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아니면서 모든 것인 나 문학.판 시 1
최승호 지음 / 열림원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글을 읽고 가장 먼저 드는 감정은 바로 아뜩함이다. 시인의 눈에 비친 사물은 이제야 제 빛을 발산하고, 또 다른 의미로 해석되어 지나니---. '이런 글을, 글을 쓰는구나. 쓸 수 있구나. 어면히 나와 동시대인인데---.'하고 혼잣말로 내뱉고 나면 한동안 망연해진다. 언제부터인가 나는 알았다. 내가 글을 쓰고 싶어한다는 것을. 어쭙잖은 글 말고 글다운 글을. 그래서인지 가슴을 찡하게 울려대는 글을 보면 내가 가지지 못한 재능을 가진 작가에게 경외감을 느낌과 동시에 말도 안되는 질투심을 느낀다. 내 것이 아님이 분명한데 자꾸만 욕심을 내서 스스로 같잖은 인간이 되게 만들어 버리는 질투심.

최승호의 시는 [전집]밖에 알지 못했다. '놀라워라 조개는 오직 조개껍질만을 남겼다'([전집] 전문) 이 시를 정효구의 <시읽는 기쁨>이란 책에서 본 듯. 생각했다. 이 사람, 멋질 것 같아. 꼭 시를 찾아 읽어봐야지, 하고. 그리고 집어든 시집이 <아무것도 아니면서 모든 것인 나>였다. (작가가 글을 쓴 순서대로 읽지 않은 게 내 독서 버릇 중의 하나이다. 닥치는 대로 읽는 편이라.)

'뙤약볕 내리쬐는 부도밭에서/금갈색 도마뱀을 만난다/나를 무슨 괴물체처럼/이상한 눈으로 갸웃거리며 쳐다보는/한 마리,/굽어보는 나도 한마리,/([도마뱀] 중)은 장경린의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에서 바퀴벌레의 눈으로는 화자는 단 '한 폭의 인물화'라고 말하는 부분과 자연스게 겹쳐졌다. 이렇듯 아무 것도 아닌 나이다. 다만 우리가 인정하지 않았을 뿐. 그리고 '적멸은 지금 적멸궁뿐만 아니라/멸치 대가리와 말라빠진 똥 속에도 있을 것이다'([멸치와 고행자] 중)에서 처럼 아무 것도 아닌 것만은 아니다. 부정을 위한 부정이 아니라 긍정을 전제로 부정임이 내비춰진다. 덧붙이지면 아래와 같은 예로써.

현재는 오물덩어리의 세상이다. '가난한 피는 여전히 가난하고 궁핍에서 죽음에 이르는 길에 너절하게 불어나는 물건들이 있다는 것', '위대한 수줍음'은 사라지고 '뻔뻔스러움'이 '비닐과 가래침과 광고들'러 넘쳐난다. 도처에. 이러한 세상에 둔하고 어리석게 살고 싶은 꿈은 바로 '눈송이들로 우물을 메우는 즐거움'을 맛보는 바보성인이 되고싶은 시인의 꿈이다. 우라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아주지 못하고 빗보게 된다. 무지의 소산이 아니라 어쩌면 너무 손익계산을 어서 하고 약삭빨라야만 인정 받고 살아가지는 세상이라 그런 듯하다.

그렇지만 시인은 말한다. '나는 구름 숭배자는 아니다/내 가계엔 구름 숭배자가 없다/하지만 할아버지가 구름 아래 방황하다가 돌아가셨고/할머니는 구름들의 변화 속에 뭉개졌으며 어머니는/먹구름을 이고 힘들게 걷는 동안 늙으셨다//흰 머리칼과 들국화 위에 내리던 서리/지난해보다 더 이마를 찌는 여름이 오고/뭉쳐졌다 흩어지는 업의 덩치와 무게르르 알지 못한 채/나는 뭉게 걸음을 보고 걸어간다//보석으로 결정도지 않는 고통의 어느 변두리에서/올해도 이슬 머금은 꽃들이 피었다 진다/매미 울음이 뚝 그치면/다시 구름 높은 가을이 오리라'라고. 긍정을 전제로한 부정, 또렷이 드러나지 않는가. 시인이 왜 시인일 수밖에 없는지 아렴풋 알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