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 부모 - 대한민국에서 가장 아픈 사람들의 이야기
이승욱.신희경.김은산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대한민국에서 좋은 부모란 무엇일까. 출산을 앞두고 보니 정말 육아니 교육이니 하는 일들이 남 일 같지가 않다. [대한민국 부모]란 책을
읽고 나서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마주하니 더욱 깝깝해졌다. 책에서 지적한 대로, 우리나라에서는 부모 노릇을 전적으로 부모 책임으로 몰아붙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이민을 갈 수도 없는 형편이고 결국 주어진 상황 속에서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수밖에.
책 속에서
아이를 포식하는 것이 반드시 쥐고 흔들고 무지막지하게 통제하는 것만은 아니다. 부모가 이루지 못한 꿈을 대신 이루어주기 위해 공부하는
'철난' 아이로 만드는 것, 부모의 칭찬과 인정이 사라질까 불안해서 열심히 공부하는 '착한' 아이로 만드는 것, 자신이 엄마에게 유일한 기쁨인
것 같아서 외롭고 힘들어 보이는 엄마를 늘 걱정하고 살피려는 '속 깊은' 아이로 만드는 것, 이것이 모두 아이를 포식하는 방법이다.
대학이 구명조끼와 같은 유일한 보험이라면 이 보험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정녕 아이만을 위한 것일까? 정말 아이를 위한 보험이고 투자라면
아이를 병들게 하고 죽여가면서까지 고집하지는 않을 것이다. 부모들이 은밀히 원하는 바는 결국 아이들이 본인 앞가림 잘해서 자신의 노후를 위협하지
않고, 더 나아가 자신의 노후를 일정 부분 의탁할 수 있는 보험이 되어주는 것이 아닐까?
결국 부모 노릇이 막막한 것은 우리가 매뉴얼을 모르기 때문이 아니라 부모 개인에게만 부모 노릇의 책임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우린 지금 내가
겪고 있는 문제가 결국 나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이며, 우리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문제임을 지지해주는
가치와 시스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