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제국 -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생물의 세계를 탐험하다
칼 짐머 지음, 이석인 옮김 / 궁리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우리가 기생충에서 떠올리는 이미지는 대개가 촌충이나 십이지장충일것이다. 한때 우리나라에서는 이 기생충을 박멸하기 위해 학기마다 학생들에게 채변봉투를 내게했게 기생충이 발견되면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약을 먹어야 했던 그 기생충. 그러나 엄밀히 따지면 바이러스도 세균도 박테리아도 기생충이다. 숙주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생물들이니까. 우리 몸안도 기생충 투성이다. 우리 장안에 있는 대장균이며 피부에 사는 조그마한 벌레들에 진균들. 세상은 기생충으로 가득하다. 우리 역시 조금만 관점을 바꾸면 기생충에서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기생충이 우리 몸의 양분을 먹듯이 우리는 소를 먹고 돼지를 먹고 지구의 수많은 자원을 약탈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 세상에 과연 진정한 의미로 기생충이 아닌 생물이 있을것인가.

허나 이 기생충들이 꼭 나쁜 의미만은 아니다. 더러 많은 종류의 기생충은 우리에게 말라리아와 같은 치명적인 병을 일으키지만 우리는 장 속의 대장균이 없으면 살 수 없다. 식물들 역시 일부 기생충들과 공생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만일 세상의 기생충들을 일시에 없앤다고 하면 세상은 필시 멸망하고 말테니까. 현재 인간들은 몇몇 치명적인 종류의 기생충을 박멸하려고 애쓰려고 하는중이고 이 과정에서 운이 좋다면 우리는 자연계의 사슬에 치명타를 가하지 않은채 그들을 우리 삶에서 쫓아낼수 있을것이다. 인간이 운이 얼마나 지속될지는 지금 현재 시점에서는 매우 의심스럽지만 말이다.

세상에는 수많은 종류의 곤충들이 있다. 아직도 알려지지 않은 곤충들은 지구 전체 생명의 반을 넘어 차지하고 거기에 기생충의 종류를 합친다면 아마도 지구상의 생명체의 대부분은 기생충이 차지할것임에 틀림없다. 그만큼 우리는 이 미시적인 세계에 아직 무지하다. 화성을 꿈꾸지만 아직 지구의 저 밑바닥과 해저에 무엇이 있는지 모르듯이 우리가 아직 모르는 세계는 무한하고 이 책은 그 무한한 세계에 그저 손가락끝만 살짝 담근 정도일 것이다. 아니 그정도도 안될지도 모른다. 우리의 피 한방울에 늪지의 물 한방울에서 얼마나 넓고 큰 세계가 담겨있는지 이 책을 가이드삼아 뛰어들어보자. 이 또한 우주 못지 않은 광대한 여행이 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