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다림
하 진 지음, 김연수 옮김 / 시공사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17년의 기다림. 이것은 쿵린과 만나가 결혼하기 위해 인내했던 시간이 아니었다. 그것은 수위가 남편 쿵린을 기다렸던 시간이었다...
사랑이란 무엇일까. 요즘 들어 부쩍 드는 생각이다. 예전에는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던 문제. 그러나 하면 할수록 더욱 어려운 난제... 과연 사랑은 실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사람들은 1~2년 여우비 같은 일시적인 감정을 사랑이라 착각하는 것일까.
사랑이 무엇인지, 나는 아직 명쾌하지 않다. 다만 분명한 것은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영원하지는 않다는 것. 만나와 둥마이의 사랑이 그랬고 17년 간 서로를 애타게 기다렸던 만나와 쿵린의 사랑도 그랬다. 하루라도 빨리 결혼하자며 징징거렸던 둥마이는 결국 만나를 배신했고 오직 만나를 통해서만 피가 끓었던 쿵린도 서서히 자신의 감정을 의심하기 시작한다. ‘내가 진정 그녀를 사랑하는 것일까...’ 17년, 17년을 기다렸던 쿵린과 만나의 결혼. 그러나 쿵린은 소소한 집안일을 비롯해 만나와 쌍둥이 아기들의 뒤치다꺼리가 힘겹기만 하다. 그의 결혼 생활에 행복은 없었다.
인간의 마음이란 이렇게 변덕스러울 수밖에 없는 것일까. 사람은 누구나 고독한 존재로 태어난다. 그래서 한평생을 함께 할 사람을 찾기 위해 아낌없이 젊은 날을 바친다. 그러나 결코 너도, 나도 영원할 수는 없다니... 지금은 마음을 한 주머니 속에 넣고 있지만 그것이 언제든지, 나도 모르는 새 다른 곳으로 옮겨갈 수 있다는 불안감. 그로 인해 무방비 상태에서 상처를 받고 허우적거릴 수 있다는 공포감에 마음 한 켠이 시리다. 하지만 마음이 돌아섰다고 해서 고소를 할 수도 없고 처벌을 할 수도 없으니... 버림받은 영혼은 그저 앉아서 그 상처를 고스란히 받는 수밖에 별다른 도리가 없다.
사랑이 변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일상생활의 권태감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쿵린은 아내 수위의 촌스러운 모습에 애정을 쏟지 못한다. 수위는 시어른 병수발 들랴, 농사일 하랴, 집안일과 아이까지 도저히 꾸밀래야 꾸밀 시간도 없다. 전족으로 오그라붙은 발도 쿵린은 끔찍하기만 하다. 그래서 그는 도시 사람에게 소개해도 빠지지 않을 만나만이 자신의 사랑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아이를 낳고, 집안일을 거들고, 만나를 돌봐주는 일들 속에서 쿵린은 허우적거리게 됐으니.. 그는 과연 어떤 결혼생활을 꿈꿨던 걸일까. 사랑이라는 것은, 결혼이라는 것은 결국 지난한 일상들이 모여져 만들어 지는 것임을 그는 미처 알지 못했나 보다. 그 지루함과 권태감을 참아내내는 것도 사랑의 일부분임을... 그렇다면 실제 결혼생활에서 나는 반복되는 하루하루를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쿵린은 결국 수위와 딸 화와 함께 보내는, 아무렇지도 않은 명절 식탁에서 비로소 평안함과 따뜻함을 느끼게 된다. 만나가 린과 결혼하기 위해 17년을 기다렸다면 수위도 이런 날을 위해 17년을 기다렸다. 만나의 기다림과 수위의 기다림. 이 두 기다림은 어떤 차이가 있었기에 한 쪽은 비극으로. 다른 한 쪽은 희극으로 끝나는 것일까. 본처라는, 결혼이라는 형식? 아니면 수동적이었던 수위의 태도? 작가 진쉐페이는 결국 쿵린을 통해 온화하고 조용하며 모든 것을 수용하는 수위를 선택했다. 여성의 심리를 세세하게 묘사해 나로 하여금 찬사를 보내게 했던 작가도 결국은 이기적인 남성에 지나지 않았던 걸일까. 수위의 용서와 포용을 통해 화해 아닌 화해를 도출해 내다니...
“저는 너무 행복해요, 여보. 이렇게 집에 오셨잖아요.”
라는 수위의 감격어린 한 마디. 수위의 말에 쿵린은
“아, 나는 얼마나 멍청한 인간인가... 여보, 날 기다려줄 수 있겠소? 곧 당신에게 돌아오리다. 우린 한 가족이잖소. 날 버리지마.”
라고 울며 이야기한다. 사랑을 얻기 위해서 여성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이런 희생을 감수해야만 하는 것인지. 사랑의 대가라고 하기엔 너무 지나치다. 17년 간의 외로움 끝에 얻은 수위의 행복. 과연 이것을 행복이라 할 수 있을까. 여성인 ‘나’는 남성들의 이런 이기심을 넉넉히 포용할 수 있을지. 당신은 이런 사랑을 감당할 자신이 있습니까. 조용히 나에게 되물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