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사는 즐거움 - 누구와도 함께할 수 없는 나만의 행복 찾기
사라 밴 브레스낙 지음, 신승미 옮김 / 토네이도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별 기대 없이 읽기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꽤 괜찮았다. 조용히 앉아서 나 자신을 돌아볼 기회를 갖게 했다. 제목이 '혼자 사는 즐거움'이라 '독신'에게 타겟이 맞춰진 줄 알았는데 그렇지는 않고 누구에게나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다. 오히려 수많은 관계속에 둘러쌓인 사람일수록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저자의 생각에 많은 공감이 되었다.  

 

 

책 속에서

 

혼자 산다는 것은 싱글이나 독신으로 산다는 의미가 아니다. 더불어 살아가는 삶 속에서 고유한 자신만의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추구한다는 뜻이다. 당신 인생 안에 당신만의 시간을 가장 많이 쌓는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함께 하는 삶의 풍요로움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나는 대기만성형이다. 서른두 살에 결혼했고 서른다섯 살에 엄마가 됐으며 마흔세 살에 첫 책을 냈다. 마흔다섯 살에 처음으로 정원을 가꿨다. 이는 내 삶의 엄청난 결함처럼 여겨져 이런 사실을 인정하는 게 쑥쓰럽다. 하지만 하루하루 부러울 정도로 열정적으로 살았고 책을 썼고 정원을 가꿨던 작가 메이 사턴이 내게 확신을 준다. "정원 가꾸기는 객관적인 열정을 유지할 준비가 된 중년기에 찾아오는 보상이다. 그런 열정은 인내력, 바깥세상에 대한 정확한 자각, 가뭄과 차가운 눈을 헤치고 나아가 모든 실패가 잊히고 자두나무가 꽃을 피우는 순수한 기쁨의 순간을 향해 전진힐 힘이 있어야 생긴다."

 

이제부터는 황금시간대를 당신의 것으로 지켜보자. TV에는 '골든타임'이라는 것이 있다. 글자 그대로 황금시간이다. 왜 그 같은 황금시간을 바보상자 앞에서 보내야 할까? 당신이 텔레비전을 얼마나 시청하는지 파악해보자. 작가 바버라 에런라이크는 텔레비젼에 유혹당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마음속 깊은 곳에서 가장 간절히 바라는 '부유하고 새롭고 참여하는 삶'을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착각이다. 당신이 간절히 원하는 진정한 삶을 시작하려면 텔레비전을 보면서 삶을 허비하는 생활을 중단해야 한다. 황금시간대를 모니터 앞에서 보내는 인생에선 얻을 게 없다는 점을 명심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