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글쟁이들 - 대한민국 대표 작가 18인의 ‘나만의 집필 세계’
구본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구본준 기자의 글을 좋아한다. 간결하고 쉬우면서 재미있게 읽히기 때문이다. 『한국의 글쟁이들』은 그가 한국의 대표 작가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엮은 글이다. 구본준 기자의 뛰어난 글솜씨는 어쩌면 이 인터뷰를 통해 더욱 발전된 게 아닐까 싶다.글쓰기에 있어 고려해야 할 알찬 내용이 가득 담긴 책이다.

 

 

책 속에서

 

국문학 저술가 정민

정 교수는 책을 쓸 때 '전달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대중은 정교수의 문체가 유려하다고 하지만, 정작 그는 "글쓰기에 있어 아름다움을 전혀 중시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한다. 형용사와 부사를 최대한 줄이고, 접속사를 피해 문장을 나눈다. 그가 글 쓸 때 가장 중시하는 것은 글의 리듬, 그리고 언어의 경제성이다. 아무리 공들여 쓴 표현이라도 퇴고 과정에서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면 가차 없이 도려낸다. 그럴수록 전달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일단 쓴 글을 다시 매끄럽게 다듬는 방법으로 그가 가장 중시하는 것이 '낭독'이다. 글을 쓰고 나면 무조건 세 번씩 소리 내서 읽어본다. 다시 손보고 나면 그 다음에는 아내에게 읽어달라고 부탁한다.

 

변화경영 저술가 구본형 

구씨는 자기 책을 써보라고 권한다. 그리고 책을 쓰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구씨가 가르쳐주는 책 쓰기 방법은 역시 아주 간단하다. 일주일에 책을 한 권씩 읽는 것. 그리고 한 권을 읽을 때마다 칼럼을 쓰는 것이다. 온라인 숙제다. 그리고 월 1회 만난다. 초기에는 구씨가 직접 많이 챙겨준다. 당신의 인생 첫 번째 책을 구상해보라고 권하고 질의응답을 한다. 그 다음에는 책의 목차를 정해보라고 한다. 세 번째는 구상한 책을 쓰기 위해 읽어야 할 책 목록을 제출하게 한다. 네 번째에는 소개안을 쓰는 것이다. "당신이 죽은 뒤 당신 영혼이 당신 장례식에 가서 마지막 생애를 그리는 1분 연설문을 작성해보세요." 그리고 마지막 숙제. " 당신 책이 이 분야의 기존 책과 다른 점 다섯 가지를 써보세요."

연구원은 1년 동안 이 과정을 거친다. 1년 뒤에는 세 가지가 남는다. 50권의 독서, 50개의 칼럼, 그리고 자기 책의 얼개다. 남은 것은 실제 책을 쓰는 것뿐이다. 2년 안에 자기 관심사와 관련된 책을 한 권 쓰도록 도와주는 것이 연구소의 설립 목적이자 교육과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