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나의 도시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십대 여자로써 구구절절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던 소설.

다시 한번 느끼는 거지만 정이현 작가는 정말 섬세하게 글을 잘쓴다. 글을 읽다보면 일본 작가인 에쿠니가오리의 작품들도 많이 생각나는데, 그에 비해서는 훨씬 유머가 있고 담백하다. 책장을 덮고 여운이 그다지 남지는 않았지만 읽는 동안 재미있었으므로 그걸로 만족.

 

 

책 속에서

 

지금은 서른한 살. 뭐 아직까지는 견딜 만하다. 나이 한 살 더 는다고 해서 눈가 주름이 확 늘어나거나 갑자기 아줌마라는 호칭으로 불리지 않는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런 건 사실 그다지 대수로운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무엇보다, 더럽고 치사한 일들을 예전보다 훨씬 잘 참아내게 되었다는 측면에서 나 자신이 깜짝 놀랄 정도였다.

 

"평범하게 사는 인생이 가장 바람직한 거라고, 요즘엔 그런 생각이 많이 듭니다."

숨이 턱 막혔다. 나 또한 별반 다르지 않은 자세로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었다. 그렇지만 타인의 목소리를 통해 들으니 그다지 내세울만한 인생관은 아닌 것 같다.

 

친구의 결혼식을 위해 정성껏 치장하는 것은, 미안하지만 예의를 다해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화사하고 은성한 결혼식장의 빛 속에서 나 스스로를 다독이기 위함이다. 아직은 충분히 괜찮다고, 나는 보잘것없지 않다고 주문을 외우기 위함이다.

 

스스로에게 묻는다. '너는 왜, 이 회사에 다니니?' '먹고 살기 위해서'라는 대답이 반사적으로 튀어나온다. 아니다. 가장 솔직한 대답은 '달리 뭘 해야 좋을지 몰라서'일 것 같다. 나를 안전하게 옭아매고 있는 울타리 밖으로 한 발자국 벗어나는 순간, 막막한 정글 한복판에 내팽겨질지 모른다는 불안감! 겁이 난다면 영원히 이대로 사는 수밖에 없겠지. 동물원 우리를 아늑한 둥지라고 자위하면서.

 

스무 살엔, 서른 살이 넘으면 모든 게 명확하고 분명해질 줄 알았었다. 그러나 그 반대다. 오히려 '인생아란 이런 거지'라고 확고하게 단정해왔던 부분들이 맥없이 흔들리는 느낌에 곤혹스레 맞닥뜨리곤 한다. 내부의 흔들림을 필사적으로 감추기 위하여 사람들은 나이를 먹을수록 일부러 더 고집 센 척하고 더 큰 목소리로 우겨대는지도 모를일이다.

 

이 바닥이 아닌 다른 곳에서 밥벌이를 하고 살아갈 수 있을지 나도 궁금하다. 지금껏 쌓아온 노하우와 인맥을 깨끗이 버리고, 전혀 다른 필드에서 초보자가 되어 처음부터 새로 시작하는 것이 가당키나 할는지. 위기는 찬스라는 말이 허튼 위로가 아니라면 사면초가의 궁지에 몰린 지금이야말로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 과연?

 

읽지 않은 척, 지금이라도 얼른 메일을 닫아버릴까. 그러나 이메일에는 '수신 확인'이라는 잔인한 기능이 있었다. 발신자는 자신이 보낸 메일을 상대방이 읽었는지 아닌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 기능을 처음 고안해낸 이는, 객관적으로 증명 가능한 것만을 믿는 슬픈 실증주의자임에 분명했다.

 

책 속에서 언급된 책

- 반짝반짝 빛나는 by 에쿠니가오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