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이 지갑을 열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 적게 써도 행복해지는 소비의 비밀
엘리자베스 던, 마이클 노튼 지음, 방영호 옮김 / 알키 / 2013년 9월
평점 :
서점에서 신간 서적들을 둘러보다가 우연히 눈에 띄어 구입한 책이다. 내용이야 예상한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소비에 대한 자기 반성 측면에서 꽤 의미있었다. 예전에 읽었던 '굿바이 신용카드'였나 그 책과도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책을 읽으면서 소비생활 뿐만 아니라 어떻게 사는게 행복한가에 대해서도 고민을 많이 해보았다. 책에서도 지적하듯이 같은 돈을 쓰더라도 물건을 소유하는 것 보다는 경험에 지출하는 편이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더 많은 걸 갖기보단 더 많은 곳을 여행하고, 또 경험해보리라 다짐해본다.
책 속에서
먼저 돈을 내고 나중에 소비하라
디지털 기술이 유행하는 지금의 시대에 우리는 무엇이든지 즉시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풍요로운 삶을 살고 있다. 우리의 지갑은 지폐보다는 각종 신용카드로 채워져 있다.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고 신용카드가 탄생한 이래, 우리는 '먼저 소비하고 나중에 돈을 낸다'는 사고방식에 따라 구매 행위를 해왔다. 이제 이 원칙을 반대로 적용할 때가 되었다. 즉, 먼저 돈을 내고 나중에 소비함으로써 소액을 지출하더라도 더 많은 행복을 살 수 있다. 돈을 먼저 내고 소비를 뒤로 미루면, 현실적인 일로 흥이 깨질 일도 없고 기다리는 맛이 쏠쏠해진다. 때문에 실제 소비가 일어나기 전까지 최고의 행복감을 맛볼 수 있다. 소비를 지연한 데에 따른 효과는 특히 비용을 미리 낸 경우에 나타난다. 즉 '선 지급, 후 소비" 원칙을 실천함으로써 구매한 물품이 마치 공짜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더 좋은 점은, 당장 돈을 내는 데에 따른 고통을 겪는 탓에 과소비를 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빚을 지지 않는 것이 행복감을 높이는 최선책인데, 이런 지출의 고통으로 인해 빚을 질 일이 줄어든다.
고가의 구매를 하든 일반적인 구매를 하든, 대개 물품을 구입하고 나면 '구매자의 후회'를 겪기 마련이다.
물질적인 것에 의한 기쁨은 서서히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체험적인 것에 의한 기쁨은 그보다 훨씬 더 오래 지속된다.
무엇인가가 영원하지 않음을 알 때, 우리는 그것을 더욱 즐기고 느끼려고 한다. 졸업이 임박했음을 느낀 대학 4학년생은 운치 좋은 캠퍼스 가로수 길을 누비며 사진을 찍고, 평소 자주 가던 강의실과 동아리방을 찾아다니면서 학창 시절을 음미하고 즐긴다. 끝이 가까워졌음을 깨닫는 데 행복의 비결이 있다. 그러면 순조롭게 누릴 수 있는 편안함을 특별한 것으로 바꿀 수 있다.
현재의 일에 집중하는 것이 바로 행복해지는 비결이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구매하는 순간에 느끼는 지출의 고통이 경감된다. 신용카드로 인해 일종의 분리감이 생겨 현명하고 상식 있는 사람들도 쉽게 지름신의 유혹에 빠지게 된다. 또한 그런 분리감으로 인해 지출에도 무감각해진다.
2008년 미국에 경제 위기가 닥친 원인은 무엇일까? 물론 이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사람들은 대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함께 주택 거품의 붕괴를 주요 원인으로 지목한다. 페니메이와 프레디맥 등의 정부보증기관들과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자들이 경제 위기에 기여했던 바가 수십 년 동안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릴 테지만, 거품의 요인 하나만큼은 분명하다. 가난한 사람들이 빚을 내면서까지 집을 사도록 부추김을 당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캐나다는 미국과 다르다. 캐나다의 주택 담보 대출기관들은 철저히 대출자들의 자산과 소득을 근거로 대출을 해준다. 도한 모기지 이자는 소득공제가 되지 않는다. 비슷한 점이 많은 두 나라는 이런 점에서 극명한 대조를 보인다.
통근 시간은 국가별로 차이가 상당히 크게 나타난다. 아일랜드와 덴마크(행복지수 1위의 그 덴마크다)처럼 편도 25분으로 통근 시간이 짧은 나라들이 있는가 하면 한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처럼 통근 시간이 편도 50분이 넘는 나라들도 있다.