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갈리아의 딸들
게르드 브란튼베르그 지음, 히스테리아 옮김 / 황금가지 / 1996년 7월
평점 :
‘이갈리아의 딸들’이라는 소설 속에서는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이갈리아에서는 남성이 여성의 역할을, 여성이 남성의 역할을 맡는다. 여성은 큰 키와 넓은 어깨, 그리고 강한 근육을 가지고 있다. 반면 남성은 풍부한 지방질 몸매를 가져야 인기가 높다. 심지어 피임약도 남성이 먹으니 작가는 완벽하게 남녀가 뒤바뀐 세상을 상상하는데 성공했다.
소설 속 가장 인상 깊었던 구절은 “문명의 목적은 자연의 불평등을 해소하는데 있다”라는 말이다. 이 말은 나에게 큰 혼란을 가져다 주었다. 그렇다면 남성이 지배하는 현 시대는, 여성성이 우월했던 세상의 불평등을 해소한 결과인가? 아니면 세계는 앞으로 남성의 강한 근육과 이로부터 파생되는 모든 불합리함을 극복해 나가야 할 숙제를 안고 있는 것일까. 결국 이갈리아라는 세상은 우리의 과거였을까, 아니면 다가올 미래일까..
하지만 그것이 과거인지 미래인지는 중요치 않다. 중요한 점은 누가 누구를 극복하든 그것은 결국 한 성이 다른 성을 억압하게 되는 반문명(나는 이것을 반문명이라고 정의했다)의 상황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남성과 여성은 모두 똑같이 ‘사람’이라는 종에 속한다. 그렇지만 두 성은 성 차이로 인해 전혀 다른 종에 속하는 것처럼 분화됐다. 그리고 그 차이는 억압으로 연결된다. 며느리만 봐도 그렇다. 결혼과 동시에 여성은 며느리로, 종으로 전락하고 결혼을 꿈꾸는 모든 한국 여성은 며느리라는 희생을 당연히 감수해야 한다. 그래야 결혼이 성립하고 생활이 유지된다. 지금은 조선시대보다 훨씬 상황이 나아졌지만 그래도 한국사회에서는 여성은 여전히 남성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부당한 대우를 ‘인내’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가 세다느니, 성격이 모나다느니 온갖 인신공격에서 벗어날 수 없다.
문명의 목적이 진정 불평등을 해소하는데 있다면 인간은, 남성이든 여성이든 이제 이 억압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지금처럼 여성이 억압받고 있는 상황도, 이갈리아처럼 남성이 해방되지 못한 상황도 모두 불행한 일이기 때문이다.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자신의 성에 의해 차별받고 종속되지 않을 권리가 있다. 남과 여가 아닌 그저 한 사람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사람으로 태어나 한 세상을 자유롭게 살다가 죽는 것. 그것이 진정한 문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