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식의 품격 - 빵에서 칵테일까지 당신이 알아야 할 외식의 모든 것
이용재 지음 / 오브제(다산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일본의 맛
규슈를 먹다』에 이어 이번에도 음식에 대한 책을 골랐다. 입맛 까다로운 평론가가 들려주는 '음식'에 대한 얘기는 참으로 재미지다. 읽는 동안
침이 고인다. 세상에 있는 맛나는 음식들을 더 공부하고, 더 많이 즐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 속에서
샐러드
맛있는 샐러드의 첫째 조건은 '치수治水'다.
물론 물길을 내고 댐을 쌓는 토목 공사의 개념이 아니라 수분의 통제, 또는 조절을 의미한다. 콘슬로뿐 아니라 모든 샐러드가 나누는 원칙이다.
특히 하늘하늘한 이파리 채소라면 이 원칙이 샐러드 한 접시의 흥망을 좌지우지할 정도다. 물기가 넘쳐나면 유제품이나 올리브기름 등 지방 바탕의
드레싱과 섞여 간을 비롯한 맛의 큰 그림을 흐린다.
파스타
언제나
강조하지만, 파스타는 철저히 면의 맛으로 먹는 음식이다. 소스는 오로지 거들 뿐이지, 면을 압도하거나 양을 늘리기 위해 존재해서는 안 된다.
물냉면은 육수 맛, 비빔냉면 '다대기' 맛으로 먹는 등, 양념 맛으로 먹는 우리 면 음식과는 다르다. 그래서 "소스는 한 번 끼얹을 정도면 돼.
핵심은 파스타지 소스가 아니니까"라는 말도 있다.
파스타에서
모자란 간은 반드시 면 자체에 소금을 더해 맞춰줘야 한다. 방법? 간단하다. 면 삶는 물에 간을 하면 된다. 한마디로 '바다처럼 짠물'이
필요하다. 1인분 100g 기준으로 물 1L, 소금 15g(천일염 기준 약 1숟갈 분량)이 기준이다.
커피
나는 차라리 스타벅스의 Via를 권한다. 농축 및 건조한 추출 커피를 기본으로 원두를 미세하게
갈아 더해 맛과 두터움을 더했다는 제품이다. 물론 원두를 갈아 바로 내린 커피와 비교 대상은 아니지만 온도와 양을 맞춘 물에 타면 최소한 가장
기본적인 맛만은 제대로 재현한다. 연구와 설비를 바탕으로 한 표준적인 맛, 기본의 기본은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약하게 볶은 것이라면
같은 원두로 매장에서 추출한 커피에서는 느끼기 쉽지 않은 신맛 또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