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뽕과 소주의 힘
김종광 지음 / 이가서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종광의 작품이라고는 「낙서문학사 창시자편」밖에 읽지 못했는데, 사실 그 작품은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형식이 신선했었다. 가볍게 술술 읽히면서도 묵직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어서 그의 이름을 기억하고 있었다. 가장 21세기다운 문학, 곧 낙서문학을 창시한 유사풀이란 인물들 둘러싼 인물들의 인터뷰로 채워진 작품이다. 문학권력에 대한 야유와 조롱이 한껏 버무려진 그런 소설이었다. 그 작품은 읽으면서 고개를 주억거리고 무릎을 치게 만드는 작품이 아니라, 읽고나서 공감할 수 있게 만들게 했던 것이다.

짬뽕과 소주의 힘? 짬뽕의 힘이라는 건지, 소주의 힘이라는 건지, 아니면 짬뽕과 소주의 합해진 힘이라는 건지 불분명했다. 여하튼 짬뽕과 소주, 둘 다 먹고 나면 속이 뜨끈해진다. 열기가 확확 올라온다. 얼굴이 불그죽죽 달아오른다. 그리고 개운하면서도 어딘가 모르게 석연찮게 찝찝한 기분이 든다. 그래서 인가? 나는 짬뽕보다는 짜장면(자장면이라고는 죽어도 안 나온다.)을, 소주보다는 막걸리나 맥주를 찾게 된다. 짜장면이야 원체 맛 나는 거니 그렇고, 가난한 자취생이어서 밤을 새고 마실 때는 안주도 마땅찮은 소주로 한다. 별 쓸데없는 말을 다 하는---.

맛은 다 날아가 버리고 오로지 매운 기운만 남게 되는 것이 짬뽕과 소주인 듯싶다. 그래서 소주와 짬뽕의 힘은 가벼움의 힘이란 말의 다름이 아닐 터이다. 다 날아가 그 실체는 안 보이는데, 엄연히 화끈거리는 기운으로 남아서 힘을 발휘해 낸다. 대체 그것들의 힘은?

이 작품집에 나와 있는 인물들은 우리 시대의 전형적인 인물상이이라고 말하긴 어려울 듯 하다. 그러면서도 매우 다양하다. 공통되게도 어쩌면 이리도 지질이 궁상을 떨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많은지---. 별로 웃기지도 않을 인물들이 웃기지도 않은 상황을 연출하며 웃게 만든다. 이내 허허로워져버렸다. 무엇보다도 삶에 대한 열정을 이야기 하고 꿈을 말할 것 같은 젊은 축에 낀 인물들도 역시 삶에 찌들어 우는 소리를 해대니 적잖이 마음이 안 좋았다. 또한 느닷없고 갑작스럽고 대책 없는 인물들의 이야기는 나를 황당하고 어이없고 낯설게 만들었다. 그러면서도 작가의 말장난 같은 이야기에 가만히 빠져들 만한 몰입이나 집중은 되지 않았으니 왜 그랬을까.

너무 너무 가벼운데, 그 가벼움의 실체가 뭘까? 대체 김종광은 뭘 말하고 싶어서 이런 비슷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걸까?, 하는 질문을 연달아 해대면서도 답을 찾지 못했다. 다만, 지금 내가 느끼는 거 하나는, 작가가 '작가의 눈'으로 좀더 현실에 천착하길 바란다는 거다. 현실에 비껴나 있는, 그러면서도 명백히 존재하는 그들의 삶을 발현해 보여주길. 입담은 충분히 있으니, 무게가 느껴지는 그런 작품을 썼으면 좋겠다는 거다. 희희낙락 읽어내려가도 마지막 장을 덮고 나서는, 가슴이 저릿저릿해지는 아픔이나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소설을 말이다. 그러면 그가 추구해마지 않는 그 휘발성의 힘, 가벼움의 실체도 여실히 드러날 터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