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 엄청 많은 비 

아침부터 비가 쏟아졌다. 토요일이 영이 휴가라서 같이 하루 쉬게 월차를 내려고했더니 사장이 자기 서울간댄다. 이 인간이 한달에 하루 월차 주기로 해놓고는 내가 월차만 쓰려고하면 개지랄이다. 밉상스러운 놈. 하여간 사장이란 인간들은 하나같이 재수없는 놈들이다. 하루 놀면 지 돈 공짜로 주는양 얼마나 발발 기는지. 모레부터 휴가가는 사람이 있어서 오늘 상여금을 정리했다. 받아서 엄마 보험료 내고 용돈을 15만원 주고 적금으로 100만원 넣고 남은 돈 30만원을 휴가비로 쓸까싶다. 몇년전부터 휴가때마다 그냥 집에서 쉰다. 어디 가봤자 고생이고 즐겁지가 않다. 어릴때는 고생도 그럭저럭 즐기겠던데 이젠 무리다. 첫째로 자리가 바뀌면 잠을 못자니 다음날이 너무 힘들다. 오후에는 느긋하니 책을 봤다. 책 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민들레 와인, 벽장속의 치요.  

벽장속의 치요는 귀신얘긴데 세 편은 아주 좋았고 두어편은 그럭저럭 두어편은 마음에 들지 않았다. 표제작인 벽장속의 치요가 제일 좋았다.  

민들레 와인은....흠.....뭐랄까.....내가 본 중 최악의 소설중 하나다. 사실 책의 주제와 내용은 내가 아주 좋아하는 종류다. 그래서 망설임없이 샀는데 그 서술법이 진짜 내가 싫어하는 방법이다. 작품내용이 좋고 나쁘고를 떠나고 문장 하나하나가 너무나도 싫었다. 서술, 묘사, 전개방식등등 죄다 내 마음에 드는게 하나도 없었다. 그런걸 쏙 빼고 순전히 줄거리만을 설명한다면 내가 정말 좋아하는 내용인데 어쩌면 첫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단 한줄도 마음에 드는 문장이 없었다. 오오~ 그 동안 많은 책들을 보왔지만 이토록이나 처음부터 끝까지 마음에 안드는 책은 본적이 없다. 적어도 한 문장쯤은 괜찮은 문장이 있는 법인데...작가가 잘쓰고 못쓰고를 떠나서 나랑은 이른바 코드가 안맞는 책인것이다. 첫 문장부터 이건 아닌데 싶었는데 마지막 문장까지 치를 떨면서 읽었다.(그러면서도 끝까지 읽는다는게 또 나의 문제다) 다 읽고나니 멀미가 날 지경이었다. 마가린을 대접채 퍼먹은듯한 느낌. 정말 욱~이다.  

마지막으로 책읽기의 달인 호모부커스는 요즘들어 웬지 책 읽는 법, 책리뷰등과 같은 이른바 책에 대한 책에 많이 나오는데 그중에서 책읽는 법에 대해 적어놓은 책이다. 왜 책을 잃어야 하는가? 책을 읽는것이 왜 중요한가? 그렇다면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등등등. 저자와 같은 평론가에는 미치지 못하겠지만 보통사람치고는 나는 책을 퍽 많이 읽는 축에 든다. 사실 살면서 내게 책읽으란 소리는 아무도 한 적이 없다. 고만고만한 형편에 그런저런 집안의 딸인 내게 미래는 거의 정해져 있었다. 국민학교때부터 내 미래는 여상을 가서 얼른 취업을 하는 거였다. 그 사이 우리집에 돈다발이라도 떨어지지 않는 이상은 빚투성이인 집안에서 어떻게 할 방법이 없었으니까. 그래서인지 어려서부터 책을 좋아하고 책이라면 미친듯이 읽었지만 아무도 내게 책을 읽으라든가 책 한권 구해주는 사람이 없었다. 지금도 엄마는 왜 돈들여 책을 사냐는듯한 분위기지만 내 돈이라서 암말도 못하고 참는다. 내가 속시원히 책을 보게된것은 20대 중반이 지나서 집안의 빚을 다 갚고 어느정도 집이 안정되어 내가 번 돈을 내가 쓸수있게된 후였다. 10대후반부터 돈을 벌었지만 한번도 그 돈을 내 맘대로 써보지 못했다. 그렇다. 이건 푸념일수 있다. 너보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어쩌고 저쩌고 하는 소리들 참 많다. 그리고 솔직히 그런 환경에서 잘된 사람도 많고. 그런데 그런 환경에서도 잘된 사람들의 대부분이 남자라는거 아는가? 집안이 아무리 힘들어도 아들은 어느정도 공부를 시키고 출세를 시키려하는 경향이 있지만 딸에게 그러는 집은 거의 없다. 그래도 딛고 일어설수 있잖아라고 한다면 할 말없다. 그리치자면 누군들 넬슨 만델라가 못되고 간디가 못될것인가. 내가 이런 푸념을 길게 늘어놓는건 이런 종류의 책을 읽을때마다 느껴지는 어떤 말못할 자격지심때문이다. 나는 책을 순전히 재미로 읽는다. 어려서부터 좋아했고 책이 재미있었다. 지금도 책이 그저 재미있어서 본다. 굳이 교양을 위해서도 지식을 위해서도 미래를 위해서도 더 나은 뭔가를 위해서도 아니다. 순전히 재미만을 추구한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책에서는 순전히 재미를 위해 읽는 책읽기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다들 하는 말이 이거다. 책을 읽으면 미래에 도움이 되고 정신적으로 발달하고 한 단계 성숙하고 등등등. 자기계발서 같은 잠깐 도움되는거 읽지말고 고전을 읽는게 좀 더 긴 안목으로 봤을때 도움이 되고 등등등. 요는 결국은 도움이 된다는거 아닌가. 왜 꼭 무엇을 바라고 책을 읽어야 하는가. 그속에서 무언가를 건져야 하고 무언가를 얻어야 하고 생각이 넓어져야 하고 토론을 잘하게되고 등등. 목적. 한마디로 목적이 있어서 책을 읽는다 이건데. 왜 순수히 그냥 책을 재미삼아 읽으라는 사람은 없을까. 책이 얼마나 재미있는데, 사는데 별 도움안되도 이거 진짜 재미있어라고 말이다. 100%도락으로써 한번 책을 읽어보라. 얼마나 재미있는데...나는 청소년 시절에 읽어야 할 책을 읽지 못했다.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 청소년 시절에 읽어야 할 책을 읽지 못해서 지금에야 읽으니 그 책이 재미가 없다. 때가 지난것이다. 문제는 그 책을 읽어야 나아갈수 있는 다음 단계의 책이 있는데 그 책들을 읽기가 버겁다는 것이다. 단계를 밟아가야 하는데 그 중간 단계가 통채로 사라졌는데 이제와 메꾸려니 힘들고 그 단계를 무시하고 넘어가려니 안되고. 사실 그러다보니 순전히 재미로만 책을 읽게된것도 있을것이다. 책 한 권 읽고는 푸념이 참으로 길다. 아마도 고전에 대한 무지한 내 자신에 대한 자격지심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