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소리 기술>을 리뷰해주세요.
-
-
잔소리 기술 - 소리치지 않고 야단치지 않아도 아이가 달라지는
최영민.박미진.오경문 지음 / 고래북스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으면서 10살 된 우리 큰 아이에게 물어보았답니다.
"엄마가 제일 잘 하는 게 뭐라고 생각하니?"
아이가 생각하는 듯 하더니
"엄마 칭찬도 많이 하지만 잔소리가 더 많아"
하고 말을 하네요.
아이하고 매일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엄마여서일까요?
아이가 하는 많은 미덥지 않은 일들을 볼 적마다 아이에게 저도 모르게 잔소리를 하고 있었나 봅니다.
이 책에 쓰여진 것 처럼 저도 모르는 사이 아이에게 많은 잔소리로 아이를 힘들게 하고 있엇던 것 같네요.
아이가 상처 받는다는 사실을 인식하지도 못하고 아이에게 내 뱉았던 많은 말들을 생각해보니 아이에게 미안하단 생각이 드네요.
아이들이 가장 싫어하는 교육 방식이 잔소리란 사실,
저도 어릴 적 생각을 하면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알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개구리 올챙이적 생각 못한다고 저도 개구리처럼 행동하고 있었네요.
우리 아이들이 잘 되기를 바라는 조바심이 아이들에게 잔소리로 다가가는 건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이 책에서 언급한 것 처럼 부모들의 잔소리의 이유는
아이가 잘 되라고,
폭력을 쓰지 않기 위해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한다는군요.
아마 대부분의 엄마들이라면 아마 우리 아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잔소리가 생각지도 않게 튀어 나오는 것이 아닌지요.
부모와 자식간의 잔소리가 필연적인 함수관계에 있다면 이 책의 저자가 강조하듯 기술적인 잔소리를 할 필요가 있음을 절실하게 느낍니다.
아이가 마음의 상처를 받지 않도록 부모인 우리들도 노력하고 성장해야 한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자녀는 분명히 가르쳐야 할 대상이지만, 자녀를 키우는 일은 그 외에도 커다란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즉 부모가 아이만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부모 자신도 함께 성장하는 것이다. 그래서 자식을 키워 본 부모와 그렇지 않은 부모 사이에는 세계관에서 확연한 차이가 생기게 된다.'
아이를 키우면서 부모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인생에 대해 그리고 인생의 깊이에 대해 아이와의 부딪침에서 알게 되는 것 같아요.
우리 아이들을 단지 가르치는 대상이 아닌 모르는 것을 같이 보충하면 배워가는 동등한 관계로 인식하게 된다면 일방적인 잔소리에서 서로 교감을 나눌 수 있는 대화의 상대로 바뀌게 되지 않을 까요?
우선 아이에게 내가 어떤형태의 부모인지 그 유형을 파악하는 일이 중요한 것 같네요.
자유 방임형인지
억압형인지,
복종형인지,
민주적이며 권위자형 부모인지
우선 내 자신을 파악하고 아이의 성격을 파악하여 잔소리를 해야 할 것 같네요.
이 책에서는 잔소리 잘 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네요.
1.짧게 할 것
2.반복하지 말 것
3.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말 것
4.인신에 대한 비판이 아닌 행동에 대해서만 할 것
5.화풀이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하지 말 것
6.잘못한 일에만 명확하게 초점을 맞춰서 하고 그 대안을 제시할 것
7.'있다가 보자' 라고 미루지 말고 행위가 일어난 즉석에서 할 것
8.기준을 정해 일관되게 할 것
9.말에 감정을 싣지 말 것
10.아이 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성에 맞춰할 것
11.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할 것
아이에게 잔소리를 하기 전에 이 말들을 가슴 속에 담아 두었다가 되새길 수 있다면 아이에게 잔소리를 함에도 다시 한번 신중을 기하게 되지 않을 까 싶네요.
잔소리를 하기 전에 우리 아이들의 마음 속에 담아둔 말을 먼저 들어주는 경청의 자세가 되어있다면 우리 아이들도 엄마의 말에 더욱 귀 기울여 주지 않을 까 하는 생각을 이 책을 읽는 내내 하게 되었답니다.
이 책의 도입부의 부인이 장미꽃을 꺽어 버린 아이에게 너무나 속이 상해 달려가는 남편을 향해 한 말이 지금도 머리 속에서 떠나질 않네요
"여보 잊지 말아요. 우린 꽃을 키우는 게 아니라 아이들을 키우고 있어요."
이 책을 읽으면서 <부모와 아이사이><감동주는 부모되기>란 책이 떠올랐답니다.
그리고 이 책은 성장기의 아이들을 둔 부모님에게 권하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