자로서의 그였던 것 같다.
이 책은 그의 과학적인 업적과 이제껏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삶을 써내려간 책이다
모든 지식들에 너무나 천재성을 발휘했던 그도 자신의 이룬 업적들을 정리하고 모든 사실들을 연관성있게 정리하는데는 너무나 미숙했기에 그가 연구했던 많은 지식들이 이제껏 일반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고 과학자로서의 그의 이름보다 미술가로서의 그의 이미지가 먼저 떠오른다는 건 이 책을 읽으면서 조금 아쉽다 생각이 들었다.
권장 대상:이 책은 아마 초등 5~6학년인 아이들이 한번쯤은 꼭 읽어보아야 할 위인전이 아닌가 싶다.
이 책의 장점:알려지지 않았던 과학자로서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모든 지식에 목말라했던 인간적인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일생을 알 수 있으며 당시 중세의 사회상을 이해 할 수 있는 책이란 점이다.
한 핏줄 옵션: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한 핏줄의 책으로 생각난 건 <레오나르도 다빈치 최초의 과학자>란 책이다
인상적인 문구:알고자 하는 욕구는 진실한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